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heological Typologies of Religious Groups And The Identity of The Unification Church = 종교집단의 신학적 유형론과 통일교회의 정체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14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약] 종교집단의 신학적 유형톤과 통일교회의 정체성 유형론적 용어와 개념은 비교적 관점으로부터 종교집단들의 특성을 분류하는 도구이다. 그래서 유형론적 개념과 분류범주를 아는 ...

      [요약] 종교집단의 신학적 유형톤과 통일교회의 정체성
      유형론적 용어와 개념은 비교적 관점으로부터 종교집단들의 특성을 분류하는 도구이다. 그래서 유형론적 개념과 분류범주를 아는 것은 통일교회나 어느 종교집단에 대한 성숙한 논의를 위한 선행조건이다. 이 논문에서는 9가지의 신학적 유형론을 간략하게 검토하고 이 관점에서 통일교회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그럼으로써 이 연구는 퉁일교회를 이해하고 종교집단들에 중요한 신학적 유형론을 아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신의 수에 따른 유형에는 일신론, 다신론, 무신론이 있는데, 통일교회는 일신론을 주장한다. 둘째, 신 존재의 양태에 따른 유형이 있다. 여기에서는 신을 초월적인 신과 내재적인 신으로 구분하는데, 후자에는 범신론과 범재신론이 포함된다. 통일신학은 전통적 서구신학에서 신을 완전타자로 이해하는 것을 배격하고 신이 우리 안에 계심을 강조한다. 통일 교회의 신관을 범재신론으로 말 할 수 있다. 세째, 신의 성에 따른 유형이 있다. 여기에서는 신이 남성 신, 여성 신, 양성 신으로 분류된다. 통일신학은 창조주 하나님이 양성과 음성의 특성을 가진 분이라고 주장한다. 네째, 기독론에 따른 유형이 있다. 여기에서는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는 위로부터의 기독론과 예수의 인성을 강조하는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이 있다. 통일교회는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을 주장하되 극단적 입장을 견지하지 않으며 성서해석에서 자유주의 신학보다 그리스도 중심적이다.
      다섯째, 자유의지에 대한 관점에 따른 유형이 있다. 여기에서는 인간의 자유의지가 존재한다고 하는 입장과 이를 부정하는 입장이 있다. 통일교회는 자유의지의 존재를 주장하여 역사에 대한 결정론적 관점을 배격 한다. 역사의 목적은 결정되었으나 그 과정 또는 그 목적실현은 결정되지 않고 신의 인도를 따르는 인간의 책임분담에 좌우된다고 본다. 여섯째, 라인홀드 니이버의 유형론이 있다. 여기에는 신화적 또는 계시적 종교와 신비적 또는 문화적 종교가 있다. 전자는 직선적 역사관을, 후자는 순환적 역사관을 가진다. 통일교회는 신화적 계시적 종교에 속하여 기본적으로 직선적 역사관을 가지나 순환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일곱째, 종말론적 관점에 따른 유형론이 있다. 천년왕국파와 비천년왕국파가 구분되는데, 전자는 전천년왕국파와 후천년왕국파가 있다. 통일교회는 메시아가 구원사역과 지상천국 건설을 완성하려고 강림한다고 봄으로 전천왕국설을 지지한다. 여덟째, 그리스도와 문화 간의 관계에 따라 분류한 리차드 니이버의 유형론이 있다. 그 유형은 문화에 대한하는 그리스도, 문화적 그리스도, 문화 위의 그 리스도, 역설적 그리스도, 문화의 변혁자로서의 그리스도로 나뉜다. 통일교회는 문화의 변혁자로서의 그리스도를 지지한다. 아홉째, 교회에 대한 Dulles의 유형론이 있다. 제도로서의 교회, 신지적 공동체로서의 교회, 성사로서의 교회, 선구자로서의 교회, 종으로서의 교회가 교회의 5모델이다. 일반적으로 통일교회도 이 5가지 요소를 가진다.
      이처럼 이 논문은 종교집단에 대한 9가지의 신학적 유형론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유형론에 비춰서 통일교회의 정체성을 드러내보려 하였다. 최근에 와서 신의 수와 성 및 존재양식, 기독론, 자유의지의 존재와 같은 주제에서는 통일신학의 방향에 일반신학의 흐름이 수령되고 있다. 통일신학에는 문선명 선생님의 메시아 선포와 같은 혁명적인 내용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의 개념에서 기독교 정통 신학의 중심이 변해와서 지금은 통일신학의 신 개념에 수렴하고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신의 개념과 사회윤리의 측면에서 통일교회를 중심된 교회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다른 종교집단이 통일교회에 일치되어올 것이라고 믿을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1. TYPOLOGY BASED ON THE NUMBER OF GOD
      • 2. TYPOLOGY BASED ON THE MODE OF GOD'S EXISTENCE
      • 3. TYPOLOGY BASED ON GOD'S GENDER
      • 4. TYPOLOGY BASED ON THE VIEW OF CHRIST
      • INTRODUCTION
      • 1. TYPOLOGY BASED ON THE NUMBER OF GOD
      • 2. TYPOLOGY BASED ON THE MODE OF GOD'S EXISTENCE
      • 3. TYPOLOGY BASED ON GOD'S GENDER
      • 4. TYPOLOGY BASED ON THE VIEW OF CHRIST
      • 5. TYPOLOGY BASED ON THE VIEW OF HUMAN FREE WILL
      • 6. REINHOLD NIEBUHR'S TYPOLOGY
      • 7. TYPOLOGIES BASED ON ESCHATOLOGICAL VIEWS
      • 8. H. RICHARD NIEBUHR'S TYPOLOGY
      • 9. DULLES'S TYPOLOGY OF CHURCHES
      • CONCLUSION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