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획논문 : 「리기선후유무변(理氣先後有無辨)」을 통해서 본 허채(許埰)의 성이학(性理學) = Vol.32 : A Study on Heo Chae`s Sung Confucianism through Igiseonhuyumuby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16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허채는 조선 말기 허전과 이종기의 문하에서 수학한 성리학자이다. 허채의 사승은 허전을 통해서는 정구로부터 시작된近畿南人의 학맥으로 이어지고 있고, 또 이종기룰 통해서는 비록 직접...

      허채는 조선 말기 허전과 이종기의 문하에서 수학한 성리학자이다. 허채의 사승은 허전을 통해서는 정구로부터 시작된近畿南人의 학맥으로 이어지고 있고, 또 이종기룰 통해서는 비록 직접적인 사승은 아니라지만 유치명 계열의 퇴계학 맥과 연결되고 있다. 이 두 계열은 어느 쪽으로든 강한 주리적 특징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허채는 ``주리적`` 이고 보기 어려운 성리학적 특징을 보여 주기도 하는데, 그와 같은 특징은 그의 잡저 가운데 하나인 「리기선후유무변」에서 비교적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 논문은 『금주선생문집』 가운데 주자학의 핵심 쟁점 가운데 하나인 ``리기선후`` 문제를 다루고 있는 「리기선후유우변」을 주요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먼저 주자학과 ``리기선후`` 의 문제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리기선후유무변」의 내용을 분석 해 봄으로써 허채의 성리학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가진 그의 성리학이 조선후기 성리학사 혹은 학파의 전개와 흐름에 있어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그 좌표를 설정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리기선후`` 문제를 통해 확인되는 허채의 성리학은 바로 후기 퇴계학파의 이진상계열과 같은 지나친 리 중심의 흐름에 대한 반동에서 시작되었다고 이해된다. 그리고 ``리기선후`` 문제와 관련하여 이렇게 허채의 성리학을 이해할 때, 19세기 후반 밀양과 고령, 성주 등 강우지역 성리학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욱 다양 한 모습으로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o Chae was a Sung Confucian scholar that studied under Heo Jeon and Lee Jong-gi in late Joseon. His Sanseung was later connected to the academic tradition of Geunginamin that was commenced by Jeong Cu through Heo Jeon and to the academic tradition o...

      Heo Chae was a Sung Confucian scholar that studied under Heo Jeon and Lee Jong-gi in late Joseon. His Sanseung was later connected to the academic tradition of Geunginamin that was commenced by Jeong Cu through Heo Jeon and to the academic tradition of Toigye of Yu Chi-myeong line through Lee Jong-gi in the form of indirect Saseung. The two lines show strong Jun features in any direction, despite which, however, Heo Chae had Sung Confucian features that were hardly "Juri" Those features of his are manifested in Igiseonhuyumubyeon, one of his sundry writings relatively clearly. With a focus on Igiseonhuyumubyeon, which deals with the issue of "Igiseonhu," one of the core controversial issues of Zhuxi Studies in Geumjuseonsaengmunjip, this study investigated how Zhuxi Studies was connected to the issue of "Igiseonhu" and analyzed the content of Igiseonhuyumubyeon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Heo Chae`s Sung Confucianism and the coordinates of his Sung Confucianism in the development and flow of Sung Confucian history and school in late Joseon. JudGing from the findings around the issue of "Igiseonhu," Heo Chae`s Sung Confucianism seems to have started in reaction to the heavily Li-inclined flow including the Lee Jin-sang line of late Toigye school. Understanding of Heo Chae`s Sung Confucianism in respect of the issue of "Igiseonhu" in that way helps to confirm that Sung Confucianism of the Gangwoo region including Milyang, Goryeong, and Seongju developed in more various aspects than expec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