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창가요록』 양승민본의 문헌적 특징과 자료적 가치 = A Study on the Literature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Worth of the Yang Seung-min Version of "Yeochanggayor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850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새로 발굴한 필자 소장본 『여창가요록』을 소개, 고찰한 논문이다. 『여창가요록』 양승민본은 1853년도에 雲谷先生이라는 사람이 鶴仙娘子라는 京妓에게 필사해준 가집이다. 현전...

      이 글은 새로 발굴한 필자 소장본 『여창가요록』을 소개, 고찰한 논문이다. 『여창가요록』 양승민본은 1853년도에 雲谷先生이라는 사람이 鶴仙娘子라는 京妓에게 필사해준 가집이다. 현전 『여창가요록』 중 最古本에 해당하는 이본이다. 늦어도 1853년 이전에 편찬되었기에, 『가곡원류』의 초창기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양승민본 『여창가요록』은 후대 『가곡원류』가 갖춘 기본적 체재를 두루 구비한 이본이다. 따라서 여창 중심으로 편찬된 책이긴 하나 『가곡원류』의 한 이본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적어도 박효관 주변에서 필사된 책이며, 박효관이 직접 엮고 필사한 책일 가능성도 높다. 편찬 시기가 늦어도 1853년이므로, 『가곡원류』와 같은 가집의 체재가 이미 19세기 전반기에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창가요록』은 이후의 집대성 완성본 『가곡원류』에서 별도로 파생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먼저 이루어졌다. 여창 중심의 기방 유행본 『가곡원류』가 이미 초기본의 형태로 존재했다. 이후 안민영과의 공동 작업으로 국악원본 『가곡원류』와 같은 증보 완성본이 편찬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양승민본은 『가곡원류』의 형성 시기가 사실상 19세기 전반기임을 보여준다. 이 초기본의 발견으로 『가곡원류』의 형성기 모습 자체에 대한 연구가 구체적으로 가능해졌다. 『가 곡원류』라는 가집은 일시에 완성된 것이 아니라 19세기 가단의 움직임 속에서 다양하고 점진적인 형성 과정이 있었고, 여러 형태의 이본들이 당대의 시대적, 상황적 수요에 따라 유통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introduction and examination of "Yeochanggayorok" of the Yang Seung-min version that had been newly excavated. The Yang Seung-min version of "Yeochanggayorok" was an anthology transcribed and provided by Master Woongok to a Gyeo...

      This paper presents an introduction and examination of "Yeochanggayorok" of the Yang Seung-min version that had been newly excavated. The Yang Seung-min version of "Yeochanggayorok" was an anthology transcribed and provided by Master Woongok to a Gyeonggi gisaeng called Maiden Hakseon in 1853. It is an early version that is the oldest of the different remaining versions of "Yeochanggayorok." Since it was published before 1853 at the latest, it offers important materials to show the early formation process of "Gagokwonryu." First, the Yang Seung-min version of "Yeochanggayorok" is widely equipped with the formal framework of "Gagokwonryu" and accordingly another version of its in spite of the fact that it was published with a focus on Yeochang. Second, it is estimated that Park Hyo-gwan himself compiled and transcribed the Yang Seung-min version and published it in 1853. Such Yeochang-centric anthologies as the version must have been published before the completion of "Gagokwonryu" and in vogue around gisaengs`` saloons. Third, the version claims its worth as a material to advance the formation time of "Gagokwonryu" to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at the latest. The discovery of this early version of "Yeochanggayorok" made it possible to conduct concrete research on the aspects of "Gagokwonryu" themselves during its formation period. Finally, it is estimated that the anthology of "Gagokwonryu" was not completed at a time but went through various gradual formation processes in the middle of the movements of Gadan in the 19th century. As a matter of fact, there was no certain complete version of "Gagokwonryu"; instead, its versions of many different forms were wide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situations those day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경숙, "하순일 편집 '가곡원류'의 성립" 한국시조학회 (26) : 125-150, 2007

      2 愼慶淑, "조선후기 女唱 歌曲의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4

      3 김영욱, "조선후기 가집의 악론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27 : 35-50, 2001

      4 김신중, "역주 금옥총부" 박이정 2003

      5 심재완, "시조의 문헌적 연구" 세종문화사 51-63, 1972

      6 이동복, "박효관의 생애와 업적에 관한 연구" 국립국악원 14 : 131-186, 2002

      7 심재완, "금옥총부(周翁漫筆) 연구" 4 : 37-61, 1961

      8 신경숙, "고시조 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9 오종각, "가곡원류의 새로운 이본인 '知音' 연구" 단국대학교국어국문학과 15 : 303-325, 1997

      10 황충기, "가곡원류에 관한 연구" 국학자료원 1997

      1 신경숙, "하순일 편집 '가곡원류'의 성립" 한국시조학회 (26) : 125-150, 2007

      2 愼慶淑, "조선후기 女唱 歌曲의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4

      3 김영욱, "조선후기 가집의 악론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27 : 35-50, 2001

      4 김신중, "역주 금옥총부" 박이정 2003

      5 심재완, "시조의 문헌적 연구" 세종문화사 51-63, 1972

      6 이동복, "박효관의 생애와 업적에 관한 연구" 국립국악원 14 : 131-186, 2002

      7 심재완, "금옥총부(周翁漫筆) 연구" 4 : 37-61, 1961

      8 신경숙, "고시조 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9 오종각, "가곡원류의 새로운 이본인 '知音' 연구" 단국대학교국어국문학과 15 : 303-325, 1997

      10 황충기, "가곡원류에 관한 연구" 국학자료원 1997

      11 강경호, "가곡원류계 가집의 편찬 특성과 전개 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2 심재완, "가곡원류계 가집 연구" 1 : 1-80, 1967

      13 권순회, "歌曲과 時調의 접점: 신발굴 가집 『歌詞』의 특성과 계보" 국문학회 (23) : 119-142, 2011

      14 황인완, "『가곡원류』의 이본 계열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5 신경숙, "『가곡원류』 편찬 연대 재고" 한민족어문학회 (54) : 71-100, 2009

      16 신경숙, "『가곡원류』 초기본 형성과정과 의미-<육당본> <프랑스본>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36) : 37-70, 2011

      17 권순회, "『海東歌譜』(전북대 소장)의 性格" 한국시조학회 (28) : 229-261, 2008

      18 권순회,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詩歌曲』의 특성과 계보" 한국시가학회 29 : 157-179, 2010

      19 신경숙, "19세기 서울 우대의 가곡집, 『가곡원류』" 한국고전문학회 (35) : 1-32, 2009

      20 신경숙, "19세기 가집의 전개" 계명문화사 1994

      21 문주석, "19세기 古樂譜?歌集의 音樂論 考察" 한국시조학회 (26) : 187-222,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1.206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