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화 유형에 따른 에너지 피드백의 효과 =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Visualization Types of Energy Feedbac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640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용자의 에너지 절감 행동 유도를 위하여 가정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두 가지 시각 유형의 에너지 피드백 디자인으로 제작하고, 이에 따라 인구통계학 요인별 피드백 전략 도...

      본 연구는 사용자의 에너지 절감 행동 유도를 위하여 가정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두 가지 시각 유형의 에너지 피드백 디자인으로 제작하고, 이에 따라 인구통계학 요인별 피드백 전략 도출을 목표로 한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유형화한 이성 소구 피드백과 감성 소구 피드백은 각각 바(bar) 그래프와 북극곰 위젯(widget) 디스플레이로 디자인하였다. 피드백 유형의 시각적인 차이에 근거한 사용자의 이해도, 선호도, 절전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 실험 후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이성 소구 피드백은 낮은 연령과 공학/사회과학 분야의 사람에게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감성 소구 피드백은 낮은 연령일수록 높은 이해도를 보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인문/예술 분야가 다른 분야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네 가지 에너지 피드백 전략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raw up energy feedback strategies on demographic factors through two visualization types of energy feedback for inducing energy saving behaviors. Through the background study, we analyzed visual types for energy feedback design and...

      This study aims to draw up energy feedback strategies on demographic factors through two visualization types of energy feedback for inducing energy saving behaviors. Through the background study, we analyzed visual types for energy feedback design and these types are classified into Rational Appeal Feedback and Emotional Appeal Feedback. Each of feedback types is designed as Bar Graph and Polar Bear Widget Display. This study draws conclusions through online survey method for evaluating user`s understanding, preference and behavior intention based on visual distinction. Firstly, the understanding of rational appeal feedback among under age 20 is better than 30 age or older. People in engineering or social sciences major/occupation have a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of rational appeal feedback. Secondly, emotional appeal feedback draw up high understanding with low age. In the case of preference, women were higher than men, and the major/occupation of humanities and arts had a relatively higher average value than other fields.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of each feedback type, there were high correlation between understanding, preference, and behavior intention of each feedback type. Finally, feedback strategy for each type of users is deriv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데일리"

      2 "한국에너지공단"

      3 전소윤, "전기절약에 대한 경각심과 행동을 유발하는 지능형 시스템 디자인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4 문재호, "전기에너지 절감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적용 요소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215-223, 2015

      5 이재윤, "연구자의 투고 학술지 현황에 근거한 국내 학문분야 네트워크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25 (25): 327-345, 2008

      6 손민정, "에코피드백의 디자인 패턴에 따른 사용자 인식 및 행동 변화" 2013

      7 조성진, "에너지효율 어플(APPs)의 가계전력 소지 절감 효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8 최미경, "에너지 절감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아파트 관리비 고지서 리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583-598, 2011

      9 Dillahunt, T., "Using social technologies to increase sharing and communication around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in low-income and rental communities"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12

      10 Froehlich, J., "UbiGreen: investigating a mobile tool for tracking and supporting green transportation habits" ACM 2009

      1 "환경데일리"

      2 "한국에너지공단"

      3 전소윤, "전기절약에 대한 경각심과 행동을 유발하는 지능형 시스템 디자인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4 문재호, "전기에너지 절감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적용 요소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215-223, 2015

      5 이재윤, "연구자의 투고 학술지 현황에 근거한 국내 학문분야 네트워크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25 (25): 327-345, 2008

      6 손민정, "에코피드백의 디자인 패턴에 따른 사용자 인식 및 행동 변화" 2013

      7 조성진, "에너지효율 어플(APPs)의 가계전력 소지 절감 효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8 최미경, "에너지 절감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아파트 관리비 고지서 리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583-598, 2011

      9 Dillahunt, T., "Using social technologies to increase sharing and communication around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in low-income and rental communities"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12

      10 Froehlich, J., "UbiGreen: investigating a mobile tool for tracking and supporting green transportation habits" ACM 2009

      11 Froehlich, J.,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prototype eco-feedback displays for fixture-level water usage data" 2012

      12 Quintal, F.,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prototype eco-feedback displays for fixture-level water usage data" 2012

      13 Froehlich, J., "Sensing and Feedback of Everyday Activities to Promot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Behaviors" 2009

      14 Forehlich, J., "Sensing and Feedback of Everyday Activities to Promot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Behaviors" University of Washington 2011

      15 Chen, H.M., "Persuasive feedback model for inducing energy conservation behaviors of building users based on interaction with a virtual object" 45 : 2012

      16 Froehlich, J., "Investigating a Mobile Tool for Tracking and Supporting Green Transportation Habits"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2-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KCI등재
      2012-0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연구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KCI등재
      2011-12-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포디자인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Design ->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KCI등재
      2011-12-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포디자인이슈 -> 디자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InfoDESIGN ISSUE -> Design Convergence Stud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1 0.53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