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작과 표현으로 본 북한 선전화: 1950년대 이후 북한 선전화 양식의 형성과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0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950년대 이후 북한 선전화의 양식과 기법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했는지 창작과 표현의 측면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 선전화의 출발은 사회주의 국가들과 국제적인 감...

      이 연구는 1950년대 이후 북한 선전화의 양식과 기법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했는지 창작과 표현의 측면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 선전화의 출발은 사회주의 국가들과 국제적인 감각을 공유하는 ‘그라휘크’로서 ‘포스터’였지만, 1960년대 이후 북한의 자체적인 예술이론이 정립되면서 고유의 미학과 표현양식을 가진 장르로 발전하였다. 선전화를 분석한 결과, 『로동신문』의 신년사설과 선전화 내용의 상관성이 높았으며, 신년사설의 내용이 점차 선전화의 슬로건으로 활용되었다. 선전화의 형식과 기법은 20~30년 정도의 간격을 두며 단계적으로 큰 전환을 보였는데 해방공간에서 문자 중심의 ‘포스타’에서 이미지와 슬로건이 나타나며 선전화 형식으로 변화했고, 1970년대 들어서면서 조선화 창작 이론과 기법을 수용하면서 선전화의 양식이 정교하게 정립되었다. 이후 2000년대에는 컴퓨터 기술을 활용한 컴퓨터 선전화가 등장하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도시 경관에 활용되고 있다. 가장 정치적인 메시지를 포함하면서 북한 주민의 가장 일상적인 생활에 파고드는 선전화의 위상과 그 변화를 제작 과정과 표현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은 북한의 고유한 미술 장르로서 선전화의 미학과 그 의미를 보다 풍부하게 이해하는 데 뒷받침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North Korean Sŏnjŏnhwa style has been formed and changed since the 1950s in terms of creation and techniques. Sŏnjŏnhwa started as a ‘poster’ or a ‘graphic’ that shared an international aesthetics of socialist a...

      This study examines how North Korean Sŏnjŏnhwa style has been formed and changed since the 1950s in terms of creation and techniques. Sŏnjŏnhwa started as a ‘poster’ or a ‘graphic’ that shared an international aesthetics of socialist art. However, as North Korea has developed its own art theories since the 1960s, Sŏnjŏnhwa has transformed into a unique genre that has its own form and style. The leader’s instructions and party policies that appear in the New Year’s Editorials of the Workers’ Newspaper (로동신문), have been more actively adapted and reproduced through the slogans of Sŏnjŏnhwa. Three major stylistic transformations are observed every 20–30 years: text-centered ‘p’osŭt’a (포스타)’ evolved into a form with more images and slogans in the 1950s. A style based on the theory and techniques of Choso˘nhwa had been established in the 1970s and in the 2000s, computer techniques had been incorporated in the creation of Sŏnjŏnhwa. Examining the status and changes of Sŏnjŏnhwa, which transmits the most political messages and prevails in the most common everyday life of North Koreans,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the aesthetics and meaning of this unique gen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북한 선전화의 성격과 역할
      • Ⅲ. 선전화의 주요 담론과 주제
      • Ⅳ. 선전화의 형식과 기법의 변화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북한 선전화의 성격과 역할
      • Ⅲ. 선전화의 주요 담론과 주제
      • Ⅳ. 선전화의 형식과 기법의 변화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관종, "현대부르죠아 형식주의 미술의 주류 추상주의와 그 반동성(2)"

      2 전관종, "현대부르죠아 형식주의 미술의 주류 추상주의와 그 반동성(1)"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5 손명준, "콤퓨터미술"

      6 김광일, "출판화 창작에서 조선화 화법을 적극 도입할데 대하여"

      7 김영일, "출판미술에서의 새로운 전환" 문학예술출판사 2003

      8 "천리마" 천리마사

      9 김교련, "주체미술총서1: 주체미술건설"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0

      10 "조선예술"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 전관종, "현대부르죠아 형식주의 미술의 주류 추상주의와 그 반동성(2)"

      2 전관종, "현대부르죠아 형식주의 미술의 주류 추상주의와 그 반동성(1)"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5 손명준, "콤퓨터미술"

      6 김광일, "출판화 창작에서 조선화 화법을 적극 도입할데 대하여"

      7 김영일, "출판미술에서의 새로운 전환" 문학예술출판사 2003

      8 "천리마" 천리마사

      9 김교련, "주체미술총서1: 주체미술건설"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0

      10 "조선예술"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1 박영도, "조선서예발전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8

      12 김순영, "조선미술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0

      13 "조선미술"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4 "조선문학예술년감" 문학예술출판사

      15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대사전 1" 사화과학출판사 1992

      16 오광섭, "조선글서예" 조선출판물수출입사 2014

      17 임성순, "정보산업과 예술교육"

      18 김효진, "이미지에 드러난 북한체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1950~60년대 포스터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9 (19): 1-35, 2015

      19 "예술교육" 2.16예술교육출판사

      20 이주영, "여성이 등장하는 북한 선전화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18

      21 오양열, "신년 공동사설, 문학예술분야 지난해 성과만 언급" 웹진 아르코

      22 최재식, "선전화형상에서 색채의 함축문제"

      23 박상일, "선전화의 상징수법에 대하여"

      24 김소연, "북한포스터에서 나타나는 여성 도상 -1952년부터 1989년까지 포스터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29-40, 2017

      25 김소연, "북한 포스터의 슬로건과 이미지의 조응 관계 방식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61-70, 2019

      26 김미혜, "북한 캘리그래피 서체의 형성 과정과 시각문화적 특성" 서울대학교 2018

      27 류현국, "북한 정치 선전 포스터 디자인의 역사적 변천으로 형성된 북한 스타일(1945~2019): 시대구분으로 본 북한 선전화의 창작과 그 특징" 2 (2): 21-39, 2019

      28 조영주, "북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울 2015

      29 곽은경, "북한 사상무장 수단으로서의 상징전략: 선군정치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소 9 (9): 157-183, 2016

      30 김정일, "미술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31 권종성, "문자학개요" 과학, 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7

      32 "로동신문" 로동신문사

      33 전미영, "김정은 시대의 문화: 전환기 북한의 문화현실과 문화기획" 한울 아카데미 2015

      34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35 : 1980. 1 – 1980. 12" 조선로동당출판사 1987

      35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10: 1956. 1 – 1956. 12"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36 Moore. C, "Propaganda Prints" A&C Black Publishers 2010

      37 Kim, Soyoun, "Politicized Design: North Korean Posters" School of Visual Arts 2016

      38 Ginsberg. M, "Communist Posters" Reaktion Books 2017

      39 Landsberger. S, "Chinese Propaganda Posters: From Revolution to modernization" Routledge 2020

      40 Clark. T, "Art and Propaganda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Political Image in the Age of Mass Culture" Harry N. Abrams 1997

      41 Nelson, R. A, "A Chronology and Glossary of Propaganda in the United States" Greenwood Press 1996

      42 김민수, "21세기디자인문화탐사" 그린비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