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로컬푸드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61981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기대학교 대학원 , 외식조리관리학과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motivation to purchase local food

      • 형태사항

        xi, 125 p.: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나정기
        참고문헌 : p. 113-117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류의 시작은 의, 식, 주, 세가지의 기본적 생활에 충족에서 시작 되었다. 이후의 문명의 발전과 과학의 비약적 발전을 통하여 의, 식, 주가 발전되어 왔다. 인류가 나타난 이후의 약 400만년...

      인류의 시작은 의, 식, 주, 세가지의 기본적 생활에 충족에서 시작 되었다. 이후의 문명의 발전과 과학의 비약적 발전을 통하여 의, 식, 주가 발전되어 왔다. 인류가 나타난 이후의 약 400만년간 채집과 농경 생활이 식생활의 모든 부분을 차지하였다. 이후의 약 100년간 산업 혁명 등을 통하여 바뀌게 되었다. 이런 과학의 발전으로 식문화에는 유적자 변이 식품이나 식품 첨가물의 과도히 사용 되어진 식품, 환경호르몬의 증가 등 극단적 발전을 하게 되었다. 또한 더 빠르고 많은 업무의 처리를 위하여, 페스트 푸드등의 식품이 새로운 식문화로서 나타났으며, 발전 되어졌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인류는 식품의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등을 생각 하게 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유기농 섭취 등을 대안점으로 생각 하게 된다.
      사회 현상의 다른 현상으로 거대 유통 업체의 등장이 있다. 거대 유통 업체의 등장으로 각국의 농사나, 어업등의 산업이 무너지게 되었으며 일부 거대 유통업체가 부를 축척하고, 더 거대한 부를 늘리기 위하여 각국의 농사등을 밀어내고 있는 실정이었다.
      로컬푸드 운동은 이러한 현상들 사이에서 안전한 먹거리와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한 방법으로서 등장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로컬푸드란 어떤 것이며, 왜 중요한지에 대하여 2장의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로컬푸드에 대하여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 구매 하는 동기와 구매 태도, 구매참여, 이용 만족, 재구매에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하여 연구 하였으며, 구매 동기가 구매 태도, 구매 참여, 이용 만족,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연구 하였으며, 구매 태도가 구매 참여, 이용만족, 재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또한 구매 참여가 이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 만족이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본 조사는 2016년 8월 10일부터 2016년 9월9일까지 30일간에 걸쳐 경기 지역의 로컬푸드 직매장을 이용하는 지역거주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 되었다. 표본으로 참여 되었으며, 표본의 분석을 위하여 SPSS/WIN 23.0을 통하여 인구 통계적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차이분석, 회귀 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연구의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연구 문제 1번의 경우 로컬푸드 구매 동기의 전체적 항목에서의 유의적 차이를 확인한 결과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 동기의 요인 중 건강 추구 동기 항목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매동기의 요인 중 친환경 동기에서는 연령에 의하여 60대 이상과 20대에서 19세 미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서도 미혼이 기혼보다 유의한 차이에서 높게 나타났다. 직업에 의한 결과 무직이 학생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종 학력에서 전문대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동기의 요인 중 접근성 동기에서는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생이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구성을 분석 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인 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학력에 대한 분석 결과 대학원이 대학교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에 대한 결과 100만원 이하가 401만원~500만원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구매 비용에서 보면 5만1천원~10만원 이하에서 15만 1천원~20만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구매동기의 요인 중 경제성 동기에서는 연령에서 60대 이상이 19세이하와 50대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가족 구성원에 대한 분석 결과 1인과 2인이 3~4인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최종 학력에 대한 분석 결과 대학원이 대학교 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 301만원~400만원이 