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북아시아의 세력균형과 군사력 수준 변화 연구: 세력균형이론에 기초한 2030년경의 동북아시아 안보환경 전망 = A Study on the Balance of Power and Changes in Military Strength in Northeast Asia: Prospect of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in 2030 Based on the Balance of Power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626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Northeast Asia based on the balance of power theory, a representative theory of realism, assuming military capabilities as the core power of state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balance of pow...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Northeast Asia based on the balance of power theory, a representative theory of realism, assuming military capabilities as the core power of state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balance of power and military forces are reviewed and used to analyze changes in the strength of the US, China, Russia, Japa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rough 2020 to predict the security environment in 2030. In the balance of power theory, if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a nation or a group of powers collapses, the possibility of war is high, and to surviv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high uncertainty and distrust, the theory predicts that states must increase their powers in a self-help world and strengthen cooperation and alliance. Countries in Northeast Asia are also continuing to strengthen their military capabilities, and countries neighboring China are paying keen attention and remaining vigilant due to the rapi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after the rapid rise of China. To mark the future 100th anniversary of the Chinese armed forces in the 2030s, China aims to realize 'defense and military modernization' and build a 'world-class military force' by the nation's 100th anniversary in the 2050s. The US is busy checking China's rise by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alliances. The security environment and power dynamics in Northeast Asia are slowly changing as the US and China continue to compete for global hegemony. The changes and implications of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Northeast Asia after 2030 are examined based on the balance of power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실주의의 대표적 이론인 세력균형이론을 기초로 군사력을 국가의 핵심 힘으로 전제하여 동북아시아의 힘의 분포를 살펴본다. 이전 세력균형과 군사력 수준에 관한 연구결과를 ...

      본 연구는 현실주의의 대표적 이론인 세력균형이론을 기초로 군사력을 국가의 핵심 힘으로 전제하여 동북아시아의 힘의 분포를 살펴본다. 이전 세력균형과 군사력 수준에 관한 연구결과를 고찰하고, 그 연구한 결과를 활용하여 2020년까지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한국과 북한의 힘의 변화를 분석하여 2030년경 안보환경을 전망하여 본다. 세력균형이론에서 국가(nation)나 국가군(a group of power) 간에 힘의 균형이 무너지면 전쟁 가능성이 높고, 그 불확실성과 불신이 높은 국제사회에서 생존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가는 힘의 증강(자조, self-help)과 더불어 협력(cooperation)과 동맹(alliance)을 더욱 강화하는 행동을 한다고 본다. 동북아시아의 국가들도 자국의 군사력을 지속 증강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급속한 부상으로 국제 안보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주변 국가들은 촉각을 세우고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중국은 2030년대 중국 창군 100주년과 더불어 '국방 및 군현대화'를 실현하고, 2050년대 건국 100주년에 '세계일류군대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은 국제사회의 협력과 동맹 강화 등 중국 견제에 분주하다. 미국과 중국이 패권경쟁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동북아시아의 안보환경과 힘의 역학관계도 서서히 변하고 있다. 세력균형이론에 기초하여 2030년 이후 동북아시아의 힘의 분포 변화와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