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제와 디자인의 상관성에 관한 논설 = Discourse for the Mutual relation of Economic and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347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제와 디자인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논의해 보는 것이 이 논설의 목적이다. 경제와 디자인이 크게 보면 거의 같은 성쇠를 겪는 동반자나 다름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디자인과정...

      경제와 디자인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논의해 보는 것이 이 논설의 목적이다. 경제와 디자인이 크게 보면 거의 같은 성쇠를 겪는 동반자나 다름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디자인과정은 분명히 ‘경제적 활동’이며 디자인의 결과는 분명한 ‘경제적 산물’이기 때문이다. 경제가 발전할수록 자본, 노동 토지 등에 비해 지식이 가장 중요한 생산 요소가 되며, 지식의 증가에 의한 생산성 향상이 경제성장을 견인하게 된다. 이것을 지식경제라고 지칭하며 한국경제의 성장 동력을 회복 하는 길은 한국경제를 본격적인 지식경제 체제로 만드는 데서 찾아야 한다. 그러므로 지적자산의 일부인 디자인이 매우 중요 해지는 시점이다 디자인은 향후 다수의 세분시장을 대상으로 제품 믹스를 제공하는 일종의 다세분화(Multi-Segment)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즉 디자인 시장의 가능성은 크게 프리미엄 시장과 중저가 브랜드 시장으로 이원화될 것이며 후자인 중저가, 저가 제품 디자인이 더 크게 열려있는 블루오션이라 판단된다. 기존의 기존 한국 기업이 구축해온 프리미엄 이미지는 향후 장기적으로 통합적인 관점에서 세계시장을 주도할 소중한 자산이다. 그리고 세계경제가 어려울수록 중저가 브랜드의 새로운 창출 역시 어느 때 보다 더 큰 가능성으로 열려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design. It is not an excessive expression to regard design and economy as companion which is under the same prosperity and decline, for the process of design is a kind of...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design. It is not an excessive expression to regard design and economy as companion which is under the same prosperity and decline, for the process of design is a kind of "economic activity" and the result of design is a sort of I economic output". Knowledge is come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rather than capital, labor, and estate(land) according to the economic growth, furthermore production elevation by knowledge increase draws the economic growth. This knowledge economy could be one of the key to Korean business recovery if it would be under the setup of knowledge economy. This point tells us design is come to be more important because it is a kind of knowledge property. Designers should seek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which considers diverse consumer"s need. Design market is come to be devided to premium market and brand market of lower price. Korean products of premium image will be important property leads world ma rket. In addition, the new creation of lower price brand makes an offer much possibility as blue oce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要約
      • Abstract
      • 1. 글을 시작하며
      • 2. 경제학과 디자인, 닮은 점
      • 3. 소비심리의 위축이 디자인시장에 주는 영향
      • 要約
      • Abstract
      • 1. 글을 시작하며
      • 2. 경제학과 디자인, 닮은 점
      • 3. 소비심리의 위축이 디자인시장에 주는 영향
      • 4. 문화자원으로서의 디자인과 경제적 가치
      • 5. 사람중심 지식경제
      • 6. 경제 환경의 변화와 디자인시장의 방향
      • 7. 디자인과 경제의 접근
      • 8. 글을 맺으며
      • 참고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