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들을 위한 교회 안에서의 친교와 교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24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가 OECD 국가 중에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은 굳이 통계를 살펴보지 않아도 익히 예상되는 바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입시위주의 문화 가운데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청소년기에 겪는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힘들어하고 있다.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비결, 어려움을 극복하는 길은 바로 나와 비슷한 주제의 스트레스를 받고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동료들을 만나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청소년에게는 동료들과 함께 하는 친교와 교제가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친교와 교제의 장(field)은 어디가 되어야 할까? “학업”이라는 주제로 경쟁적인 문화가 형성되어 있는 학교와 학원에서는 마음을 터놓고 자신의 삶을 솔직하게 나누는 친교와 교제가 이루어지기가 힘들다. 따라서 교회 공동체가 친교와 교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이 되어야 한다. 교회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걱정과 고민을 편안하게 나누고, 자신의 가정생활, 학교생활, 학원생활 가운데서 경험한 이야기를 솔직히 나누고,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경험한 이야기를 나누고, 즐겁게 레크리에이션에 함께 참여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친교와 교제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친교와 교제는 청소년부 안에서 다양한 공동체 모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들을 위한 교회 안에서의 친교와 교제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친교와 교제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찾아보았다. 그리고 친교와 교제는 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친교와 교제의 장으로서의 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을 위한 교회 안에서의 친교와 교제의 실제를 제시하기 위해 친교와 교제의 목표, 내용, 방법을 제시해보았다. 본 논문은 코로나19 시대 가운데 현장 모임의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교회안에서 이루어지는 청소년들의 친교와 교제가 약화된 현시점에서 친교와 교제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강조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가 OECD 국가 중에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은 굳이 통계를 살펴보지 않아도 익히 예상되는 바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입시위주의 문화 가운데서 ...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가 OECD 국가 중에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은 굳이 통계를 살펴보지 않아도 익히 예상되는 바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입시위주의 문화 가운데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청소년기에 겪는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힘들어하고 있다.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비결, 어려움을 극복하는 길은 바로 나와 비슷한 주제의 스트레스를 받고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동료들을 만나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청소년에게는 동료들과 함께 하는 친교와 교제가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친교와 교제의 장(field)은 어디가 되어야 할까? “학업”이라는 주제로 경쟁적인 문화가 형성되어 있는 학교와 학원에서는 마음을 터놓고 자신의 삶을 솔직하게 나누는 친교와 교제가 이루어지기가 힘들다. 따라서 교회 공동체가 친교와 교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이 되어야 한다. 교회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걱정과 고민을 편안하게 나누고, 자신의 가정생활, 학교생활, 학원생활 가운데서 경험한 이야기를 솔직히 나누고,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경험한 이야기를 나누고, 즐겁게 레크리에이션에 함께 참여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친교와 교제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친교와 교제는 청소년부 안에서 다양한 공동체 모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들을 위한 교회 안에서의 친교와 교제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친교와 교제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찾아보았다. 그리고 친교와 교제는 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친교와 교제의 장으로서의 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을 위한 교회 안에서의 친교와 교제의 실제를 제시하기 위해 친교와 교제의 목표, 내용, 방법을 제시해보았다. 본 논문은 코로나19 시대 가운데 현장 모임의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교회안에서 이루어지는 청소년들의 친교와 교제가 약화된 현시점에서 친교와 교제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강조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n without looking at statistics, it is well to be expected that Korean teenagers have the lowest life satisfaction among OECD countries. Korean teenagers are under a lot of stress in a culture centered on college entrance exams, and they are struggling with various problems they experience during adolescence. The secret to relieving stress and the way to overcome difficulties is to meet a colleague who is experiencing stress and difficulties similar to one. In this respect, fellowship with peers are very important for teenagers. Where should the field of fellowship be? In schools and private institutes where a competitive culture is formed under the theme of “study,”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fellowship where people can openly share their lives with one another. Therefore, the church community should be a place where fellowship can take place. Teenagers can comfortably share their worries and anxieties in the church community, candidly share their experiences in their family life, school life, and private academy life, share their experiences of God’s guidance in their lives, and participate in recreational activities happily. Fellowship at the level of the youth should be conducted. Such fellowship can be achieved through various community gatherings within the youth department in the church.
      With this goal,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first looked up the biblical basis for fellowship in the church for youth. Since fellowship take place within the community, the rationale for the community as a place of fellowship was examined. Finally, in order to present the practice of fellowship in the church for youth,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fellowship. This paper is important in that it emphasized the need for fellowship at a time when teenagers’ fellowship in the church has weakened while experiencing the difficulties of field gatherings in the era of COVID-19.
      번역하기

      Even without looking at statistics, it is well to be expected that Korean teenagers have the lowest life satisfaction among OECD countries. Korean teenagers are under a lot of stress in a culture centered on college entrance exams, and they are strugg...

