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동산 정책 대안 담론으로서의 국토보유세와 커먼즈: 경제사상사 맥락의 고찰 = Land Tenure Tax and Commons as a Discourse on Real Estate Policy Alternatives: A Review of the Context of Economic Thou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6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context of economic thought of the land tenure tax policy and commons discourse raised as a policy alternative to the real estate problem in Korea. The land tenure tax debate in South Korea was rooted in Henry George's re...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context of economic thought of the land tenure tax policy and commons discourse raised as a policy alternative to the real estate problem in Korea. The land tenure tax debate in South Korea was rooted in Henry George's rent theory and combined with the basic income theory. Henry George accepted Ricardo's liberal rent theory and advocated a single rent tax in which the state absorbs rent. Real estate commons discourse seeks to form and combine non-liberal and non-state means in a market and state-centered housing system. In South Korea, social housing with commons characteristics is being introduced between private and public housing, and the concept of youth commons linked to the concept of basic assets is also emerging. In the commons discourse, there are various flows of institutionalist and movement approaches. The institutionalist approach discovers various cas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market and state solutions, and the radical approach has various trends, such as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e owner's society or emphasizing the freedom of the comm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부동산 문제에 대한 정책 대안으로 제기된 국토보유세 정책과 부동산 커먼즈 담론의 경제사상적 맥락을 고찰하였다. 한국에서의 국토보유세논의는 헨리 조지의 지대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부동산 문제에 대한 정책 대안으로 제기된 국토보유세 정책과 부동산 커먼즈 담론의 경제사상적 맥락을 고찰하였다. 한국에서의 국토보유세논의는 헨리 조지의 지대 이론에 뿌리를 두면서 기본소득 이론과 결합했다. 헨리조지는 리카도의 자유주의적 지대 이론을 수용하면서 지대를 국가가 흡수하는 단일지대세를 주장했다. 부동산 커먼즈 담론은 시장과 국가 중심의 주거 체제 속에서비자유주의적이면서 비국가적 수단을 형성하고 결합하는 방안을 추구한다. 한국에서는 민간주택과 공공 주택 사이에 커먼즈 성격을 지닌 사회 주택을 도입하는 실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기본자산 개념과 연계된 청년 커먼즈에 대한 구상도 등장하는 중이다. 커먼즈 담론은 제도주의 접근법과 운동적 접근의 다양한 흐름이 존재한다. 제도주의 접근은 시장과 국가 해법과는 다른 다양한 현실의 사례를 발굴하고있으며, 급진적 접근에서는 소유자 사회에 대한 문제에 집중하거나 공동체의 자유에 강조하는 등 다양한 흐름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강수, "헨리 조지와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 KB금융공익재단·한국사회과학연구회 경제학 고전 강의"

      2 정영신, "한국의 커먼즈론의 쟁점과 커먼즈의 정치" 한국아시아학회 23 (23): 237-260, 2020

      3 안현효, "프루동의 아나키즘: 개인과 자유를 위하여. KB금융공익재단·한국사회과학연구회 경제학 고전 강의"

      4 곽태원, "토지는 공유되어야 하는가?: 『진보와 빈곤』에 나타난 헨리 조지의토지사상평가" 한국경제연구원 2005

      5 김덕영, "토지 정의 운동, 새로운 30년을 꿈꾸다"

      6 데이비드 하비, "커먼즈의 미래" (177) : 2017

      7 박배균, "커먼즈의 도전: 경의선 공유지 운동의 탄생, 전환, 상상" 빨간소금 2021

      8 이일영, "커먼즈와 새로운 체제: 대안을 찾아서" (178) : 2017

      9 이재경, "청년 커먼즈 실험 프로젝트"

      10 헨리 조지, "진보와 빈곤: 산업 불황의 원인과 빈부격차에 대한 탐구와 해결책" 현대지성 2019

      1 전강수, "헨리 조지와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 KB금융공익재단·한국사회과학연구회 경제학 고전 강의"

      2 정영신, "한국의 커먼즈론의 쟁점과 커먼즈의 정치" 한국아시아학회 23 (23): 237-260, 2020

      3 안현효, "프루동의 아나키즘: 개인과 자유를 위하여. KB금융공익재단·한국사회과학연구회 경제학 고전 강의"

