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罰이 兒童의 自我槪念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3702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全南大學校, 199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4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2.61 판사항(3)

      • DDC

        371.542 판사항(19)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v,56장; 26cm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硏究는 兒童이 知覺하고 있는 罰의 실태 및 兒童의 自我槪念을 조사 분석하고, 罰과 自我槪念과의 관계를 밝혀 罰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敎育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

      본 硏究는 兒童이 知覺하고 있는 罰의 실태 및 兒童의 自我槪念을 조사 분석하고, 罰과 自我槪念과의 관계를 밝혀 罰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敎育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硏究의 目的에 따라 수행된 硏究 問題는
      첫째, 學校(學級)生活에서 兒童들이 받는 罰의 유형별 실태는 어떠하며, 이에 대한 兒童들의 知覺은 어떠한가?
      둘째, 兒童들의 自我槪念 수준은 어떠한가?
      세째, 兒童들이 知覺한 罰에 대한 하위 요인과 兒童의 自我槪念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로 정하여
      광주직할시에 있는 국민학교 6학년 兒童을 가급지 學校 3개교에서 165명, 나급지 學校 3개교에서 136명 다급지 學校 4개교에서 13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 조사하였다. 조사로 얻어진 자료는 기초 통계량을 산출한 후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ANOVA -tukey 검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兒童들이 받는 罰의 유형은 매 벌서기, 주의 가운데 매가 가장 많고 벌서기가 가장 적으며, 대체로 罰의 필요성을 긍정하고 있다. 男女學生간에 罰의 量에는 차이가 없으나,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罰을 자주 받고 敎師가 罰을 많이 가한다고 知覺하였다. 또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담임을 할수록 罰이 더 필요하고, 남교사가 담임일 경우 罰이 더 부당하다고 知覺하였다.
      둘째, 兒童의 自我職念 하위 요인 중 家庭的 自我만이 평균이 높게 나타났고, 自我評價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점수가 의미있게 낮았다.
      셋째, 罰에 대한 知覺과 兒童들의 自我槪念과는 매우 약한 상관을 보였다. 그래서 罰의 量과 罰의 頻度에 대한 知覺을 기준으로 罰 소집단과 罰 다집단으로 나누고 自我槪念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罰의 量과 自我槪念과는 道德的 自我와 性格的 自我만이 의미있는 상관을 보였을뿐 전체자아와 自我槪念의 나머지 하위 요인들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罰의 頻度에 대한 知覺과 自我槪念과는 전체자아는 물론 自我槪念의 하위 요인 모두 의미있는 상관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actual status of punishment and the self-concept of children, reveals the relations between punishment and self-concept and then is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due to the punishment and to devise the methods w...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actual status of punishment and the self-concept of children, reveals the relations between punishment and self-concept and then is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due to the punishment and to devise the methods which can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s. The research problems according to these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s of punishments do children receive in their classroom and what perceptions do they show?
      Second, what level of self-concept do children show?
      Third, what relations between sub-factors of punishment and the self-concept of children do exist?
      With these questions, the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165 students of 6th grade in 3 elementary schools of "A" Type, 132 students in 3 elementary schools of "B" type, and 132 students in 4 elementary schools of "C" type and then the results are examined.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urvey are estimated for basic statistics and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t test and ANDVA - TUKEY test are use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punishment children receive are whipping, penalty and warning and among them, whipping is most common and the penalty is most rare and generally children affirm the necessity of punishment.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punishment between girl and boy students, they perceive that boy students are more frequently punished than the girl students and so do men teachers. And it is perceived that women teachers in charge of class need more punishments than men teachers and in the case of men teachers, the punishment is unreasonable.
      Second, among sub-factors of self-concept of children, only family-self shows high average and in the self-criticism, the score of girl student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oy students.
      Third, perception of the punishment and self-concept of children show very weak correlations. So the punished and non-punished groups are divided on the basis of the amount and frequency of punishment and its relation with self-concept is analyzed. As a result,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ral self and personal self bassed on the amount of punishment and self-concept and there is non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otal self and the remanining factors. And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ption of punishment and self-concept as well as total self in sub-factors of self-concep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國文抄錄) = iv
      • I. 緖論 = 1
      • A. 硏究의 必要性 = 1
      • B. 硏究의 目的과 問題 = 2
      • 목차
      • (國文抄錄) = iv
      • I. 緖論 = 1
      • A. 硏究의 必要性 = 1
      • B. 硏究의 目的과 問題 = 2
      • II. 理論的 背景 = 3
      • A. 罰과 敎育 = 3
      • B. 自我槪念의 特性 = 7
      • C. 罰과 自我槪念의 關係 = 11
      • D. 先行 硏究의 考察 = 13
      • III. 硏究의 方法 및 節次 = 16
      • A. 標集 = 16
      • B. 調査 方法 = 16
      • C. 調査 道具 = 17
      • D. 資料 處理 方法 = 19
      • E. 硏究의 制限點 = 20
      • IV. 結果 및 解釋 = 21
      • A. 罰에 대한 兒童들의 知覺 실태 = 21
      • B. 兒童의 自我槪念 分析 = 26
      • C. 罰과 自我槪念의 關係 = 28
      • V. 論議 및 結論 = 35
      • A. 論議 = 35
      • B. 結論 = 38
      • *參考文獻 = 42
      • *英文抄錄 = 46
      • 부록 = 48
      • 부록I. 兒童의 罰에 관한 의식 調査 = 48
      • 부록II. 兒童의 自我槪念 檢査 =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