401만원~500만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구매동기의 요인중 사회적 동기에 대한 결과 결혼 여부에 따라서 기혼이 미혼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 문제 2번의 경우 구매 동기 중 건강동기, 접근성 동기, 경제성 동기, 사회적 동기가 구매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문제 3번의 경우 이용 만족에 구매 참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4번의 경우 이용 만족은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5번인 구매동기에 따른 집단의 유형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에 대한 연구 결과는 군집1의 경우에 사회적, 친환경적, 접근성, 경제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군집2의 경우에는 건강요소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성이나 접근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군집3의 경우에는 사회적동기가 높고 접근성이 낮은 군집으로 분류된다. 군집4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사회적, 건강, 친환경, 경제성 등 구매동기요인이 낮은 집단으로 분류된다.
      연구문제 6번인 구매동기는 인구 통계적 특성화에 따른 집단의 유형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에 대한 연구 결과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다른 군집 분석을 확인하면 성별 부분에서전체 285명중 남자가 49명(17.2%)를 나타내고 있다. 군집 1인 건강 친환경 집단의 경우에 13명(16.3%), 군집 2동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은 12명(17.9%). 군집 3 건강 경제성 집단에 8명(12.9%), 군집 4 경제적 사회성 집단에 16명(21.1%)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 236명(82.8%)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강 친환경집단에 67명(83.8%), 동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에 55명 82.1%), 건강 경제성 집단에 54명(87.1%), 경제 사회성 집단 에 60명(78.9%)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군집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대한 군집을 살펴보면 건강 친환경 집단에 19세 이하 0명, 20대 30명(37.5%), 30대 17명(21.3%). 40대 17명(21.3%), 50대 12명(15%). 60대 4명(5%)를 나타냈으며, 동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에서는 19세 이하 0명, 20대 14명(20.9%), 30대 13명(19.4%). 40대 18명(26.9%). 50대 15명(22.4%) 60대 이상7명(10.4%)로 나타났으며, 건강 경제성 집단 에서는 19세 이하4명(6.5%), 20대 16명(25.8%), 30대 7명(11.3%), 40대 16명(25.8%), 50대17명(27.4%), 60대 이상에서2명(3.2%)로 나타났으며, 경제 사회성 집단의 경우는 19세 이하 3명(3.9%). 20대 27명(35.5%). 30대 19명(25.0%), 40대 21명(27.6%), 50대 4명(5.3%), 60대이상이 2명(2.6%)로 나타났으며 p<.05 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결혼여부에 의한 군집 분석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직업에 의한 군집 분석 결과 건강 친환경 집단에서는 학생이 1명(1.3%), 사무관리직 3명(3.8%), 판매 서비스직3명(3.8%), 기술 기능직 16명(20.0%). 전문직 9명(11.3%), 전문직 9명(11.3%), 자영업 3명(3.8%), 공무원 2명(2.5%), 주부 42명(52.5%), 무직 0명, 기타1명(1.3%),로 나타났으며, 동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의 경우 학생 1명(1.5%). 사무관리직 6명(9%), 판매 서비스직 4명(6.0%). 기술기능직6명(9.0%), 전문직 4명(6%), 자영업 6명(9.0%). 공무원 2명(3.0%). 주부 32명(47.8%). 무직 2명(3.0%) 기타 4명(6.0%)를 나타냈다. 건강 경제성 집단의 경우 학생 0명, 사무 관리직 3명 4.8%), 판매 서비스직 3명(4.8%), 기술 기능직 5명(8.1%). 전문직5명(8.1%). 자영업 3명(4.8%). 공무원 0명, 주부 43명(69.4%). 무직 0명, 기타 0명으로 나타났다. 경제 사회성 집단의 경우는 학생 2명(2.6%), 사무관리직 2명(2.6%), 판매 서비스직 8명(10.5%), 기술 기능직 8명(10.5%), 전문직 9명(11.8%), 자영업 2명(2.6%), 공무원 3명(3.9%), 주부 40명(52.6%), 무직 1명(1.3%), 기타 1명(1.3%)로 나타났다. p<.05 범위에서 유의한 군집의 차이를 나타냈다.
      구성원에 대한 군집 분석 결과 건강 친환경 집단의 경우 1인 16명(20.0%). 2인 28명(35.0%). 3인~4인 29명(36.3%), 5인이상 7명(8.8%)로 나타났으며, 동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의 경우 1인이 1명(1.5%) 2인이 11명(16.4%), 3인~4인이 46명(68.7%), 5인 이상이 9명(13.4%)로 나타났고, 건강 경제성 집단의 경우 1인이 3명(4.8%), 2인이 12명(19.4%), 3인~4인 39명(62.9%), 5인 이상이 8명(12.9%)로 나타났다. 경제 사회성 집단의 경우 1인이8명(10.5%), 2인이 26명(34.2%), 3인~4인38명(50.0%), 5인 이상이 4명(5.3%)로 나타났고, p<.001 범위에서 유의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다.
