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세그라드그룹 시장에서 한국의 무역전략과 유망수출품목 = Korea’s Trade Strategy and Promising Export Products toward the Markets of Visegrád Gro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045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중동부 유럽 4개국(이하 비세그라드그룹, V4) 간 무역 투자 관계와 비교우위 구조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V4에 대한 무역전략과 유망수출상품을 도출하...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중동부 유럽 4개국(이하 비세그라드그룹, V4) 간 무역 투자 관계와 비교우위 구조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V4에 대한 무역전략과 유망수출상품을 도출하였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비세그라드그룹(V4) 4개국의 거시경제 개황과 주요 산업 및 교역 현황을 간단히 분석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V4 간 무역 투자 관계와 비교우위 구조를 분석한다. V4 시장에 대한 SWOT 분석을 바탕으로 무역 확대방안을 도출하고, 우리나라의 對V4 유망수출상품을 선정하고자 한다. 결과: 우리나라의 對V4 무역 확대전략을 도출하면, 첫째, 전기전자,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전기차배터리, 에너지 등 제조업 및 건설업 전반에 걸친 對V4 산업협력 다각화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EU기금을 활용하여 공공 조달과 인프라 건설, 지역개발 프로젝트, 그리고 전자정부 및 정보화 시스템사업에 대한 수주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對V4 원자력발전 산업기술협력 확대 및 신규 원전 수주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對V4 시장에 대한 수출 유망품목 및 거래선 다변화, 그리고 수출마케팅 지원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對V4 유망수출품목으로 對세계 비교우위(RCA)를 갖는 상품 중 V4 시장에서의 점유율과 성장률이 높고, 수입 비중이 높은 품목을 선정하면, 차량 부분품과 부속품, TV 및 송수신기기 부분품, 기타(고유 기능의) 기계류, 엔진 부분품, 혈액 및 백신 용품, 펌프 압축기와 팬 등, 전자직접회로, 철 비합금강의 평판 압연제품 등 8개 품목이다. 독창성/가치: V4에 대한 기존 연구는 주로 EU 내의 중동부 유럽 2-3개 국가 또는 개별 국가, 또는 특정 국가의 특정 산업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비세그라드그룹 차원의 무역 투자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V4 국가 간의 무역 투자 현황과 구조를 분석한 이후, 우리나라가 추진하여야 하는 V4에 대한 무역 확대방안을 도출하고 對V4 유망수출상품을 선정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four countries in the Middle and Eastern Europe, known as the Visegrád Group(hereinafter, V4), analyzes the trade and investment relations and the comparative advantage structure bet...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four countries in the Middle and Eastern Europe, known as the Visegrád Group(hereinafter, V4), analyzes the trade and investment relations and the comparative advantag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the V4 and then attempts to derive Korea’s trade strategy and promising export products toward the V4 markets. Composition/Logic: First, we briefly analyze the macroeconomic and trade trends in the V4. Second, we analyze trade and investment relations and comparative advantag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the V4. Third, based on the SWOT analysis, we derive Korea’s trade strategy and promising export products toward the V4 markets. Findings: Korea’s trade strategy toward V4 is as follows: First, Korean firms should participate in public procuremen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utilizing the EU fund. Second, Korea should establish industrial technology cooperation with the V4 countries in nuclear power generation. Finally, Korea must diversify promising export items and trading lines in the V4 markets. The following eight items are among Korea s promising export products in the V4 markets: parts and accessories of the motor vehicles, parts for transmission, radar, and reception apparatus, other machinery and mechanical appliances, engine parts, blood products and vaccine supplies, air or vacuum pumps, air or other gas compressors and fans, electronic integrated circuits, flat-rolled products of iron or non-alloy steel, etc. Originality/Value: While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articular country, two or three countries, or on a particular industry in the Middle-Eastern Europe, the present study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overall trade-investment relations with Korea at the level of the V4.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비세그라드그룹의 경제, 산업 및 교역 현황 Ⅲ. 한국-비세그라드그룹 간 통상관계 Ⅳ. 비세그라드그룹에 대한 무역전략 Ⅴ. 요약 및 결론
      • Ⅰ. 서 론 Ⅱ. 비세그라드그룹의 경제, 산업 및 교역 현황 Ⅲ. 한국-비세그라드그룹 간 통상관계 Ⅳ. 비세그라드그룹에 대한 무역전략 Ⅴ. 요약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2 여택동, "한국의 對발트 3국 시장진출전략과 유망수출품목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20 (20): 79-105, 2018

