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와 관련된 불교사찰의 상징경관 = The Symbolic Landscape of the Buddhist Temple Related to Cow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9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는 지구상에서 인간과 함께 공존해 오면서 부단히 쉬지 않고 인간에게 도움을 준 동물이다. 불교에서 소는 인간이 본 마음을 찾아가는 근본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우)와 관련된...

      소는 지구상에서 인간과 함께 공존해 오면서 부단히 쉬지 않고 인간에게 도움을 준 동물이다. 불교에서 소는 인간이 본 마음을 찾아가는 근본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우)와 관련된 조선시대 기록을 통해 8개 사찰명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소와 관련된 불교설화는 사찰 경내의 구조물에 의한 상징경관으로 탑, 부도, 무덤, 공덕비, 소나무가 있고 그리고 연기설화에 대한 내용이다. 이와 관련된 사찰로는 첫째, 공주 갑사의 공우탑, 충청 제천 덕주사의 우공탑이 탑이 있고, 둘째, 문경 대승사의 우부도가 있다. 셋째, 평택 심복사의 소무덤과 공덕비가 있으며, 넷째, 봉화 청량사에는 삼각우총의 소나무의 설화가 사찰의 상징경관을 구성하고 있다. 다섯째, 전라남도 해남 미황사가 창건될 때 도와준 연기설화가 있다. 이상 소 관련의 불교설화들은 소가 사찰 창건 혹은 중건 당시 믿음직스럽게 사찰건설을 도와주고 난 후 죽은 것을 기념한 탑류구조물과 무덤형식류들이고, 각 사찰에서는 그 흔적을 사찰 경내의 상징적 정체성으로 스토리텔링화하여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ws have been coexisting with humans on Earth and have been helping humans without stopping. In Buddhism, the cow was seen as the root of finding one’s true heart.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find the names of 8 temples through the records of...

      Cows have been coexisting with humans on Earth and have been helping humans without stopping. In Buddhism, the cow was seen as the root of finding one’s true heart.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find the names of 8 temples through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related to cattle. Also, Buddhist tales related to cows are symbolic landscapes by structures within the temple grounds, including pagodas, Buddha statues, tombs, Gongdeokbi, and pine trees. Related temples are: First, there are Gongwoo Pagodas at Gongju Gapsa Temple, Ugong Pagoda Pagodas at Deokjusa Temple in Jecheon, Chungcheong Province, and secondly, there are Ubudo Pagodas at Daeseungsa Temple in Mungyeong. Third, there are the small tomb and Gongdeokbi of Simboksa Temple in Pyeongtaek, and fourth, the tale of the pine tree of the triangular woochong at Cheongnyangsa Temple in Bonghwa constitutes the symbolic landscape of the temple. Fifth, there is a story of smoke that came when Mihwangsa Temple was founded in Haenam, Jeollanam-do. The Buddhist tales related to the above cows are structures commemorating the death of a cows after the building or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was faithfully helped. At each temple, the traces are storytelling into the symbolic identity of the temple grounds,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운식, "?금송아지 설화? 연구" 한국민속학회 35 : 175-207, 2002

      2 김일림, "화엄십찰의 입지요인 -갑사, 범어사, 해인사, 화엄사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7 (27): 187-200, 2017

      3 김일림, "한국의 전통 불교문화경관의 재해석" 한국사진지리학회 29 (29): 1-12, 2019

      4 대한불교신문, "한국의 사찰, 부다가야"

      5 퇴경당권상로박사전서간행위원회, "한국사찰사전 상하" 이화문화출판사 1994

      6 김용덕, "한국불교설화의 형성과 전승원리" 4 : 5-20, 1986

      7 최래옥, "한국 불교설화의 양상" 3 : 333-383, 2000

      8 金逸林, "한국 불교사찰의 입지유형과 경관구성"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6

      9 박상란, "조선시대 문헌 소재 불교설화의 양상과 의미" 불교문화연구원 (46) : 63-84, 2005

      10 허인섭, "인도 전통 설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 불교 설화의 세계관 고찰" 인도철학회 21 : 37-61, 2006

      1 최운식, "?금송아지 설화? 연구" 한국민속학회 35 : 175-207, 2002

      2 김일림, "화엄십찰의 입지요인 -갑사, 범어사, 해인사, 화엄사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7 (27): 187-200, 2017

      3 김일림, "한국의 전통 불교문화경관의 재해석" 한국사진지리학회 29 (29): 1-12, 2019

      4 대한불교신문, "한국의 사찰, 부다가야"

      5 퇴경당권상로박사전서간행위원회, "한국사찰사전 상하" 이화문화출판사 1994

      6 김용덕, "한국불교설화의 형성과 전승원리" 4 : 5-20, 1986

      7 최래옥, "한국 불교설화의 양상" 3 : 333-383, 2000

      8 金逸林, "한국 불교사찰의 입지유형과 경관구성"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6

      9 박상란, "조선시대 문헌 소재 불교설화의 양상과 의미" 불교문화연구원 (46) : 63-84, 2005

      10 허인섭, "인도 전통 설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 불교 설화의 세계관 고찰" 인도철학회 21 : 37-61, 2006

      11 류명환, "역주 가람고" 도서출판 역사문화 2016

      12 신명희, "십우도와 목우도의 비교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4) : 41-66, 2018

      13 오선아, "십우도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2009

      14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십우도" 두산백과 2003

      15 신경림, "뿔" 창작과비평사 2002

      16 "법보신문"

      17 최완수, "명찰순례 3" 대원사 1994

      18 "남도일보"

      19 이기영, "곽암의 “심우도연구”" 한국불교연구원 1997

      20 김일림, "경기도 불교사찰의 입지와 경관특성" 한국사진지리학회 24 (24): 165-176, 2014

      21 趙洙貞, "禪宗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 十牛圖를 중심으로"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4

      22 김용덕, "佛敎說話의 象徵體系 硏究" 15 : 337-371, 1998

      23 김승호, "中世 金石文소재 불교설화의 通時的 연구 ─僧碑의 핵심 모티브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32 : 527-563, 2012

      24 김기종,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의 ‘불 ․ 보살 現身’ 양상과그 의미" 불교문화연구원 (75) : 179-201,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