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계획지표 연구 :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58832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07.3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인천

      • 기타서명

        A Study of the Urban Regeneration Planning Index that use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cus on Ganghwa-eup, Incheon Metropolitan City

      • 형태사항

        vii, 87 p.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변병설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78-83

      • 소장기관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wake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ities, which have undergone the degeneration of their physical environment, have incurred a variety of urban issues such as loss of urban identity and lowered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 With a vi...

      In the wake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ities, which have undergone the degeneration of their physical environment, have incurred a variety of urban issues such as loss of urban identity and lowered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 With a view to addressing these issues and instilling vitality in the degenerated areas, urban regeneration is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ll cities keep historical facts about their existence, and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boost the economic competitiveness of those cities through using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with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that reflect the regional identity. Characterized by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current era has regional competitiveness serve as an important factor that decides national competitiveness.
      Ganghwa-eup,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key player in the growth of textile industry in the 1970s and 1980s and was thus socially and economically vibrant. Due to the changes to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relocation of major core facilities, the region is currently undergoing degeneration with the ageing physical environment of downtown life and commercial facilities. Hence the urgency of urban regeneration that could overcome the region’s degeneration and revitalize the whole town. And a plan for urban regeneration that taps into the ample prese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 is drawing attention as a relevant breakthrough. Inasmuch as the region is touted as ‘A roofless museum’, Ganghwa-eup owns diverse-rang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tretching from the old site of a Goryeo period palace to Ganghwa Cathedral of the Anglican Church and Yongheung-gung (‘palace’). Recently, Ganghwa-gun (‘county’) announced a plan to bring new light on the potential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its old city center and implement a strategic urban regeneration project by combining history, culture, tourism, and ecology in the region. The county disclosed its aspiration for vaulting to a small town with class sitting close to Seoul metropolitan region. Considering this trend, I believe there exists the need to analyze the urban degeneration in Ganghwa-eup and draw up a plan for urban regeneration that exploits the rich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a plan that can be reflected in future urban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plans and policies by developing urban regeneration planning index that taps into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s what may be applied to Ganghwa-eup and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the planning index.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 have performed a comprehensive analysis targeting the local populace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the planning index and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studying the phenomenon of Ganghwa-eup and coming up with an urban regeneration planning index that taps in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 urban regeneration planning index, which taps into the select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composed of four categories of industry & economy, society & culture, physical environment, and public administration with 11 superior indices and 27 specific indices.
      With local residents, I have surveyed and analyz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the expectation effect with regard to the project. The analysis has found an average kind of perception of the project, a low-level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a high level of expectation effect of the project. The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the urban regeneration planning index that taps into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s found the top level in the category of physical environment, which is followed by the category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category of industry & economy, and the category of society & culture. The analysis has found the category of physical environment with the highest level of significance. This suggests that characteristically of the region that needs urban regeneration, even historical and cultural urban regeneration should ensure a balance between a systematic maintenance and planned development, which secure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space and the convenience in living space through improving the backward urban infrastructure and accommodation of permanent settlement, creating cultural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 and enhancing street and transportation system. Also, the remaining three categories register a high level of significance. This indicates that since the improvement and refurbishment of physical environment alone cannot complete a sustainable and comprehensiv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an urban regeneration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way of treating the full gamut of elements in regional industry and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administrative planning.