      4 곽태원, "토지는 공유되어야 하는가?: 『진보와 빈곤』에 나타난 헨리 조지의토지사상평가" 한국경제연구원 2005

      5 김덕영, "토지 정의 운동, 새로운 30년을 꿈꾸다"

      6 데이비드 하비, "커먼즈의 미래" (177) : 2017

      7 박배균, "커먼즈의 도전: 경의선 공유지 운동의 탄생, 전환, 상상" 빨간소금 2021

      8 이일영, "커먼즈와 새로운 체제: 대안을 찾아서" (178) : 2017

      9 이재경, "청년 커먼즈 실험 프로젝트"

      10 헨리 조지, "진보와 빈곤: 산업 불황의 원인과 빈부격차에 대한 탐구와 해결책" 현대지성 2019

      11 최경호, "주거체제로 본 사회주택: 주거 안정과 사회 통합을 위한 공급 생태계 다변화의 초석"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11) : 115-156, 2021

      12 김진방, "제번스와 한계혁명. KB금융공익재단·한국사회과학연구회 경제학 고전 강의"

      13 전강수, "잘 알려지지 않은 국토보유세의 진실 : 장점과 도입 방안" (46) : 2021

      14 Harvey, D., "자본주의와 경제적 이성의 광기" 창비 2019

      15 Piketty, T., "자본과 이데올로기" 문학동네 2020

      16 송기호, "용산·가락시장을 청년 기본도시로"

      17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 "소유란 무엇인가" 아카넷 2003

      18 이재경, "서울시 도시재생정책 분석 : 경쟁적 커먼즈 개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21

      19 이상영 ; 서정렬, "사회적경제 주체를 활용한 사회임대주택 공급의쟁점과 대안"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04) : 282-315, 2018

      20 전강수, "불평등시대 부동산정책의 방향" 2021

      21 남기업, "불로소득 환수형 부동산체제론: 부동산공화국 탈출하기" 개마고원 2021

      22 김수현, "부동산은 끝났다" 오월의 봄 2011

      23 전강수, "부동산공화국을 넘어 땀이 대우받는 세상으로 가는 길" (192) : 2021

      24 이일영, "부동산 대혼란,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25 이상영, "문재인 정부 부동산정책의 경제적 평가와 부동산정책 설계" 2021

      26 박만섭, "리카도: 증권 거래의 귀재, ‘악덕’의 경제학자. KB금융공익재단·한국사회과학연구회 경제학 고전 강의"

      27 박윤혜 ; 백일순, "돌봄의 위기와 대안으로서의 커먼즈: 협동조합형 아파트 공동체 위스테이 별내를 사례로" 한국공간환경학회 31 (31): 208-245, 2021

      28 박인권 ; 김진언 ; 신지연, "도시 커먼즈 관리의 내재적 모순과 도전들: ‘경의선공유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9 (29): 62-113, 2019

      29 이일영, "기본소득에서 기본자산으로: 동아시아형 뉴딜과 청년 기본자산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10) : 114-150, 2020

      30 Standing, G., "기본소득: 일과 삶의 새로운 패러다임" 창비 2018

      31 신진욱, "국제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주거자본주의 체제의 특성"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1) : 113-156, 2011

      32 Standing, G, "공유지의 약탈: 새로운 공유 시대를 위한 선언" 창비 2021

      33 Ostrom, E., "공유의 비극을 넘어" 랜덤하우스코리아 2010

      34 조성자 ; 임재만, "공동주택 지배구조와 입주자 집합행동이 관리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정평가학회 19 (19): 101-123, 2020

      35 류동민, "『자본론』이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 KB금융공익재단·한국사회과학연구회 경제학 고전 강의"

      36 김영배, "‘헨리 조지’가 집값 잡으러 온다"

      37 이승윤, "2017년 대선후보들의 기본소득 공약과 이상(理想)의 기본소득"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4-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영문명 : Korea Social Science Institute -> Korea Social Scienc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9 2.39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