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수학 교과서의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 특성 연구 = A Study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Number and Operation Area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394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obtain teaching/learning implications for effective use of questions when teaching number and operation area, the types of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number and operation area of 2015 revised elementary math textb...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obtain teaching/learning implications for effective use of questions when teaching number and operation area, the types of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number and operation area of 2015 revised elementary math textbooks and the function of ques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grade cluster.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types of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number and operation area showed a high percentage of occurrences in the order of reasoning questions, factual questions, and open questions not calling for reasoning in common by grade cluster. And reasoning questions were predominant in all grade clusters. In addition, in all grade clasters, the proportion of questions acting as a function to help guess, invention, and solving problems and questions acting as a function to help mathematical reasoning were relatively high. As such, it can be inferred that the types and functions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number and operation area ar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content by grade cluster. This research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of advanced teaching/learning plans by providing reference materials in the questions when teaching number and operation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수와 연산 영역 지도 시 효과적인 발문 활용에 있어서 교수·학습상의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와 연산 영역 단원�...

      본 연구에서는 수와 연산 영역 지도 시 효과적인 발문 활용에 있어서 교수·학습상의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작용 기능을 학년군별로 비교 분석하여 발문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은 학년군별로 공통되게 추론 발문, 사실 발문, 추론을 요구하지 않는 열린 발문 순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모든 학년군에서 추론 발문이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모든 학년군에서 문제의 추측, 발명, 해결 활동을 돕는 기능으로 작용하는 발문과 수학적추론을 돕는 기능으로 작용하는 발문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처럼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작용 기능은 학년군별 학습 내용의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와 연산 영역 지도에활용할 수 있는 발문 구안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여 발전적인 교수·학습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정숙, "초등학교 학생들의 계산 능력과 수감각(Number Sense)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8 (8): 423-444, 2005

      2 도주원, "초등수학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24 (24): 189-202, 2021

      3 도주원, "초등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기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60 (60): 265-279, 2021

      4 Reys, E. R.,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 법" 교우사 2017

      5 이지승, "초등 수학 수업에 나타나는 초임 교사의 발문 유형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2017

      6 변홍규, "질문제시의 기법: 능률적 질문기법 훈련프로그램" 교육과학사 1994

      7 Ginsburg, H., "아동의 산수: 학습과정 –교사와 부모를 위한 산수지도의 내용과 방법" 중앙적성출판사 1990

      8 Baroody, A. J.,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경문사 2006

      9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10 강완 ; 장윤영 ; 정선혜, "수학 수업 발문유형 분석 및 대안 탐색 - 신임 교사 사례 연구 -" 한국수학교육학회 14 (14): 293-302, 2011

      1 방정숙, "초등학교 학생들의 계산 능력과 수감각(Number Sense)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8 (8): 423-444, 2005

      2 도주원, "초등수학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24 (24): 189-202, 2021

      3 도주원, "초등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기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60 (60): 265-279, 2021

      4 Reys, E. R.,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 법" 교우사 2017

      5 이지승, "초등 수학 수업에 나타나는 초임 교사의 발문 유형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2017

      6 변홍규, "질문제시의 기법: 능률적 질문기법 훈련프로그램" 교육과학사 1994

      7 Ginsburg, H., "아동의 산수: 학습과정 –교사와 부모를 위한 산수지도의 내용과 방법" 중앙적성출판사 1990

      8 Baroody, A. J.,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경문사 2006

      9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10 강완 ; 장윤영 ; 정선혜, "수학 수업 발문유형 분석 및 대안 탐색 - 신임 교사 사례 연구 -" 한국수학교육학회 14 (14): 293-302, 2011

      11 교육부, "수학 6-2" 천재교육 2019

      12 교육부, "수학 6-1" 천재교육 2019

      13 교육부, "수학 5-2" 천재교육 2019

      14 교육부, "수학 5-1" 천재교육 2019

      15 교육부, "수학 4-2" 천재교육 2018

      16 교육부, "수학 4-1" 천재교육 2018

      17 교육부, "수학 3-2" 천재교육 2018

      18 교육부, "수학 3-1" 천재교육 2018

      19 교육부, "수학 2-2" 천재교육 2017

      20 교육부, "수학 2-1" 천재교육 2017

      21 교육부, "수학 1-2" 천재교육 2017

      22 교육부, "수학 1-1" 천재교육 2017

      23 Carpenter, T. R., "Thinking mathematically: integrating arithmetic & algebra in elementary school" Heinemann 2003

      24 Corey, S., "The teachers out-talk the pupils" 48 : 745-752, 1940

      25 Wilen, W. W., "Questioning skill, for teachers"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991

      2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1991

      2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 "Principles to actions: ensuring mathematics success for all" 2014

      28 Watson, K., "Literacy through “language arts”: teaching and learning in context"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39-49, 1986

      29 Barnes, D., "Langage, the Learner & the School" Penguin Books 11-77, 1990

      30 Vacc, N. N., "Implementing the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question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41 (41): 88-91, 1993

      31 Sowder. J. T.,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371-389, 1992

      32 Brualdi, A. C., "Classroom questions. ERIC/AE Digest" ERIC Clearinghouse on Assessment and Evaluation 1998

      3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 "Algebra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roceeding of the August 1992 conference" 1992

      34 Chang, C. C., "A review and content analysis of mathematics textbooks in educational research" 75 (75): 235-251, 2017

      35 Risner, G., "A closer look at textbooks" 30 (30): 42-73,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0.97 1.51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