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직후 주한미군정의 국제법적 성격 = The Legal Nature of the U.S. Military Occupation in Korea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in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 A Critical Approach to the Mainstream View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 동안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1910-1945), 미·소 군정(1945-1948), 한국전쟁(1950-1953) 등의 역사적 굴곡을 겪으면서 헤이그 육전규칙이 채택된 1899/1907년 이래 수차례에 걸쳐 외국의 ‘점령’을 경...

      그 동안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1910-1945), 미·소 군정(1945-1948), 한국전쟁(1950-1953) 등의 역사적 굴곡을 겪으면서 헤이그 육전규칙이 채택된 1899/1907년 이래 수차례에 걸쳐 외국의 ‘점령’을 경험한 바 있다. 각각의 경우 그 역사적 진행과정이나 정치사적 의미에 대해서는 이미 수많은 논의들이 있어 왔으나, 그 국제법적 성격과 적법성에 대한 규범적 평가는 깊이 있게 논의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한반도 점령의 특수성과 그에 따른 국제법적 지위에 관한 기존 논의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이어서 미국의 점령에도 불구하고 국제법상 이전이 허용되지 않는 ‘기존 주권’의 귀속 주체가 누구인지, 그와 같은 경우 미국에 의한 점령의 국제법적 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949년 제네바 제4협약 제2조는 그 적용범위에 어떠한 예외도 설정하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제7조에서는 교전국 간에 체결된 어떠한 특별협정도 조약상 부여된 권리를 제한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독일과 일본 및 한반도에서의 ‘변형적 점령’ 사례는 오늘날 더 이상 유효한 선례로 작용한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점령의 특수성과 그 규범적 특성을 성찰하는 과정에서 국제점령법의 발전과정에 대한 여러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논의는 일정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now, The Korean Peninsula has undergone several times of foreign occupation by experiencing historical flexures such as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1910-1945), the US-Soviet Union’s military governments(1945-1948) and Korean War(1...

      Until now, The Korean Peninsula has undergone several times of foreign occupation by experiencing historical flexures such as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1910-1945), the US-Soviet Union’s military governments(1945-1948) and Korean War(1950-1953) since 1899/1907, when the Hague Regulations were adopted. In each case, there have been a lot of discussions about its historical progress and meaning of politics history, but the normative evaluation of its legal nature and legality in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has not been discussed in depth.
      This study, above all,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discussions on the specificity of the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international legal status. Then, this study examined who is the attribution subject of the "existing sovereignty" that is not allowed to be transferred under the international law despite the US occupation, and, in such a case, investigated how the international legal nature of occupation by the United States can be understood.
      As Article 2 of the Fourth Geneva Convention in 1949 sets no exceptions in its scope and moreover, in Article 7, no special agreement between the belligerents adversely restricts the rights granted by the convention, the cases of "transformative occupation" in Germany, Japan, and the Korean peninsula will no longer be a valid precedent. Nevertheless, this discussion may find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there are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process with regard to the international law of occupation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on the specificity and normativ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한반도 점령 경과와 그 특수성
      • Ⅲ. 잔존주권의 보유 주체
      • Ⅳ. 주한미군정의 국제법적 성격에 대한 검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한반도 점령 경과와 그 특수성
      • Ⅲ. 잔존주권의 보유 주체
      • Ⅳ. 주한미군정의 국제법적 성격에 대한 검토
      • Ⅴ. 결론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