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道路비탈면 綠化 試驗施工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the Experimental Construction of Planting for Road Slo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802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se day there are a lot of constructions for road and highway in South Korea, and it makes more slopes. These slopes which are made from road construction should be consider aboutits environmental impacts as vegetation variation, sediment discharge ...

      These day there are a lot of constructions for road and highway in South Korea, and it makes more slopes. These slopes which are made from road construction should be consider aboutits environmental impacts as vegetation variation, sediment discharge and landscape view. However, tree-planting is uniformed in method of construction and applied every slopes in South Korea without any concern about the environment and landscape, so it affects environment and landscape. Therefore, it is needed to draw up the plan which is eco-friendly and ecological.
      Generally, tree-planting for road slopes should be based on restoration of an ecosystem, wildlife habitat, and preservation of landscape in vegetation and methods of construction. However, the trends of South Korea's tree-planting is not enough to adapt to various construction sites, so it is happened that the tree-planting is failed or devastated.
      Recently, the guideline for EcoTeera method of construction which is made for restoration of environment and ecosystem, amenity and stability for human takes effect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This guideline regulates three major rules. At first, adaption of method for construction should be chosen b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o it can be habitats for wildlife. Second, the vegetation for tree planting should introduce the species which is naturally grow in the construction site, because the existing method of construction usually introduced western grass which is not suitable for wildlife habitats. Thirdly, the restoration goal should be clearly planned so that the suitable method of construction can be chosen.
      Thus, this study experimentally adapt the Ecoteera method with other exsting methods to the research site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With the result of adaptation, this study purposes to find suitable method of construction and to monitor the vegetation of each method to improve the the quality of tree-plant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배경 1
      • 1.2 연구목적 2
      • 제 2 장 선행연구 및 관련이론 4
      • 2.1 비탈면 녹화의 선행연구 4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배경 1
      • 1.2 연구목적 2
      • 제 2 장 선행연구 및 관련이론 4
      • 2.1 비탈면 녹화의 선행연구 4
      • 2.1.1 선행공법 연구개요 4
      • 2.1.2 전남이양∼능주간 선행공법 4
      • 2.1.3 얇은 식생기반재 취부 선행공법 7
      • 2.1.4 선행연구 결과 9
      • 2.2 생태복원의 이론 10
      • 2.2.1 생태복원 목표의 개요 10
      • 2.2.2 환경녹화지역의 구분 11
      • 2.2.3 생태자연도의 구분 13
      • 2.2.4 녹지자연도의 구분 14
      • 2.3 비탈면 생태복원목표 적용범위 17
      • 2.3.1 비탈면 생태복원 목표 17
      • 2.3.2 비탈면 생태복원 적용 17
      • 2.4 비탈면 생태복원목표 평가기준 18
      • 2.4.1 비탈면 시험시공 평가 18
      • 2.4.2 비탈면 시험시공 결과보고서 21
      • 제 3 장 연구대상지 및 조사방법 22
      • 3.1 시험시공지 주변환경분석 22
      • 3.1.1 시험시공위치 22
      • 3.1.2 현장여건검토 23
      • 3.1.3 자연환경조사검토 23
      • 3.1.4 대상지 주변의 식물상 24
      • 3.2 연구대상지에 따른 복원목표선정 25
      • 3.2.1 도로비탈면 녹화시험시공에 등급 선정 25
      • 3.2.2 식물군락의 복원녹화 목표유형선정 25
      • 3.3 시험시공 공법선정 26
      • 3.3.1 비탈면 녹화공법 선정절차 26
      • 3.3.2 비탈면 시공 공법선정 및 사면현황 27
      • 3.4 비탈면 녹화 시험시공 28
      • 3.4.1 비탈면 녹화공사 업무흐름도 28
      • 3.4.2 에코테라공법 29
      • 3.4.3 SF(Soil Flok)공법 30
      • 3.4.4 SS11 공법 30
      • 3.4.5 그린토 공법 30
      • 3.5 시험시공 종자선정 31
      • 3.6 시험시공 조사방법 35
      • 3.6.1 생육특성 35
      • 3.6.2 식생기반재(토양) 특성 36
      • 제 4 장 결과 및 고찰 37
      • 4.1. 식생기반 및 녹화지속성 37
      • 4.1.1 식생기반재의 화학적특성 37
      • 4.1.2 식생기반재 각공법별 화학적특성 38
      • 4.2 비탈면녹화 생육조사 개요 40
      • 4.2.1 제1차 생육조사개요 40
      • 4.2.2 제2차 생육조사개요 41
      • 4.2.3 제3차 생육조사개요 43
      • 4.2.4 제4차 생육조사개요 45
      • 4.3 비탈면녹화 공법별 생육조사 47
      • 4.3.1 생육조사에 의한 피복율(%) 47
      • 4.3.2 생육조사에 의한 식생생육량 50
      • 4.3.3 생육조사에 의한 평균 생육높이 54
      • 4.3.4 생육조사에 의한 병충해 57
      • 4.3.5 생육조사에 의한 목본성립 본수 58
      • 4.3.6 생육조사에 의한 초본 및 목본류의 출현종수 61
      • 4.4 최종항목별평가 및 경제성평가 68
      • 4.4.1 항목별 평가 68
      • 4.4.2 경제성 평가 72
      • 4.5 공법별 종합평가 73
      • 4.5.1 종합평가 등급표 73
      • 4.5.2 공법별 최종종합평가 74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