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집단미술치료가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Improving Self-Esteem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053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실업계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실업계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집단미술치료를 받은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 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2. 집단미술치료를 받은 실험집단의 향상된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수준 에서 유지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강원도 태백에 소재한 H정보산업고등학교 1학년 두 학급의 학생 50명(실험집단 N=25, 통제집단 N=25)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질통제집단전후검사설계를 통해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후 전출 등의 문제로 통제집단에서 두 명의 학생이 탈락하여 실험집단 25명과 통제집단 2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김갑숙·이미옥·최선남·최외선(2006)의 ‘미술치료기법’에 소개된 미술치료기법들을 기본으로 본 연구자가 실험집단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주 1회 50분 동안 20회에 걸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실험 처치 후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검사를 사전, 사후, 추후로 나누어 실시하여 측정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사전, 추후-사전 점수의 평균을 t 검증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어려운 주관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의 HTP사전·사후검사와 실험 후 실시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보다 대체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향상된 자아존중감은 실험 후 30일이 지난 후에도 대체로 유의미하게 유지되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부정적 자아감의 문제를 안고 있었으며 실험 후에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향상됨으로 인해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에 의거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검증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for the self-esteem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for the self-esteem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group art therapy will improve much more meaningfully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improved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group art therapy will be maintained meaningfully.
      To examine the hypotheses of the study, 50 students - experimental group N=25, control group N=25 - were selected from two classes of the 1st grade at H Information-technology High school located in Taebaeksi, Gangwondo. In the stud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Group art therapy for experimental groups was based on art therapy technique of the Art Therapy Technique written by Kim Gab-suk, Lee Mi-ok, Choi Sun-nam and Choi Eoi-sun in 2005.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art group therapy one time a week for 50 minutes and 20 times in total, but control group received nothing.
      To show the effect of experiment, I collected measured materials through pre self-esteem test, post self-esteem test and self-esteem test later on. By using SPSS WIN 12.0 program, I verified through "T-verification", compared and analyzed the average score of post vs. pre test and test later on vs, pre tes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sides, to find out the subjective effect which was too difficult to verify in statistical aspect, I analyzed pre and post HTP test and the questionnaire after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more meaningfully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improved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part in group Art therapy maintained meaningfully 30 days later after experiment.
      Third, most of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who received group art therapy had negative self-esteem, but after experiment they has positive self-esteem and showed the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2
      • Ⅱ. 이론적 배경 = 3
      • 1. 집단 미술 치료 = 3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2
      • Ⅱ. 이론적 배경 = 3
      • 1. 집단 미술 치료 = 3
      • 1) 미술치료의 개념 = 3
      • 2) 미술치료의 개념적 모형 = 4
      • 3) 집단미술치료 = 7
      • 4) 미술치료의 목적 = 8
      • 5) 미술치료 적용기법 = 9
      • 2. 자아존중감 = 11
      • 1) 자아존중감의 개념 = 11
      • 2) 청소년기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 = 12
      • 3. 선행연구의 개관 = 12
      • 4. 연구가설 = 16
      • Ⅲ. 연구방법 = 17
      • 1. 연구의 대상 = 17
      • 2. 실험설계 = 17
      • 3. 측정도구 = 18
      • 4. 연구절차 = 19
      • 5.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 20
      • 1) 20회기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구안 = 20
      • 2) 회기별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 21
      • 6. 자료처리 방법 = 24
      • Ⅳ. 결과 및 해석 = 25
      • 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25
      • 1) 실험·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검사 결과 차이 검증 = 25
      • 2) 실험·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사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 26
      • 2.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지속적인 효과 = 30
      • 1) 실험·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추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 30
      • 2) 실험.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사후.추후검사 총점의 변화 비교 = 32
      • 3.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친 효과의 질적 분석 = 34
      • 1) 실험집단의 HTP 사전·사후검사 차이 분석 = 34
      • 2) 실험집단의 최종 소감문을 통한 개인별 반응 = 36
      • 3)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결과 = 38
      • Ⅴ. 논의 = 41
      • Ⅵ. 요약 및 결론 = 45
      • 1. 요약 = 45
      • 2. 결론 = 46
      • 참고문헌 = 49
      • Abstract = 54
      • 부록 =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