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서지역 고려·조선시대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0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71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 반세기 동안 호서지역과 관련된 고려 및 조선시대사 연구를 되돌아보고, 지역사 연구자의 관점에서 개선이나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을 과제...

      본고는 1971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 반세기 동안 호서지역과 관련된 고려 및 조선시대사 연구를 되돌아보고, 지역사 연구자의 관점에서 개선이나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대체로 호서지역에 대한 역사 연구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다수의 성과가 누적되었다. 먼저 고려시대는 나말여초 호족과 고려의 후삼국 통일 과정, 지방통치와 행정구역, 대외항쟁과 지역별 전투, 연안해로와 육상교통, 불교 관련 및 특정 가문 연구의 총 5개 주제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조선시대는 지방 행정, 지방 군제, 향촌 사회, 서원과 향고, 군사사, 지방 재정과 경제, 일기와 고문서의 총 7개 주제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과제로는 지역사 연구의 기초 작웁으로 자료 수집 및 목록과 해제의 정비, 다양한 연구 주제의 발굴, 지역 간의 연구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광역 단위의 연구 시도, 인물사 연구의 필요성, 장기적인 후속 연구세대의 양성 등을 언급함으로써 지역사 연구 역략을 한층 더 증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historical studies on Goryeo and Joseon, conducted in the Hoseo region during the half century from Jan., 1971 to Aug., 2021 and proposed the parts which are thought to be improved or complemented as the challenges, from the pe...

      This study reviewed the historical studies on Goryeo and Joseon, conducted in the Hoseo region during the half century from Jan., 1971 to Aug., 2021 and proposed the parts which are thought to be improved or complemented as the challenges,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history researcher. Most of fully-fledged historical studies on the Hoseo region began since 1980s and multiple performances of them were accumulated by 2000s. At first,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five themes: powerful families in the period between the late Silla and the early Goryeo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post three kingdoms were united into Goryeo, local governance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strife against foreign aggression and battles by locations, coastal routes and land transportation, and research on Buddhism and specific families. Next,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seven themes: local administration, the local military system, rural community, private schools and local schools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 historical research on military, local finance and economy, and diaries and ancient documents. This study attempts to seek out an opportunity to further enhance the capacity of historical studies on regions, by referring to the collection of data and the organization of list and bibliographical notes of them, the discovery of various study themes, metropolitan-based research for resolving the imbalance of studies on different regions, the need for historical studies on figures and the regular cultivation if future research generation, as the ground work for historical studies on regions, the future challen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려시대사 연구 현황
      • Ⅲ. 조선시대사 연구 현황
      • Ⅳ. 호서지역 연구의 과제와 전망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려시대사 연구 현황
      • Ⅲ. 조선시대사 연구 현황
      • Ⅳ. 호서지역 연구의 과제와 전망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승주, "호서지방 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문제" 30 : 1986

      2 이병희, "호서사학회 전근대 한국사 연구 40년의 동향과 과제" 호서사학회 (61) : 47-85, 2012

      3 이수건, "한국에 있어서 지방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20·21 : 1982

      4 한국문화연구원, "한국사연구 50년" 혜안 2005

      5 김상기, "충청지역 鄕土史연구의 성과―향토지를 중심으로" 35 : 2003

      6 김의환, "충북지역사 논저총목록" 선인 2007

      7 김의환, "충북 지역사 연구현황과 과제―조선시대사를 중심으로" 20 : 2018

      8 이병희, "충북 지방사 연구 序說" 3 : 2002

      9 윤용혁, "충남지역 고려시대 연구의 현황과 과제" 12 : 2011

      10 김동진, "조선시대 충북 지방사 연구의 동향" 3 : 2002

      1 안승주, "호서지방 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문제" 30 : 1986

      2 이병희, "호서사학회 전근대 한국사 연구 40년의 동향과 과제" 호서사학회 (61) : 47-85, 2012

      3 이수건, "한국에 있어서 지방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20·21 : 1982

      4 한국문화연구원, "한국사연구 50년" 혜안 2005

      5 김상기, "충청지역 鄕土史연구의 성과―향토지를 중심으로" 35 : 2003

      6 김의환, "충북지역사 논저총목록" 선인 2007

      7 김의환, "충북 지역사 연구현황과 과제―조선시대사를 중심으로" 20 : 2018

      8 이병희, "충북 지방사 연구 序說" 3 : 2002

      9 윤용혁, "충남지역 고려시대 연구의 현황과 과제" 12 : 2011

      10 김동진, "조선시대 충북 지방사 연구의 동향" 3 : 2002

      11 이병희, "고려시대 충북 지방사 연구의 동향" 3 : 2002

      12 한국사연구회, "韓國地方史 硏究의 現況과 課題" 景仁文化社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
      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호서사학
      외국어명 : HO-SUH SAHAK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6 0.95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