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로컬 거버넌스와 지역재생역량의 지역별 차이 분석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s in Local Governance and Regional Regeneration Capacity - Focused on General Type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Project in Seou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90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 지역 중 창신·숭인동, 해방촌, 가리봉동을 대상으로 하여 로컬 거버넌스, 지역재생역량, 주민 삶의 만족도의 요인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

      본 연구는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 지역 중 창신·숭인동, 해방촌, 가리봉동을 대상으로 하여 로컬 거버넌스, 지역재생역량, 주민 삶의 만족도의 요인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이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 지를 일원배치 분산분석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로컬 거버넌스는 어떠한 변인에서도 세 지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역재생역량에서 지역정체성, 지역공동체, 지역자산의 요인들은 세 지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민 삶의 만족도에서 세 지역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도시재생사업에 필요한 핵심 요인들의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도시재생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factors of local governance, regional regeneration capacity, and residents’ life satisfaction by targeting Changsin/Sungin-dong, Haebangchon, and Garibong-dong among the general type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project areas of ...

      This study examined factors of local governance, regional regeneration capacity, and residents’ life satisfaction by targeting Changsin/Sungin-dong, Haebangchon, and Garibong-dong among the general type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project areas of Seoul. A One-way ANOVA was us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factor by reg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cal governance in the three regions in any variable. In the regional regeneration capacity, the factors of local identity, local community, and local asse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reg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regions in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key factors necessary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examined, and direc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are presen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영선, "한양도성 인접 노후주거지의 지역자산을 활용한 통합적 재생방안 연구 : 성북구 성북동 북정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4

      2 최현선, "커뮤니티 개발에 기반 한 도시재생정책:미국, 영국,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2 (22): 255-275, 2012

      3 이영균,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223-250, 2007

      4 박인권,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 24 (24): 1-26, 2012

      5 이왕건, "지역자산 활용형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1

      6 전창진, "지역자력형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이 로컬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분석 -전주 도시재생 테스트베드 사례-" 한국주거환경학회 12 (12): 219-231, 2014

      7 서승재, "지역사회자본과 지역애착ㆍ역량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 서울특별시 동작구를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8 초의수, "지역사회복지의 로컬 거버넌스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부산지역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4) : 1-26, 2008

      9 신예철, "지역 만들기에 있어서 지역공동체 역량이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지역 만들기 공동체와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의 역량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2

      10 최성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철도폐선부지의 활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4

      1 심영선, "한양도성 인접 노후주거지의 지역자산을 활용한 통합적 재생방안 연구 : 성북구 성북동 북정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4

      2 최현선, "커뮤니티 개발에 기반 한 도시재생정책:미국, 영국,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2 (22): 255-275, 2012

      3 이영균,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223-250, 2007

      4 박인권,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 24 (24): 1-26, 2012

      5 이왕건, "지역자산 활용형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1

      6 전창진, "지역자력형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이 로컬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분석 -전주 도시재생 테스트베드 사례-" 한국주거환경학회 12 (12): 219-231, 2014

      7 서승재, "지역사회자본과 지역애착ㆍ역량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 서울특별시 동작구를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8 초의수, "지역사회복지의 로컬 거버넌스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부산지역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4) : 1-26, 2008

      9 신예철, "지역 만들기에 있어서 지역공동체 역량이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지역 만들기 공동체와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의 역량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2

      10 최성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철도폐선부지의 활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4

      11 계기석,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1

      12 김영, "지방중소도시의 협력적 로컬거버넌스 구축방안" 44-54, 2009

      13 이병수, "지방정부와 NGO간의 로컬거버넌스 형성 조건에 관한 연구: 의정부시공무원과 NGO활동가들의 의식, 태도, 경험을중심으로" 14 (14): 27-41, 2001

      14 신동선, "지방자치단체의 역사인물자원을 활용한 지역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 사례분석 및 주민의식조사를 토대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15 김일영, "주민공동이용시설이 주민역량강화에 미친 영향- 서울특별시 주거환경관리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9 (19): 83-100, 2018

      16 김민준, "주거지 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7 김달수, "이미 충분하다" 벼리커뮤니케이션 2014

      18 홍석동, "소득이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연구 : 지역적 차별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19 여혜진, "사회적 경제조직의 지역공동체 역량 형성에 관한 연구 - 생활환경개선사업을 수행하는 주민주도형 사회적 경제조직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6 (16): 47-62, 2015

      20 김영, "마을 만들기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87-108, 2008

      21 김영, "마산시 도시재생사업 거버넌스의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0 (20): 89-110, 2008

      22 김재영, "로컬 거버넌스의 구성요소가 도시재생과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예술대학원 2016

      23 김형양,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 형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181-204, 2006

      24 전익현, "로컬 거버넌스 특성이 재생전략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천군을 중심으로" 군산대학교 대학원 2015

      25 홍종득, "로컬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 : 광명시 고속철도역 활성화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26 박현욱, "도시정체성 형성요인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정책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27 최지남, "도시정비과정에서의 거버넌스 주체에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28 방민석, "도시재생정책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 Bristol 하버사이드 재생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융합사회연구소 11 (11): 131-161, 2017

      29 이선영, "도시재생의 실현을 위한 지역자산의의미와 활용실태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6

      30 이나영, "도시재생의 로컬 거버넌스와 지역재생역량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31 권은혜, "도시재생에서 주민의 자주적 관여가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7

      32 이필용, "도시재생사업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 마산시와 순천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33 전창진,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이 로컬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주도시재생 테스트베드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34 정규식, "도시재생사업에서 로컬 거버넌스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원시 마산합포구 원도심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35 권정주, "도시재생 거버넌스 참여주체의 의사결정 영향력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5

      36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 "도시재생" 보성각 2016

      37 권오규, "도시쇠퇴가 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38 최병두, "도시발전 전략에 있어 정체성 형성과 공적 공간의 구축에 관한 비판적 성찰" 한국지역지리학회 14 (14): 604-626, 2008

      39 이나영,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재생역량의 중요성 -서울시 창신⋅숭인동, 해방촌, 가리봉동을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9 (29): 203-221, 2019

      40 이나영,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과 로컬 거버넌스: 서울시 창신·숭인동, 해방촌, 가리봉동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3 (23): 89-108, 2020

      41 성기호, "공동체마을의 사회자본과 환경요인이주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42 노미양, "공공지원이 공동체조직의 역량 및 조직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6

      43 한은정, "경관체험론적 지역정체성 유추모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44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28 (28): 1-14, 1973

      45 George, D., "SPSS for Windows step by step: A simple guide and reference, 11.0 update" Allyn & Bacon 2003

      46 Plein, L. C., "Organic Planning : A New Approach to Public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ance" 35 (35): 509-523, 1998

      47 Kooiman, J., "Modern Governance: New Government-Society Interactions" Sage Publications 1994

      48 Bull, A., "Governanace and Social Capital in Urban Regeneration : A Comparison between Bristol and Naples" 43 (43): 767-786, 2006

      49 Spencer, L., "Competency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Inc 1993

      50 DeHoog, R. H., "Citizen Satisfaction with Local Governance : A Test of Individual, Jurisdictional, and City-Specific Explanations" 52 (52): 807-837, 1990

      51 신상준, "'삶의 질'과 '사회의 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