      교육 정도에서의 군집 분석 결과, 건강 친환경 집단에서 고졸 이하 5명(6.3%), 전문대학 44명(55.0%), 대학교 29명(36.3%), 대학원 2명(2.5%), 기타0명 으로 나타났으며, 동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 의 경우 고졸 이하 5명(7.5%), 전문대학30명(44.8%), 대학교 30명(44.8%), 대학원 2명(3.0%),기타 0명으로 나타났다. 건강 경제성 집단의 경우 고졸 이하 6명(9.7%), 전문대학19명(30.6%), 대학교 36명(58.1%), 대학원 1명(1.6%), 기타 0명으로 나타났으며, 경제 사회성 집단의 경우 고졸 이하 8명(10.5%), 전문대학 30명(39.5%), 대학교 36명(47.4%), 대학원 2명(2.6%) 기타 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의 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소득 수준에 대한 군집 분석 결과 건강 친환경 집단에서 ~100만원 14명(17.5%), 101만원~200만원 23명(28.8%), 201만원~300만원 16명(20.0%), 401만원~500만원 4명(5.0%), 501만원 이상7명(8.8%)로 나타났으며, 동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에서는 ~100만원 6명(9.0%), 101만원~200만원 12명(17.9%), 201만원~300만원 17명(25.4%), 401만원~500만원 10명(14.9%), 501만원 이상7명(10.4%)로 나타났다. 건강 경제성 집단에서는 ~100만원 6명(9.7%), 101만원~200만원 12명(19.4%), 201만원~300만원 18명(29.0%), 401만원~500만원 13명(21.0%), 501만원 이상6명(9.7%)로 나타났으며, 경제 사회성 집단에서는 ~100만원 8명(10.5%), 101만원~200만원 28명(36.8%), 201만원~300만원 17명(22.4%), 401만원~500만원 명(10.5%), 501만원 이상7명(9.2%)로 나타났다. p<.05에서 유의한 군집을 형성 하고 있다.
      구매 비용에 대한 군집 분석을 살펴 보면, 건강 친환경 집단에서 ~5만원 이하가 23명(28.8%), 5만1원~10만원이 32명(40.0%), 10만1원~15만원 16명(20.0%), 15만1원~20만원 9명(11.3%)를 나타냈으며, 동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에서는 ~5만원 이하가 17명(25.4%), 5만1원~10만원이 18명(26.9%), 10만1원~15만원 19명(28.4%), 15만1원~20만원 13명(19.4%)로 나타났다. 건강 경제성 집단의 경우 ~5만원 이하가 14명(22.6%), 5만1원~10만원이 17명(27.4%), 10만1원~15만원 13명(21.0%), 15만1원~20만원 18명(29.0%)를 나타냈으며, 경제 사회성 집단을 살펴 살펴 보면, ~5만원 이하가 15명(19.7%), 5만1원~10만원이 19명(25.0%), 10만1원~15만원 19명(25.0%), 15만1원~20만원 23명(30.3%)를 나타내고 있다. p<.05에서 유의한 군집을 형성 하고 있다.
      군집 분석의 분포를 보면 건강 친환경 집단에서인 건강적 동기와 친환경 동기가 높게 나타난 경우의 인구 통계적으로 80명이 군집을 형성 하고 있으며, 동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에서의 사회적 요인, 건강적 요인, 친환경 요인이 다른 지반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집단의 군집의 경우67명으로 나타났다. 건강 경제성 집단의 경우인 건강적 동기와 경제성 동기가 상대적으로 높으나 접근성 동기가 낮은 군집은 62명이 분포 되어 있으며, 경제 사회성 동기인 경제성 동기와 사회적 동기가 높은 집단은 76명이 분포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상의 결과로 연구 문제6개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지역적 특성, 인구 통계적 연령 등에 따라 다소의 연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로컬푸드에 대한 국내의 법이 2015년 발의 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진행되어진 로컬푸드 연구의 연구는 동향이나 개념 정리 생산자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으며, 소비자 중심에 대해서는 로컬푸드 구매 동기가 연구되어지고 있다. 대부분이 한 지역에 대한 소비 인원에 대한 연구가 전부였다. 본 연구에서는 로컬푸드의 구매 동기를 인구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 하였으며, 구매 참여, 이용만족,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소비자의 태도로서 연구가 이루어 졌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와 다른 군집이 이루어져 한가지의 동기가 아닌 복합적 동기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에 대한 방법으로 접근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 한가지의 동기를 지역의 직매장 활성화 방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아닌 복합적 파악을 통하여 직매장 활성화에 이바지 할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토대로 향후의 연구에서는 표본수의 확보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비교, 로컬푸드 직매장 이용 고객과 유통업체 매장 고객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로컬푸드의 향후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an being started to live lives in the beginning to satisfy lives of clothing, food and dwelling. Men could develop clothing, food and dwelling owing to tremendous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science. Human being could do food life by collection...