      3 김승년, "한국과 폴란드 간 무역구조의 변화: 산업 간 무역과 산업 내 무역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23 (23): 87-108, 2019

      4 여택동, "한국과 비세그라드 그룹 간의 무역투자관계 분석" 한국국제상학회 32 (32): 271-297, 2017

      5 강유덕, "한국 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 10년의 평가와 무역 투자 네트워크활성화 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6 탁은명, "한-중미 FTA 체결 현황과 對중미 중소기업 수출유망품목 선별 및 FTA 효과 추계" 한국무역통계진흥원 2018

      7 조성대, "한-EU FTA체결에 따른 수출유망 품목 및 대일 수입전환 가능품목 검토"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09

      8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EU FTA와 슬로바키아의 경제협력"

      9 김혜빈, "유망수출품목 선정을 위한 對아세안 수출 전략" 한국무역통계진흥원 2018

      10 이철원, "슬로바키아의 주요 산업과 한 슬로바키아 산업협력 증진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1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2 여택동, "한국의 對발트 3국 시장진출전략과 유망수출품목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20 (20): 79-105, 2018

      3 김승년, "한국과 폴란드 간 무역구조의 변화: 산업 간 무역과 산업 내 무역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23 (23): 87-108, 2019

      4 여택동, "한국과 비세그라드 그룹 간의 무역투자관계 분석" 한국국제상학회 32 (32): 271-297, 2017

      5 강유덕, "한국 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 10년의 평가와 무역 투자 네트워크활성화 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6 탁은명, "한-중미 FTA 체결 현황과 對중미 중소기업 수출유망품목 선별 및 FTA 효과 추계" 한국무역통계진흥원 2018

      7 조성대, "한-EU FTA체결에 따른 수출유망 품목 및 대일 수입전환 가능품목 검토"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09

      8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EU FTA와 슬로바키아의 경제협력"

      9 김혜빈, "유망수출품목 선정을 위한 對아세안 수출 전략" 한국무역통계진흥원 2018

      10 이철원, "슬로바키아의 주요 산업과 한 슬로바키아 산업협력 증진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11 김신규, "비세그라드(Visegrád)를 통한 중부유럽 지역협력의 동력과 기회" EU연구소 (32) : 329-360, 2012

      12 김신규, "비세그라드 4개국(V4)의 새로운 교역, 투자유치 전략에 따른 한국의 대응 방안" EU연구소 (42) : 121-152, 2016

      13 김진수, "동유럽 자동차 제조업체 동향과 우리의 진출방안 – 체코, 폴란드 및 슬로바키아를 중심으로" 한국수출입은행 4-26, 2012

      14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동유럽 의료기기 및 공공조달 시장의 이해"

      15 Central Intelligence Agency, "The World Factbook"

      16 한국무역협회, "K-stat 무역통계"

      17 김승년, "EU와 유로존 가입이 수출입 산업구조에미치는 영향 : 체코와 슬로바키아에 대한 분석" EU연구소 (45) : 43-70, 2017

      18 United Nations, "Comtrade Database"

      19 조양현, "3대 중부유럽국의 FDI 유입동향 및 산업협력 방안" 2015

      20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019 세계시장 진출전략 Ⅰ" 유럽 , KOTRA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ctronic Trade Institute -> Korea E-Trad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 0.485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