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프랑스어의 "C'est..."와 "Il(Elle) est..." 구분과 교육적 활용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888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프랑스어의 ‘X, c’est...’와 ‘Y, il(elle)est...’ 구문은 높은 사용 빈도만큼이나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주제이다. 비록 형태는 단순하고 간단해 보이지만, 선행하는 명사구(X, Y)의 의미...

      프랑스어의 ‘X, c’est...’와 ‘Y, il(elle)est...’ 구문은 높은 사용 빈도만큼이나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주제이다. 비록 형태는 단순하고 간단해 보이지만, 선행하는 명사구(X, Y)의 의미나, 이를 대신하는 대명사(ce, il/elle) 자체의 기능, 이어지는 속사 구문의 형태, 사용 맥락 등 다양한 요인들이 결부되어 있는 복합적인 구문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 두 구문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가르칠 것인지 그 방안을 제안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는 차원에서 두 구문과 관련된 언어학적 연구들을 분석하였고, 이를 문법 교재에 실린 해당 설명들과 비교해보았다. 그리고 기존의 분석과 설명들이 모국어 화자들의 실제 언어 사용 현실과 얼마나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원어민 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두 구문과 관련된 단계별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언어학적 접근과 교수법적 접근 중 어느 것도 전적으로 맞거나 혹은 전적으로 틀렸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설문을 통해 두 분야의 설명에서 간과하고 있었던 하나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은 바로 선행 명사의 일반화와 특성화를 판단하는 기준에서 정관사의 역할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점이었다. 선행하는 명사구가 정관사와 결합되면서 일반적 가치(valeur générale)를 갖게 되는지, 혹은 한정된 가치(valeur définie)를 갖게 되는지에 따라 두 구문을 다르게 선택한 결과들을 많이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설문조사 과정을 거치면서 향후 유사한 연구를 진행할 경우 간과해서는 안 될 사항들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우리가 애초에 의도했던 것 이상을 얻을 수 있었지만, 동시에 앞으로의 과제도 던져준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우선 긍정적인 면에서는, ‘일반적인 것’과 ‘특정한 것’의 대립이 두 구문을 구분하는 기준임에는 틀림없지만, 그 두 가지 의미로 인식하게끔 만드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는 기회였다. 일례로, 선행 명사가 표현하는 의미가 일반적인 것인지 혹은 특정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데에 정관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설문을 통해 얻은 수확이었다. 반면, 설문을 통해 실제 원어민 화자들 사이에서 두 구문의 구분이 조금씩 모호해져 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하기에도 충분했다. 두 구문의 차이점으로 제시되었던 기존의 설명들이 문어(écrit) 차원에서는 여전히 유효할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a distiction entre ‘C’est’ et ‘Il(Elle)est’ et son approche didactique Les expressions «X, c'est ...» et «Y, il (elle) est ...» en français font toujours l'objet de nombreuses études. En dépit de la structure simple, elle est liée ...

      La distiction entre ‘C’est’ et ‘Il(Elle)est’ et son approche didactique

      Les expressions «X, c'est ...» et «Y, il (elle) est ...» en français font toujours l'objet de nombreuses études. En dépit de la structure simple, elle est liée à divers facteurs complexes tels que la signification du syntagme nominal(X, Y), la fonction du pronom(ce, il/elle), la forme de l'attribut et le contexte. De ce fait, l'acquisition de ces deux constructions n'est pas une tâche facile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Face à cette situation, nous avons voulu proposer un modèle d'enseignement/apprentissage concernant ces deux constructions. Pour cela, nous avons d'abord examiné quelques études précédentes dans le cadre de la linguistique. Ensuite, nous avons profité des livres de grammaire du FLE pour comparer la différence entre les deux approches, à savoir linguistique et didactique. Nous avons enfin effectué une enquête auprès de 24 étudiants français à l'Université de Paris 3(Sorbonne-Nouvelle) pour déterminer quelle approche entre les deux reflète le mieux l'usage réel de ces deux structures. L'enquête nous a permis de constater deux choses intéressantes: d'un côté, pas mal de natifs français considèrent les deux constructions comme synonymes; de l'autre, les critères tels que 'généricité' et 'partic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