      Human being started to live lives in the beginning to satisfy lives of clothing, food and dwelling. Men could develop clothing, food and dwelling owing to tremendous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science. Human being could do food life by collection and farming about 4 million years after being born. And then, human being made change lives by hundred years industrial revolution. Men could take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food with additives owing to scientific development to increase scientific hormone very much. Men took fast food and others to take actions quickly and to develop new food culture. Men thought of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 at the phenomenon to consider alternative such as slow food, organic farming and others.
      Another social phenomenon of gigantic distribution business made appearance. Gigantic distribution business destroyed farming and fishing business to let some of them earn much money and expel farming in each country.
      The local food movement was made to produce safe food and to revive local economy. Chapter 2 of theoretical background described contents and values of local food. The study investigated buying motives, attitudes,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the use and repurchase depending up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buying motives upon buying attitud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use and repurchase. And, the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buying participation upon satisfaction of the use, and effects of satisfaction of the use upon repurchase.
      The subject was consumers in Gyeonggi-do who made use of direct sales of local food for 30 days from August 10, 2016 to September 9, 2016. Sampling, demographic statistics, factor, reliability, difference and regression were used. SPSS/WIN 23.0 was used.
      The findings were:
      Buying motive of local foo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 subject number 1.
      Pursuit of the health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buying motive at their age of 60s or old and the 20s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at the age of younger than 19 years old. The one unmarri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ne married was. The unemploy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tudents were. 2-years college graduate was significantly high.
      Access of buying motive was significantly high depending upon occupation, and mean of students was the highest. One member of the family was the highest. Graduate school graduate was higher than college graduate was. The one earning million KRW or less was higher than the one earning 4.01 to 5 million KRW was. The one who bought at 51,000 to 100,000 KRW or le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ne who bought at 151,000 to 200,000 KRW.
      Economic motive of the one who was 60s or old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ne who was 19 years old as well as at the age of 50s was. One to two of family memb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ree to four of family member was. Graduate school gradu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llege graduate was. Earning of 3.01 million to 4 million KRW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4 million to 5 million KRW was.
      The married had higher social motive than the unmarried had.
      Health, access, economic advantage and society of buying motive of subject 2 had influence upon participation in buying.
      Participation in buying of subject 3 had influence upon satisfaction of the use.
      Satisfaction of the use of subject 4 had influence upon repurchase.
      Types of groups varied depending upon buying motive of the subject 5. Community 1 had high social status, environment, access and economy. Community 2 had high health and low economy and access. Community 3 had high social status and low access. Community 4 had low social status, health, environment friendliness, economy and other buying motives.
