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6세기 광양만권 주거구조의 변천양상과 지역성 = Changes and Regionality of dwelling form in Gwangyang Bay area from the 1st to 6th centu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31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남동부지역은 기존 연구에서 마한 영역권으로 파악하고 그 변경지역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아울러 이 지역은 마한과 가야의 문화가 만나는 점이지대로 마한보다는 가야에 ...

      전남동부지역은 기존 연구에서 마한 영역권으로 파악하고 그 변경지역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아울러 이 지역은 마한과 가야의 문화가 만나는 점이지대로 마한보다는 가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다루어지고 있어 이 지역에 살던 집단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는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남동부지역 가운데 고고학적 조사가 활발히 이루어진 광양만권을 중심으로 이 지역의 고대 문화상을 고고학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광양만권에서 1~6세기 대에 조성된 주거지를 중심으로 원래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과 출토유물을 대상으로 형식분류를 진행하였다. 그 후 광양만권 주거구조의 변천양상을 살펴 보고, 주변지역과 비교를 하여 이 지역이 가지고 있는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 지역은 1~4세기까지 주거구조 및 출토유물 양상은 경남서부지역과의 유사성을 보이며, 전남서부지역과는 다른 양상이다. 4세기 이후 가야, 백제, 왜 등의 세력과 교류하여 다양한 물질문화를 이루지만, 주거양식은 큰 변화가 없이 기존 전통이 유지되는 특징을 보인다. 6세기 이후 백제의 영역화과정에 의해 이 지역에 산성과 고분이 축조된다. 마한에서 백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주거양상에서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다.
      이 지역을 바라본 기존의 시각은 외부자의 관점에서 바라보았기 때문에 이 지역의 자체적인 발전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지역의 문화변동을 자체적으로 점진적으로 발전하기보다는 외부 자극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견해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이 지역 사람들의 살아온 주거공간에 대한 검토 결과 외부 자극으로 인해 문화가 급격하게 바뀐 양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오히려 내부적인 발전 과정에서 다양한 외부 문화를 선별적으로 수용하여 점진적으로 그들의 삶을 개척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2 김승옥,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 호남고고학회 63 : 4-34, 2019

      3 박태홍, "호남지방 초기철기~원삼국시대 문화" 호남문화재연구원 2015

      4 정주희, "함안양식 고식도질토기의 분포정형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5 하승철, "한일 취락의 전개" 한일취락연구회 2011

      6 허진아, "한국 서남부지역 시루의 변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7 이순엽, "전남지방 분묘 출토 호의 분류와 편년"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3

      8 이동희, "전남동부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유적의 편년" 수선사학회 (59) : 119-168, 2017

      9 이동희, "전남동부지역 복합사회 형성과정의 고고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10 박미라, "전남 동부지역 1~5세기 주거지의 변천양상"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1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2 김승옥,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 호남고고학회 63 : 4-34, 2019

      3 박태홍, "호남지방 초기철기~원삼국시대 문화" 호남문화재연구원 2015

      4 정주희, "함안양식 고식도질토기의 분포정형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5 하승철, "한일 취락의 전개" 한일취락연구회 2011

      6 허진아, "한국 서남부지역 시루의 변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7 이순엽, "전남지방 분묘 출토 호의 분류와 편년"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3

      8 이동희, "전남동부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유적의 편년" 수선사학회 (59) : 119-168, 2017

      9 이동희, "전남동부지역 복합사회 형성과정의 고고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10 박미라, "전남 동부지역 1~5세기 주거지의 변천양상"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11 한윤선, "전남 동부지역 1~4세기 주거지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0

      12 황춘임, "원삼국시대 양이부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13 이영철, "영산강 상류지역의 취락변동과 백제화 과정" 백제학회 (6) : 107-140, 2011

      14 김나영, "영남지역 삼한시대 주거지의 변천과 지역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15 이창희, "삼한시대 남해안의 일상토기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진철, "삼국시대 타원형 수혈주거지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17 이기건, "삼국시대 남해안지역 수혈주거지 연구" 인제대학교대학원 2020

      18 권오영, "백제와 섬진강" 서경문화사 2008

      19 김승옥,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과 특징" 한국고고학회 (99) : 40-77, 2016

      20 최영주, "마한의 성장과 대외관계 :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2020

      21 박미라, "마한·백제 그리고 가야" 호남고고학회 2019

      22 강귀형, "담양 태목리취락의 변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3

      23 박대재, "국가형성기의 복합사회와 초기국가" 한국고대학회 (38) : 227-282, 2013

      24 정일, "광양만권 방형계 주거지 검토" 국립광주박물관·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전남문화재연구원 2011

      25 藤田憲司, "광양 용강리 석정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 2012

      26 권오영, "馬韓의 종족성과 공간적 분포에 대한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60) : 5-33, 2010

      27 전진국, "馬韓 개념과 ‘國’에 대한 기록" 백제학회 (31) : 5-27, 2020

      28 이창희, "郡谷里貝塚의 年代와 ‘경질무문토기-타날문토기’ 小考 -영남고고학의 입장에서-" 영남고고학회 (68) : 4-29, 2014

      29 김은정, "湖南地域의 馬韓 土器-住居址 出土品을 中心으로-" 全北大學校大學院 2017

      30 서현주, "榮山江流域 古墳 土器 硏究" 學硏文化社 2006

      31 양시은, "時, 空, 形態 그리고 量:한국고고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비판적검토" 진인진 2016

      32 정효은, "慶南西部地域 三國時代 生活用 土器 變遷過程 硏究" 慶尙大學校大學院 2015

      33 위양근, "慶南地域 加耶時代 住居址에 대한 硏究" 慶尙大學校大學院 2016

      34 하승철, "小加耶의 考古學的 硏究" 慶尙大學校大學院 2015

      35 이동희, "全南・慶南地域 靑銅器時代 墓制와 地域性" 고조선단군학회 29 (29): 381-422, 2013

      36 崔仁善, "全南 東部地域의 百濟山城 硏究" 한국문화사학회 (18) : 5-27, 2002

      37 박태홍, "全南 東部地域 住居址의 分布와 變化樣相" 호남문화재연구원 7 : 2006

      38 김승옥, "全北地域 1~7世紀 聚落의 分布와 性格" 한국상고사학회 44 (44): 55-86, 2004

      39 최영주, "三國時代 土製煙筒 硏究 ―韓半島와 日本列島를 中心으로―" 호남고고학회 31 (31): 39-74, 2009

      40 이동희,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 에 대한 반론" 호남고고학회 35 : 47-79, 2010

      41 조영제, "‘형식난립기’의 가야토기에 대하여" 부산고고학연구회 2 : 2008

      42 문재원, "[로컬리티 연구의 쟁점] 로컬리티 개념을 둘러싼 고민들"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5) : 305-314,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6 2.001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