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조의 수원 화성 행차시 활동과 그 의미 = King Jeongjo's Visitation activity in Hwaseong and it's signific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96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were many studies on King Jeongjo's Hwaseong(華城) Visitation in commemoration of his father's procession and Hwaseong construction.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dealed separate two with issues and focused on revealing the significance of the Hwaseong's festivity during its reign. Moreover the reviews were found insufficient to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profound them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relatively associated with the analysis of kingjeongjo's visitation festivity in Hwaseong Hangcha. Strictly speaking, king Jeongjo's commemoration procession of his father was notably odd. Nevertheless, the funeral procession contributed to build a new city to strengthen his status. The procession took advantage of its special purposes in many ways which made it incomparable with those of the others. To acknowledge its divers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wo perspectives such as the general aspect and the special aspect. When Jeongjo went to the royal procession of his father he paid respect to him. He prayed and cherished his father's memory and concluded various tax benefits for his people. It was a common Neughang. Even so, king Jeongjo did not stop there ; he directly commanded and ordered his people to establish a new city plan in commemoration of his father. In view of this he foresees the negative effects that Hwaseong might arise in the future and he urged to find the solution for it.
      번역하기

      There were many studies on King Jeongjo's Hwaseong(華城) Visitation in commemoration of his father's procession and Hwaseong construction.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dealed separate two with issues and focused on revealing the significance of the...

      There were many studies on King Jeongjo's Hwaseong(華城) Visitation in commemoration of his father's procession and Hwaseong construction.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dealed separate two with issues and focused on revealing the significance of the Hwaseong's festivity during its reign. Moreover the reviews were found insufficient to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profound them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relatively associated with the analysis of kingjeongjo's visitation festivity in Hwaseong Hangcha. Strictly speaking, king Jeongjo's commemoration procession of his father was notably odd. Nevertheless, the funeral procession contributed to build a new city to strengthen his status. The procession took advantage of its special purposes in many ways which made it incomparable with those of the others. To acknowledge its divers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wo perspectives such as the general aspect and the special aspect. When Jeongjo went to the royal procession of his father he paid respect to him. He prayed and cherished his father's memory and concluded various tax benefits for his people. It was a common Neughang. Even so, king Jeongjo did not stop there ; he directly commanded and ordered his people to establish a new city plan in commemoration of his father. In view of this he foresees the negative effects that Hwaseong might arise in the future and he urged to find the solution for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조의 화성 행차와 수원 화성 건설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개 화성 행차와 화성 건설을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여 그 내용을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양자의 긴밀한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려는 시각은 부족하였다.
      본 논문은 정조의 수원 행차와 화성 신도시 건설의 긴밀한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원 행차시 정조의 활동을 분석한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정조가 생부인 사도세자를 모신 현륭원 참배를 위하여 도성에서 멀리 떨어진 수원에 그토록 빈번히 행차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이처럼 잦은 수원 행차는 수원 화성 신도시를 건설하고 그 위상을 강화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정조의 수원 화성 행차는 여러 모로 특별한 목적을 띤 것이었기 때문에 통상적인 능행의 맥락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정조의 수원 화성 행차시 여러 활동을 능원 행차의 일반적 양상과 특별한 양상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정조는 수원 화성에 행차하였을 때 통상적인 능․원 행차에 동반되는 참배와 추모 활동을 하고 각종 세제 혜택을 실시하였다. 이는 능원 행차의 일반적 양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조의 활동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정조는 장래에 상왕(上王)이 거주할 도시로 기획된 화성 신도시 건설의 공정(工程)을 직접 지휘하고 확인하며, 수원 화성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각종 폐단에 대하여 제도적인 해결책을 강구하였다. 이는 정조의 수원 화성 행차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양상이었다.
      번역하기

      정조의 화성 행차와 수원 화성 건설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개 화성 행차와 화성 건설을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여 그 내용을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두...