      Buying motive of subject 6 varied depending upon group: Men occupied 17.2% (49 persons). Health and environment friendly group of community 1 occupied 16.3 % (13 persons), and group having no influence of community 2 did 17.9% (12 persons), and health and economic group of community 3 did 12.9% (8 persons), and economic and social group of community 4 did 21.1% (16 persons). And, women did 82.8% (236 persons): Health and environment friendly group did 83.8% (67 persons), and group having no influence did 82.1% (55 persons), and health and economic group did 87.1% (54 persons), and economic and social group did 78.9% (60 persons).
      Communit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upon gender.
      Commun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upon age (p<.05).
      Marital statu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Occup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upon community (p<.05).
      Members had significant community (p<.001).
      Education had no significance. Income had significant community (p<.05). Buying cost had significant community (p<.05).
      Group that had high health and environment friendliness had 80 persons of community, and group having no influence by motives had low society, health and environment friendliness with 67 persons. Health and economic group had high health and economic motives, and community with low access occupied 62 persons, and the one with high economic and social motive did 76 persons.
      The findings were:
      The findings varied depending upon region and age. But, domestic laws on local food were effective from 2015 until present time. Current investigation into local food was made to examine trends and producers and to keep order of concepts and to investigate buying motives of local food. Most of studies investigated consumers at a place.
      This study investigated demographic difference of buying motives of local food to examine effects upon participation in buying, satisfaction of the use and repurchase. The study investigated consumers' buying not from one motive but from complex motives.
      The findings could help find out effects having influence upon development of direct business by one motive in complex ways to develop direct busines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by more samples and various kinds of regions and to examine customers of local food shops and distributors and to find out future directions of local fo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의제기 및 연구 목적 1
      • 제 1 항 문제의 제기 1
      • 제 2 항 연구의 목적 3
      • 제 2 절연구의 범위 및 연구방법 4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의제기 및 연구 목적 1
      • 제 1 항 문제의 제기 1
      • 제 2 항 연구의 목적 3
      • 제 2 절연구의 범위 및 연구방법 4
      • 제 1 항 연구의 범위 4
      • 제 2 항 연구의 방법 4
      • 제 2 장 이론적 고찰 7
      • 제 1 절 로컬푸드에 관한 이론적 고찰 7
      • 제 1 항 로컬푸드의 배경 7
      • 제 2 항 로컬푸드의 개념 11
      • 제 2 절 로컬푸드의 선행연구 25
      • 제 1 항 로컬푸드의 연도별 연구 경향 25
      • 제 2 항 로컬푸드의 연구 내용 27
      • 제 3 절 식품 선택 동기에 관한 이론적 고찰 32
      • 제 1 항 구매동기와 행동 32
      • 제 2 항 식품 선택 동기 36
      • 제 3 항 로컬푸드 구매 동기 37
      • 제 4 절 구매 만족 및 재구매의 이론적 고찰 41
      • 제 1 항 구매 의도 41
      • 제 2 항 재구매 의도 42
      • 제 3 장 연구의 설계 및 연구문제 48
      • 제 1 절 연구의 설계 및 연구문제 48
      • 제 1 항 연구의 설계 48
      • 제 2 항 연구 문제 49
      • 제 3 항 연구 문제에 대한 배경 51
      • 제 2 절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53
      • 제 1 항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53
      • 제 2 항 자료의 분석 방법 54
      • 제 3 항 설문지 구성 54
      • 제 4 장 실증분석 61
      •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1
      • 제 1 항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61
      • 제 2 항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63
      • 제 3 항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 69
      • 제 4 항 연구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 72
      • 제 5 장 결론 107
      • 제 1 절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07
      •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112
      • 참고문헌 113
      • 설 문 지 118
      • Abstract 12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학식, "소비자 행동", 2008