      Currently, people in Ganghwa-eup show a lower-than-average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with regard to the regeneration project that taps in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t means that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presupposes the effort for raising awareness, which would create a strong consensus for the project and enhance an understanding of its need. A feasible strategy to be created will have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urban regeneration plan for Ganghwa-eup while considering the priority of the planning index.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으로 인해 도시에서는 물리적 환경 쇠퇴와 더불어 도시의 정체성 상실, 생활환경의 질 저하 등 다양한 도시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쇠퇴한 지역...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으로 인해 도시에서는 물리적 환경 쇠퇴와 더불어 도시의 정체성 상실, 생활환경의 질 저하 등 다양한 도시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쇠퇴한 지역에 활력을 불러 넣고자 다양한 방식의 도시재생이 추진되고 있다. 도시는 존립해 온 역사적 사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을 통해 지역 고유의 정체성을 담은 도시재생 방안을 통해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세계화와 동시에 지방화로 표현되는 현시대는 도시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연구대상지인 강화읍은 1970∼80년대 방직산업 성장의 핵심지역으로 사회경제적으로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이었으나, 산업구조의 변화와 중심시설의 이전 등의 이유로 도심의 물리적 생활환경과 상업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지역 쇠퇴가 진행되고 있다. 본 지역의 쇠퇴를 극복하고 지역의 활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도시재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지역의 풍부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방안이 그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강화읍은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불릴 정도로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고려궁지를 비롯한 성공회 강화성당, 용흥궁 등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강화군은 원도심 지역에 대한 잠재력과 역사·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성장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도시재생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강화읍 도시쇠퇴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 내 풍부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화읍에 적용시킬 수 있는 역사·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계획지표를 개발하고, 계획지표를 분석하여, 향후 도시재생 개발 계획 및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화읍의 현상을 분석하고,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계획지표를 도출하여 주민을 대상으로 계획지표 중요도 분석 및 향후 도시재생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계획지표는 산업·경제적, 사회·문화적, 물리적환경, 행정적 4개 부문으로 11개 상위지표와 27개의 세부지표를 도출하였다. 산업·경제적 부문은 상권 활성화, 지역산업육성과 같이 2개의 상위 지표와 4개의 세부 계획지표를 설정하였다. 사회·문화적 부문은 주민공동체 지원, 지역문화 창출, 지역문화투자, 역사·문화 자원 보존 및 관리와 같이 4개의 상위 지표와 8개의 세부 계획지표를 설정하였다.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사업의 인식정도, 참여의사 정도, 사업의 기대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결과, 사업의 인식도는 보통의 수준을 보였으며, 참여의사 정도는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사업에 대한 기대효과는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계획지표의 중요도에 대한 설문결과를 분석한 결과, 물리적환경 부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행정적 부문, 산업·경제적 부문, 사회·문화적 부문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적 분석결과, 물리환경적 부문이 가장 높은 중요도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역사문화적 도시재생의 경우라 할지라도 도시재생을 필요로 하는 지역 여건상 쇠퇴하고 낙후된 도시 기반시설 및 정주환경 개선과 문화기반시설 및 환경의 조성, 가로 및 교통체계의 개선을 통해 공간의 질적 향상과 생활공간으로서 편리함을 확보하는 체계적인 정비와 계획적인 개발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나머지 세 부문 또한 높은 수준의 중요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물리환경적 개선과 정비만으로는 지속가능하고 종합적인 지역의 활성화를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와 더불어 지역 산업과 경제, 사회문화적, 행정적 계획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다룬 도시재생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 강화읍 주민들은 역사문화를 활용한 재생사업에 대한 인식정도와 참여의사는 보통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효과적인 사업 실행을 위해 사업 추진 이전에 사업에 대한 충분한 공감대와 사업의 필요성을 이해시킬 수 있는 인식증진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계획지표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강화읍 도시재생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2장 이론적 고찰 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2장 이론적 고찰 6
      • 제1절 이론적 개념 6
      • 1. 도시재생 6
      • 2. 역사문화적 도시재생의 의미 12
      • 제2절 선행연구 고찰 17
      • 1.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관련 연구 17
      • 2. 도시재생 계획지표 관련 연구 19
      • 3. 선행연구 평가 및 연구의 차별성 25
      • 제3장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계획지표 도출 26
      • 제1절 계획지표 설정 과정 26
      • 제2절 부문별 계획지표 설정 28
      • 1. 산업·경제적 부문 28
      • 2. 사회·문화적 부문 29
      • 3. 물리적환경 부문 30
      • 4. 행정적 부문 32
      • 5. 지표의 종합 33
      • 제4장 실증적 분석 36
      • 제1절 연구대상지 분석 36
      • 1. 연구대상지 선정 배경 36
      • 2. 연구대상지 현황 37
      • 3. 연구가설 설정 46
      • 제2절 설문의 구성 48
      • 1. 설문조사의 목적과 조사대상 48
      • 2. 설문내용 및 분석방법 49
      • 제3절 분석결과 52
      • 1. 신뢰도 분석 결과 52
      •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분석 결과 52
      • 3. 계획지표의 중요도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 59
      • 4. 분석결과 종합 71
      • 제5장 결론 73
      •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결론 73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76
      • 참고문헌 78
      • ABSTRACT 84
      • 부록-설문지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