      정조의 화성 행차와 수원 화성 건설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개 화성 행차와 화성 건설을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여 그 내용을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양자의 긴밀한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려는 시각은 부족하였다.
      본 논문은 정조의 수원 행차와 화성 신도시 건설의 긴밀한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원 행차시 정조의 활동을 분석한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정조가 생부인 사도세자를 모신 현륭원 참배를 위하여 도성에서 멀리 떨어진 수원에 그토록 빈번히 행차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이처럼 잦은 수원 행차는 수원 화성 신도시를 건설하고 그 위상을 강화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정조의 수원 화성 행차는 여러 모로 특별한 목적을 띤 것이었기 때문에 통상적인 능행의 맥락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정조의 수원 화성 행차시 여러 활동을 능원 행차의 일반적 양상과 특별한 양상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정조는 수원 화성에 행차하였을 때 통상적인 능․원 행차에 동반되는 참배와 추모 활동을 하고 각종 세제 혜택을 실시하였다. 이는 능원 행차의 일반적 양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조의 활동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정조는 장래에 상왕(上王)이 거주할 도시로 기획된 화성 신도시 건설의 공정(工程)을 직접 지휘하고 확인하며, 수원 화성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각종 폐단에 대하여 제도적인 해결책을 강구하였다. 이는 정조의 수원 화성 행차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양상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태진, "李晦齋의 사상과 그 세계" 대동문화연구원 1992

      2 "홍재전서(弘齋全書)"

      3 "한중록"

      4 이왕무, "조선후기 국왕의 능행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5 신명호, "조선후기 국왕 행행시 국정운영체계" 2001

      6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 의궤반차도와 거동기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7 고동환, "조선시대 한양의 수도성 - 도시의 위계와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역사학회 (209) : 35-61, 2011

      8 한영우,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효형출판 1998

      9 최홍규, "정조의 화성건설" 일지사 2001

      10 최홍규, "정조의 화성 경영 연구" 일지사 2005

      1 이태진, "李晦齋의 사상과 그 세계" 대동문화연구원 1992

      2 "홍재전서(弘齋全書)"

      3 "한중록"

      4 이왕무, "조선후기 국왕의 능행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5 신명호, "조선후기 국왕 행행시 국정운영체계" 2001

      6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 의궤반차도와 거동기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7 고동환, "조선시대 한양의 수도성 - 도시의 위계와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역사학회 (209) : 35-61, 2011

      8 한영우,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효형출판 1998

      9 최홍규, "정조의 화성건설" 일지사 2001

      10 최홍규, "정조의 화성 경영 연구" 일지사 2005

      11 "정조실록"

      12 정해득,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신구문화사 2009

      13 최성환, "정조대 탕평정국의 군신의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4 "일성록"

      15 정해득, "왕의 행차: 조선후기 국왕의 융릉·건릉 행행行幸과 의례" 화성시 2014

      16 "영조실록"

      17 김동욱, "실학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 돌베개 2002

      18 "수원부읍지(水原府邑誌)"

      19 최성환, "사도세자 추모 공간의 위상 변화와 永祐園 천장" 조선시대사학회 (60) : 139-181, 2012

      20 유봉학, "꿈의 문화유산 화성" 신구문화사 1996

      21 原武史, "直訴と王權" 지식산업사 2000

      22 배우성, "正祖의 留守府 경영과 華城 인식" 한국사연구회 (127) : 243-276, 2004

      23 "東萊鄭氏家錄"

      24 韓相權, "朝鮮後期 社會問題와 訴寃制度의 發達 : 正祖代 上言·擊錚의 分析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25 신명호, "光武․明治시기 兩京체제 추진과 君主이미지 활용 비교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26, 2010

      26 김문식, "18세기 후반 정조 능행의 의의" 일지사 88 : 2000

      27 이달호, "18세기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화성건설" 혜안 2008

      28 김창원, "17~8세기 서울 및 近畿 일대 田家時調 형성의 사회사" 한국시가문화학회 (17) : 103-130,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