      2 이학식, "SPSS 20.0 매뉴얼", 집현재, 집현재, 2013

      3 유동근, "소비자 행동론", 선일문화사, 서울: 선일 문화사, 1992

      4 김재일, 홍성태, 임종원, 이유재, "『소비자행동론』", 서울경문사, 2002

      5 나정기, "『외식산업의 이해』", 백산, 백산출판사, 2013

      6 김철규, "로컬푸드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9(2), 2009

      7 허남혁, "21세기 신토불이, 로컬푸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경향잡지, 2007

      8 김영란,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9 허남혁, "충남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충남발전연구원, 충남발전 연구원, 2011

      10 정종진, "동기의 귀인이론과 학교학습", 학지사, 학지사, 2003

      1 이학식, "소비자 행동", 2008

      2 이학식, "SPSS 20.0 매뉴얼", 집현재, 집현재, 2013

      3 유동근, "소비자 행동론", 선일문화사, 서울: 선일 문화사, 1992

      4 김재일, 홍성태, 임종원, 이유재, "『소비자행동론』", 서울경문사, 2002

      5 나정기, "『외식산업의 이해』", 백산, 백산출판사, 2013

      6 김철규, "로컬푸드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9(2), 2009

      7 허남혁, "21세기 신토불이, 로컬푸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경향잡지, 2007

      8 김영란,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9 허남혁, "충남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충남발전연구원, 충남발전 연구원, 2011

      10 정종진, "동기의 귀인이론과 학교학습", 학지사, 학지사, 2003

      11 김철규, 윤병선, 김선업, "“농민시장 소비자와 배타성”", :원주 농민시장 참여 소비자의 태도에 관한 경험 연구.농촌사회학회지,21(2), 2011

      12 홍경완, "“로컬푸드의 개념적 이해 연구”", 대한경영학회, 대한 경영 학회지, 제 22권 제 3호, 2009

      13 정준호, 황성현, 황성혁, "로컬푸드 직매장 소비자 선택속성", 한국 식품 유통학회 학술 대회, 2014

      14 김종덕, "“농업의 세계화와 대안농업운동”", 한국농촌사회학회, 「농촌사회」12(1), 2002

      15 김종덕, "“참먹거리에 대한 지역사회접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5(4), 2004

      16 김종덕 ( Jong Duk Kim ), "지역식량체계 농업회생방안과 과제", 한국농촌사회학회, 농촌사회 제 17권 제 1호, 2007

      17 김기옥, 유현정, 남수정, "대인관계 성향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 가 정관리 학회지, 2006

      18 주상현, "로컬푸드 연구의 동향과 정책적 함의", ⌜한국비교정부학보⌟제19권 제2호, 2015

      19 이은주, "의류제품의 통신판매와 소비구매의도", 한국의류학회지, 1996

      20 김종덕, "“지역먹거리운동의 전략과 정책과제”", 한국농촌사회학회, 농촌사회,19(2), 2009

      21 이문규, "서비스 충성도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한국마케 팅학회, 14(1), 마케팅 연구, 1999

      22 김흥주, 이해진, 이원식, "“로컬푸드와 지역운동 네트워크의 발전", 지역사회학회, 「지역 사회학」, 제 13권 제2호, 2012

      23 문혜선, 최성임, 임은순, "선호 커피유형에 따른 세분화 시장의 특성", 한 국콘텐츠 학회 논문지, 12(6), 2012

      24 유소이, 장현욱, 이민수, "“로컬푸드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연구”", 한국농업정책학회, 한국축산경영학회, 농업 경영정책 연구, 2013

      25 박예슬, "식품선택 동기가 로컬푸드 소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논문, 2014

