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비속어의 나쁨 평가에 대한 계량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42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recognition of badness among the four subcategories of bad language words[BLWs] in English and Korean. The following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First, the semantic features are proposed 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recognition of badness among the four subcategories of bad language words[BLWs] in English and Korean. The following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First, the semantic features are proposed for each subcategory of BLWs in English and Korean. Second, the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s are employed to measure the relative strength of badness of the BLWs in English and Korean. The twelve semantic differential features are proposed to measure the relative strength of badness for each BLW in English and Korean. Korean speakers have more badness points on Korean BLWs than English speakers on English BLWs, which may be related to Korean high context culture. Korean speakers have the degree of strength under the hierarchy of swearwords〉vulgarity〉epithets〉slang, while English speakers have it under that of swearwords〉epithets〉slang〉vulgar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비속어 분류와 특성
      •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4. 결과 및 논의
      • 5. 결론
      • 1. 서론
      • 2. 비속어 분류와 특성
      •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4. 결과 및 논의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 강남준, "크로스플랫폼 통합시청 추적기법을 적용한 디지털 융합 환경의 방송프로그램 시청행태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356-383, 2011

      3 길은배, "청소년의 비속어, 은어 사용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언어 일탈, 통과 의례적 문화인가? -" 한국청소년학회 21 (21): 469-489, 2014

      4 문화체육관광부,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0

      5 최성학, "은어와 속어의 구분에 대한 고찰" 3 : 33-39, 2015

      6 김은정, "웹 게시판 유해 단어 현황, 문제점과 해결 방안의 제시" 11 : 84-90, 2003

      7 김상윤, "욕설의 특질에 관한 연구" 4 : 271-290, 2002

      8 전은진,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 ‘청소년 은어 사전’에 오른 은어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0 (20): 267-293, 2012

      9 이선영, "비속어와 욕설의 개념에 대하여" 중앙어문학회 64 : 59-80, 2015

      10 전병철, "댓글에 나타난 욕설의 형태 연구" 11 : 189-205, 2007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 강남준, "크로스플랫폼 통합시청 추적기법을 적용한 디지털 융합 환경의 방송프로그램 시청행태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356-383, 2011

      3 길은배, "청소년의 비속어, 은어 사용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언어 일탈, 통과 의례적 문화인가? -" 한국청소년학회 21 (21): 469-489, 2014

      4 문화체육관광부,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0

      5 최성학, "은어와 속어의 구분에 대한 고찰" 3 : 33-39, 2015

      6 김은정, "웹 게시판 유해 단어 현황, 문제점과 해결 방안의 제시" 11 : 84-90, 2003

      7 김상윤, "욕설의 특질에 관한 연구" 4 : 271-290, 2002

      8 전은진,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 ‘청소년 은어 사전’에 오른 은어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0 (20): 267-293, 2012

      9 이선영, "비속어와 욕설의 개념에 대하여" 중앙어문학회 64 : 59-80, 2015

      10 전병철, "댓글에 나타난 욕설의 형태 연구" 11 : 189-205, 2007

      11 배도용, "권력거리의 측면에서 살펴본 대학생 은어의 발생 요인과 기능 그리고 대화 함축" 동남어문학회 1 (1): 127-148, 2014

      12 장경희, "국어 욕설의 본질과 유형"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9 : 401-427, 2010

      13 김동언, "국어 비속어 사전" 프리미엄북스 1999

      14 허재영, "경멸적 평가어로서의 비속어 형성 과정과 요인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55) : 111-134, 2011

      15 황현숙, "‘상소리 집단’의 특수어 사용 실태 고찰" 30 (30): 165-184, 2004

      16 Pinker, Steven, "The Stuff of Thought: Language as a Window into Human Nature" Penguin Books 2007

      17 Berger, Claudia, "The Myth of Gender-Specific Swearing: A Semantic and Pragmatic Analysis" Verlag für Wissenschaft und Forschung 2002

      18 Stephens, Richard, "Swearing as a Response to Pain" 1056-1060, 2009

      19 Eble, Connie, "Slang and Sociability" UNC Press 1996

      20 Moore, Robert L, "On Swearwords and Slang" 87 (87): 170-189, 2012

      21 Baudhuin, E. Scott, "Obscene Language and Evaluative Responses: An Empirical Study" 399-402, 1973

      22 Moore, Robert, "Language with Attitude: American Slang and Chinese lǐyǔ" 14 (14): 524-538, 2010

      23 전지현, "L2 학습자들의 영어 욕설 사용 및 화용적 기능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23 (23): 225-250, 2016

      24 Allan, Keith, "Forbidden Words: Taboo and the Censoring of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5 Hall, Edward, "Beyond Culture" Anchor Books 1976

      26 Bettistella, Edwin, "Bad Language: Are Some Words Better than Other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7 Fägersten, Kristy, "A Sociolinguistic Analysis of Swear Word Offensiveness" 14-37,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언어학회(대표:홍재성) -> 한국언어학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언어학회(대표:임홍빈) -> 한국언어학회(대표:홍재성)
      영문명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 1.19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