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산지별 복분자와 시판 복분자주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380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주요 산지 9개소(전북 고창, 순창, 정읍, 전남 함평, 강원도 횡성, 충남 당진, 충남 논산, 경남 거창, 전남 곡성)에서 생산된 복분자와 전국에서 시판되는 24종의 복분자주를 수거하여 이...

      국내 주요 산지 9개소(전북 고창, 순창, 정읍, 전남 함평, 강원도 횡성, 충남 당진, 충남 논산, 경남 거창, 전남 곡성)에서 생산된 복분자와 전국에서 시판되는 24종의 복분자주를 수거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각 지역별 복분자와 시판 복분자주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당도와 총산도, L값, b값, Hue, Intensity와 같이 색상관련 항목과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phenolic), 유기산 함량에서 시료간의 차이가 컸다. 일반적으로 음료 및 주류로의 제품화에서 주요 항목인 총 산도, Brix, 환원당에서 정읍(naja) 시료가 다른 지역의 복분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곡성(woori)과 논산(neulso) 시료의 경우 색상 진하기 정도인 Intensity,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유기산 수준에서 다른 시료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여 착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품종 개량이나 재배 환경 최적화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복분자 품종에 대한 정확한 조사 및 관리가 명확하지 않아 품종이나 지역 간의 비교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 하고 있다. 향후 복분자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원료인 복분자의 품종, 재배지역 및 재배 방법 등에 따른 다양한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분석과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복분자주의 경우도 이화학적 특성에서 지역 간의 차이보다 각각 시료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향후 관능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조사를 통한 좀 더 상세한 연계 조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black raspberry fruits (bokbunja) were collected from 11 different producing regions, and commercial black raspberry wines were obtained from 24 manufacturers. Samples were analyzed for soluble solids, titratable acidity, pH, reducing sugar con...

      Korean black raspberry fruits (bokbunja) were collected from 11 different producing regions, and commercial black raspberry wines were obtained from 24 manufacturers. Samples were analyzed for soluble solids, titratable acidity, pH, reducing sugar content, hunter color values, intensity, hue, total phenolic content, and organic acids. The fruit samples showed similar pH levels (3.43-3.52), but significantly differed in total acidity levels (9.98-16.2 g/L). The predominant organic acids in the fruit samples were citric acids (1.39-5.63 mg/mL) and succinic acids (0.25-6.53 mg/mL). Among the samples, black raspberry fruits from Goksung and Nonsan showed the lowest levels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the lowest values in intensity. The fruits from Jeongeup and Sunchang showed higher levels of phenolic content, soluble solids, and intensity. Some wine samples, including BH, KO, SR, and SE, showed overall high levels of phenolic content, organic acids like citric and succinic acid, and color values such as a*, b*, and intensity. Other wine samples, including DW, SC, GJ, and NB, were high in acetic acid, color values like L*, and hu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영희, "한국에서의 자생 복분자딸기 분포 및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1 (21): 176-185, 2007

      2 이장은, "한국산 적포도주의 색도 변화에 관한 연구 (II)" 한국식품과학회 34 (34): 164-169, 2002

      3 이승주, "포도 품종을 달리한 한국산 포도주의 제조 및 기호도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11-918, 2004

      4 김진경,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 추출물의 항염증효과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42-347, 2007

      5 김지명, "숙성에 따른 토종 복분자 딸기의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3 (43): 341-347, 2011

      6 차환수, "성숙단계별 복분자딸기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476-479, 2007

      7 이미경, "복분자 열매 추출물의 유용 생리활성 탐색" 한국약용작물학회 11 (11): 5-12, 2003

      8 최한석, "복분자 발효주의 양조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8 (38): 543-547, 2006

      9 김만조, "대립 다수성 복분자딸기 선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91 (91): 96-101, 2002

      10 박원목, "국내재배 Campbell's Early 포도품종의 적포도주 제조 적합성" 한국식품과학회 34 (34): 590-596, 2002

      1 안영희, "한국에서의 자생 복분자딸기 분포 및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1 (21): 176-185, 2007

      2 이장은, "한국산 적포도주의 색도 변화에 관한 연구 (II)" 한국식품과학회 34 (34): 164-169, 2002

      3 이승주, "포도 품종을 달리한 한국산 포도주의 제조 및 기호도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11-918, 2004

      4 김진경,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 추출물의 항염증효과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42-347, 2007

      5 김지명, "숙성에 따른 토종 복분자 딸기의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3 (43): 341-347, 2011

      6 차환수, "성숙단계별 복분자딸기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476-479, 2007

      7 이미경, "복분자 열매 추출물의 유용 생리활성 탐색" 한국약용작물학회 11 (11): 5-12, 2003

      8 최한석, "복분자 발효주의 양조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8 (38): 543-547, 2006

      9 김만조, "대립 다수성 복분자딸기 선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91 (91): 96-101, 2002

      10 박원목, "국내재배 Campbell's Early 포도품종의 적포도주 제조 적합성" 한국식품과학회 34 (34): 590-596, 2002

      11 이승주, "국내 복분자 주요 산지별 복분자주 제조 및 발효특성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41 (41): 662-667, 2009

      12 Amerine MA, "Wine: An introdu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7-133, 1976

      13 Zoecklein BW,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447-449, 1995

      14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31 : 426-428, 1959

      15 Zoecklein BW, "Production wine analysis" 129-168, 1990

      16 Chung TH, "Potential antiviral effects of Terminalis chebula, Sanguisorba officinalis, Rubus coreanus and Rheum palmatum against duck hepatitas B virus (DHBV)" 11 : 179-182, 1997

      17 Cha H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33 : 409-415, 2001

      18 Cha H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30 : 1021-1025, 2001

      19 Lee MW,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m" 39 : 200-204, 1995

      20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1995

      21 Ough CS,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s" John Wiley and Sons 85-93, 1988

      22 Korea Alcohol Liquor Industry Association, "Currents in domestic alcoholic beverage market" 3 : 11-, 2011

      23 Kim TG, "Antiviral activities of extracts isolated from Terminalis chebula Retz., Sanguisorba officinalis L., Rubus coreanus Miq., and Rheum palmatum L. against hepatitis B virus" 15 : 718-720, 2001

      24 Yoshizawa S, "Antitumor promoting activity of (-)-epigallocatechin gallate, the main constitutent of tannin in green tea" 1 : 44-47, 1987

      25 Wang SY, "Antioxidant activity in fruits and leaves of blackberry, raspberry and strawberry varies with cultivate and developmental stage" 48 : 140-146, 2000

      26 Choi J,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iga-ichigoside F1 and 23-hydroxytormentic acid obtained from Rubus coreanus" 26 : 1436-1441, 2003

      27 Ohtami K, "A dimeric triterpene-glycoside from Rubus coreanus" 29 : 3275-3280,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