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식품의약품안전백서 . 201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471886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Jinhan M&B(진한엠앤비),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63.192 판사항(22)

      • ISBN

        9791129003096 93510 : ₩50000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식품의약품안전백서. 2017 / 식품의약품안전처 [편].

      • 기타서명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형태사항

        639 p.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 1.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직 및 정원 현황, 2. 식품·의약품 등 주요 용어 수록

      • 소장기관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개요
      • 1. 비전·목표·핵심전략
      • 2. 조직·소속기관
      • 3. 연혁
      • 4. 사진으로 보는 식의약 주요 행사
      • Ⅰ. 개요
      • 1. 비전·목표·핵심전략
      • 2. 조직·소속기관
      • 3. 연혁
      • 4. 사진으로 보는 식의약 주요 행사
      • Ⅱ. 식품
      • 제1절 식품안전관리체계 강화
      • 1. 불량식품 근절을 위한 부처 간 협업추진
      • 2. 식품의 생산·제조 안전성 강화
      • 3. 유통·소비식품 안전관리 수준 제고
      • 4. 수입식품안전관리 강화
      • 5. 주류 안전관리 제도 정착
      • 제2절 과학적 식품 기준·규격 국제화
      • 1. 식품안전 기준·규격 개선 강화
      • 2. 식품첨가물 및 기구·용기·포장 기준·규격 개선·강화
      • 제3절 건강한 식생활 환경 확충
      • 1.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관리 강화
      • 2. 안전한 외식·급식 환경 조성을 통한 식중독 발생 저감
      • 3. 건강기능식품 규제개선 및 시장 활성화
      • 4. 국민영양 안전관리 강화
      • Ⅲ. 의료제품
      • 제1절 의약품
      • 1. 국제 조화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도입·정착
      • 2. 의약품 규제 국제조화 및 선진화
      • 3. 허가 의약품 안전관리 강화
      • 4. 허가특허연계제도의 안정적 운영으로 제약 산업 경쟁력 강화
      • 5. 마약류 오남용 방지를 위한 관리체계 확립
      • 제2절 바이오생약·화장품
      • 1. 바이오의약품과 인체조직의 안전관리 및 품질관리 고도화
      • 2. 국민이 안심하는 한약재 공급 및 천연물의약품 안전관리
      • 3. 소비자 중심의 화장품·의약외품 안전관리
      • 4. 바이오의약품 등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 5. 바이오의약품 등 선진 허가심사체계 선진화
      • 제3절 의료기기
      • 1. 의료기기 신속 제품화를 위한 전주기 지원체계 마련 및 안전관리 강화
      • 2. 소비자 중심의 시판 후 의료기기 안전관리 강화
      • 3. 의료기기 안전평가체계 구축
      • 4. 의료기기 허가심사 선진화
      • Ⅳ. 위해예방
      • 제1절 소비자중심 선제적 위해예방 및 위기대응 기반 구축
      • 1. 식품·의약품등의 안전기술 연구(R&D) 로드맵 구축
      • 2.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위기대응 기반 구축
      • 3. 사전예방을 위한 식의약 위해요소 선행조사
      • 4. 위생용품 안전관리 체계 구축
      • 5. 식약처-한국소비자원 식의약 안전이슈 협조체계 강화
      • 제2절 현장소통 강화로 식의약품 안전공감대 조성
      • 1. 대국민 소통 활성화
      • 2. 소통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활성화
      • 3. 국민 체험프로그램 운영
      • 제3절 식의약품 안전정보 공유·개방·활용 확대
      • 1. 식품·의약품 안전정보 수집·분석·활용
      • 2. 범정부 식품안전정보 연계·통합 및 식품행정 선진화
      • 제4절 시험·검사기관 선진화로 국제 경쟁력 강화
      • 1. 식품·의약품분야 시험·검사기관 선진화
      • Ⅴ. 식품·의약품 안전 연구개발
      • 제1절 국민의 안전한 삶과 직결되는 연구개발 추진
      • 1. 식품·의약품 등 R&D 선진화 추진
      • 2. 공정한 연구관리 및 연구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 3. 실효성 있는 연구개발사업을 위한 성과관리
