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어」의 윤리학: 도덕성의 본질과 획득 = Ethics of the Analects: Essence and Aquisition of Mor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77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thics of the Analects by investigating the tension between Confucius and Ja-ro(子路). This tension can be interpreted as a conflict between two important issues on the morality: the essence of morality vs. the acquisi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thics of the Analects by investigating the tension between Confucius and Ja-ro(子路). This tension can be interpreted as a conflict between two important issues on the morality: the essence of morality vs. the acquisition of morality. Two analogies might be useful to show the essence of morality in the Analects. First, ‘inner but outer’ means that the intentions or thoughts of agents are critical elements rather than act itself. Second, ‘upper but lower’ means that the morality presupposes transcendental ideal. All the unpredictable acts of Confucius reflect this very essence of morality. On the other hand, Ja-ro, like any other common persons, is always in the way to acquire morality, learning knowledge and following customs(學). There exists inevitable gap between the essence of morality and the acquisition of morality.
      However, in ethics of the Analects 學 has the pivotal position, which requires the concept of benevolence(仁) for its justification. 學 presupposes 仁, thus two of them cannot be separated. It suggests that the acquisition of morality itself implies the essence of morality in a paradoxical w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논어」 양화편을 단서로 공자와 자로의 대비를 통해서 「논어」의 윤리학의 핵심 문제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논어」의 윤리학은 도덕성의 본질과 획득의 문제를 중심으로 구...

      본 논문은 「논어」 양화편을 단서로 공자와 자로의 대비를 통해서 「논어」의 윤리학의 핵심 문제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논어」의 윤리학은 도덕성의 본질과 획득의 문제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공자의 행동은 도덕성의 본질의 관점에서, 그 제자들의 행동은 도덕성의 획득의 관점에서 각각 이해될 수 있으며, 양자 사이에는 갈등과 통일이 공존한다. 먼저, 도덕성의 본질은 「논어」에서 안과 밖의 비유 및 위와 아래의 비유로 설명될 수 있다. 즉, 도덕은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이 아니라 행위자의 내면에 의하여 판정되며, 이것은 보고 듣고 경험할 수 있는 아래쪽이 아니라 초월적 기준이라는 위쪽을 지향한다. 결국 공자의 도덕성은 어떠한 지침이나 규범에도 지배받지 않는 자유자재의 창조적, 자발적 표현인 ‘오묘한 조화’로 이루어진다. 반면에, 도덕성의 획득은 우리에게 사회, 역사적으로 주어진 지식과 규범을 끊임없이 배워가는 과정, 즉 學에 의해서 가능하다. 자로로 대표되는 범인의 도덕성은 이 학을 떠나서는 성립될 수 없으며, 성인의 행동을 그대로 모방한다고 해서 가능한 것이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학에 대하여 공자가 ‘仁은 그 안에 있다’라고 말한 것은 학과 인 사이에 일치와 불일치를 동시에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성인이 하게 되는 행동과 범인이 해야 하는 행동 사이에는 항상 괴리가 있을 수밖에 없지만, 동시에 성인과 범인은 서로 다른 길이 아니라 하나의 동일한 도정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바꿔 말하여 도덕성의 획득 과정은 그 자체가 도덕성의 본질을 확립해주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자 사이에는 인간으로서는 결코 극복할 수 없는 거리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홍우, "증보 성리학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14

      2 김동인, "이인(利仁)의 세계와 안인(安仁)의 세계" 13 : 1-31, 2003

      3 김동인, "위인지학 위기지학" 11 : 53-70, 2001

      4 김동인, "세주완역 논어집주대전" 한울아카데미 2013

      5 지정민, "교사의 무언(無言)과 무은(無隱): 논어의 교수론적 해석" 교육사학회 18 (18): 83-105, 2008

      6 Chen Lai, "Virtue Ethics and Confucianism" Routledge 2013

      1 이홍우, "증보 성리학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14

      2 김동인, "이인(利仁)의 세계와 안인(安仁)의 세계" 13 : 1-31, 2003

      3 김동인, "위인지학 위기지학" 11 : 53-70, 2001

      4 김동인, "세주완역 논어집주대전" 한울아카데미 2013

      5 지정민, "교사의 무언(無言)과 무은(無隱): 논어의 교수론적 해석" 교육사학회 18 (18): 83-105, 2008

      6 Chen Lai, "Virtue Ethics and Confucianism" Routledge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1.316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