      26 명지영, "와인구매동기에 따른 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세종대학교 관광 대학원 학위 논문, 2012

      27 위태석, "“일본직거래확대정책과 직매장 운영의 특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세계농업 제156 호, 2013

      28 김미영, "의류상품 유형별 평가 기준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 의류 학 회 학회지. Vol. 12, No. 2, 1989

      29 이원제, "건강에서 환경, 이젠 사회로 진화하는 착한 소비", 한겨레 경제연 구소, 2011

      30 송인숙, 홍연금, "윤리적 소비에 대한 개념 논의와 실천 영역 연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 자 정책 교육 연구, Vol.6, no 4, 2010

      31 윤병선, "“세계농식품체계하에서 로컬푸드운동의 의의”", 한국환경사회학회, 「한국환경사회학회 춘계학슐대회자료집」, 2008

      32 최성복, "오피니언 칼럼, ‘ 총칼보다 더 무서운 유전자원’", 경기신문, 2012

      33 전은주, "떡에 대한 인식, 구매 동기 및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경주대학 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34 박혜경, "로컬푸드에 대한 소비실태와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경북대학 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35 국승용, "‘로컬푸드 현황과 발전전략’ 제 86차 신유통 토론회", 제1주제발표, 2010

      36 우장명, "“로컬푸드를 이용한 충북 농업 농촌의 활성화 방안”", 지역정책 연구, 22(2), 2011

      37 김영철, "“로컬푸드와 사회적 기업:대구경북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영경 제, 제43집 제1호, 2010

      38 정예원, "주류음용자 유형별 와인선택 속성과 와인구매 동기에 대한 연 구", 성신여자 대학교 문화 산업 대학원 학위논문, 2013

      39 박기홍, 이보순, "로컬푸드의 브랜드자산이 소비자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17(4), 2014

      40 정용해, "와인구매동기 세분화에 따른 와인선택속성 및 구매 후 만족의 차이", 한국외식경영학회, 한국외식경영학회.제11권 2호, 2008

      41 박덕병, "“미국의 LOCAL FOOD SYSTEM과 지역사회지원형농업(CSA) 의 현황과 전망”", 한국농촌사회학회, 제15권 제 1호, 2015

      42 박철, 김인규, 정옥경, "서비스 전문성이 고객만족, 신뢰, 그리고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고객만족경영연구 제 13편 제 1호, 2011

      43 권한조, "와인 음주상황에 따른 와인선택속성이 와인 음주목적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학위 논문, 2011

      44 이영주, "국내 와인소비자의 와인구매 동기가 와인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 향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5 노윤배, "“지역순환농업을 모색하는 원주푸드 :원주생협 활동사례를 중심 으로”", 한국농업교육 학회, Vol. 2010, No, 7, 2010

      46 나주몽, 박재형, "로컬푸드 구매동기가 사회적 자본 형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경제 학회, 2014

      47 장형유, "서비스 산업에서의 고객만족 선, 후행 요인과 브랜드 선호도 및 재구매 의도 형성 과정", 한국마케팅과학회, 마케팅과학연구,16(3), 2006

      48 나단영, "대중무용학원의 서비스 품질 만족도와 전환 장벽이 수강자의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공주 대학교 교육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3

      49 김호석, "친환경 식품동기가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 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50 이덕원, "강원도 향토음식점 고객의 이용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와 선택 속성 및 수요 결정 요인 분석",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51 허남혁, "제고장 먹거리(locao food)담론 –글로벌 푸드, 내셔널 푸드, : 농식품 분야에서의 스케일의 정치",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 2006

      52 박재형, "로컬푸드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컬 푸드 직매장 소비자를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지역개발학과 박사 학위 논문, 2014

      53 김수현, 백승우, "“로컬푸드 직매장 소비자의 쇼핑동기와 만족도 분석: 전북완주 로컬푸드 직매장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식품유통학회, 「식품유통연구」, 제30권 제2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