      • 제2절 과학적 식품안전관리를 위한 위해평가 확대
      • 1. 국내외 협력기반 확대를 통한 위해평가 체계 강화
      • 2. 농·축·수산물 잔류물질 위해평가체계의 선진화
      • 3. 식품 중 유해오염물질 저감화를 위한 과학적 기반 강화
      • 4. 신속 정확한 미생물 시험법 개발 연구
      • 5. 식품첨가물 및 기구·용기·포장의 안전관리 기반 강화
      • 6. 영양·식생활 및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기반 구축
      • 7. 불량식품 과학적 감시체계 강화
      • 제3절 의료제품 안전관리를 위한 시험연구 및 제품화 지원
      • 1. 의료제품 품질관리 기반 선진화
      • 2. 의약품 안전관리 연구
      • 3. 바이오의약품 안전관리 연구
      • 4. 한약(생약) 안전관리 연구
      • 5. 화장품·의약외품 안전관리 연구
      • 6. 의료기기 안전관리 연구
      • 제4절 식품·의약품 등 안전성평가기술 개발
      • 1. 독성물질 국가관리 및 독성시험법 국제협력
      • 2. 동물대체시험법 국제협력 및 비임상시험 선진화
      • 3. 약물 안전성 예측 연구 및 의존성 평가
      • 4. 임상평가 선진화 및 부작용 저감화를 통한 국민 안전 확보
      • 5. 첨단분석 시스템 구축을 통한 부정·불량 식의약품 등 차단
      • 6. 실험동물 생명연구자원 개발·보존·활용 체계 구축;BIOREIN(Bio Resources Initiative)
      • 제5절 국가출하승인시스템 선진화 및 전문성 강화
      • 1. 국가출하승인 현황 및 제도개선
      • 2. 민관 협의체 운영을 통한 소통협력 강화
      • 3. 국제협력 활동
      • 4. 국가검정 시험분야 품질관리 강화 및 숙련도 프로그램 운영
      • Ⅵ. 특집
      • 특집 1 식품의약품안전처 지난 4년간의 성과
      • 제1장 소비자 지향적 식의약품 안전관리 체계 구축
      • 제1절 생산에서 소비까지 전주기 식품안전 기반 확립
      • 제2절 의료제품 안전관리 강화
      • 제3절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
      • 제4절 식의약 규제 선진화
      • 제2장 불량식품 근절
      • 제5절 범정부 협업 불량식품 근절 추진
      • 제6절 불량식품 발생 예방 및 유통차단 기반 확립
      • 제7절 먹을거리 안전문화 확산
      • 특집 2 식품의약품안전처 본부청사 증축
      • 제1절 식품의약품안전처 본부청사 증축
      • Ⅶ. 부록
      • 제1절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직 및 정원 현황
      • 제2절 식품·의약품 등 주요 용어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예스24.com

      식품의약품 안전백서 2017

      절판 50,000원 47,500원 (5%)

      종이책 구매

      1,000포인트 (2%)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식품의약품 안전백서(2017)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안전한 식의약, 건강한 국민, 행복한 사회’를 목표로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2016년은 ‘수입식품안전관리특별법’을 제정하여 수입식품을 생산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고,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을 확대·적용하여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농축수산물도 더욱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 또한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를 확대 실시하여 의약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피해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관리체계를 더욱 선진화하여 필요한 의료제품이 적시에 안전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관련 절차를 개선하였다. 기후변화로 생활환경이 점차 열악해지고, 저출산·고령화 등 사회 환경변화에 효과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시기 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 및 유전자 기술 등 과거에 미처 경험하지 못한 신기술이 식의약 산업분야에 급격하게 도입됨에 따라 식의약의 안전분야에서도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여 대응해 나갈 필요성이 높아�...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