      Even without looking at statistics, it is well to be expected that Korean teenagers have the lowest life satisfaction among OECD countries. Korean teenagers are under a lot of stress in a culture centered on college entrance exams, and they are struggling with various problems they experience during adolescence. The secret to relieving stress and the way to overcome difficulties is to meet a colleague who is experiencing stress and difficulties similar to one. In this respect, fellowship with peers are very important for teenagers. Where should the field of fellowship be? In schools and private institutes where a competitive culture is formed under the theme of “study,”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fellowship where people can openly share their lives with one another. Therefore, the church community should be a place where fellowship can take place. Teenagers can comfortably share their worries and anxieties in the church community, candidly share their experiences in their family life, school life, and private academy life, share their experiences of God’s guidance in their lives, and participate in recreational activities happily. Fellowship at the level of the youth should be conducted. Such fellowship can be achieved through various community gatherings within the youth department in the church.
      With this goal,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first looked up the biblical basis for fellowship in the church for youth. Since fellowship take place within the community, the rationale for the community as a place of fellowship was examined. Finally, in order to present the practice of fellowship in the church for youth,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fellowship. This paper is important in that it emphasized the need for fellowship at a time when teenagers’ fellowship in the church has weakened while experiencing the difficulties of field gatherings in the era of COVID-19.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친교와 교제에 대한 성경적 근거
      • Ⅲ. 친교와 교제의 장으로서의 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근거
      • Ⅳ. 청소년들을 위한 친교와 교제의 실제
      • Ⅴ. 나오면서
      • Ⅰ. 들어가는 말
      • Ⅱ. 친교와 교제에 대한 성경적 근거
      • Ⅲ. 친교와 교제의 장으로서의 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근거
      • Ⅳ. 청소년들을 위한 친교와 교제의 실제
      • Ⅴ. 나오면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산, "하나금융 공익재단법인 ‘청소년그루터기재단’ 출범"

      2 설은주, "코이노니아와 신앙교육"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0

      3 김민선,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과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기독교신앙 조건 잠재성장모형 분석"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4) : 101-130, 2020

      4 사미자, "청소년기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고찰" 20 : 371-394, 2003

      5 김동일, "청소년 상담학 개론" 학지사 2016

      6 김진혁, "질문하는 신학" 복있는사람 2019

      7 전준상, "중고교생 스마트폰 보유율 95%...하루 이용시간 2시간 이상"

      8 이지나, "저 출산 시대의 모성애(母性愛) 왜곡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방안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3) : 53-84, 2019

      9 장순애, "신앙의 대잇기를 위한 부모교육과정의 비판적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7) : 265-292, 2015

      10 Nelson, E., "신앙교육의 터전"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1 김지산, "하나금융 공익재단법인 ‘청소년그루터기재단’ 출범"

      2 설은주, "코이노니아와 신앙교육"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0

      3 김민선,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과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기독교신앙 조건 잠재성장모형 분석"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4) : 101-130, 2020

      4 사미자, "청소년기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고찰" 20 : 371-394, 2003

      5 김동일, "청소년 상담학 개론" 학지사 2016

      6 김진혁, "질문하는 신학" 복있는사람 2019

      7 전준상, "중고교생 스마트폰 보유율 95%...하루 이용시간 2시간 이상"

      8 이지나, "저 출산 시대의 모성애(母性愛) 왜곡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방안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3) : 53-84, 2019

      9 장순애, "신앙의 대잇기를 위한 부모교육과정의 비판적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7) : 265-292, 2015

      10 Nelson, E., "신앙교육의 터전"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11 최유진, "레티 러셀의 교회론–정의와 환대의 공동체"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8 (48): 225-252, 2016

      12 Sheldrake, P., "도시의 영성" IVP 2018

      13 박원호, "넬슨의 공동체 교육이론에 나타난 인간론 연구" 8 : 330-353, 1992

      14 Hopkins, L. R., "내러티브, 학교교육을 다시 디자인하다" 창지사 2013

      15 Lauritzen, C.,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이야기를 통한 학습 통합-" 도서출판 학이당 2007

      16 Cobley, P., "내러티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7 김성중, "기독교교육행정학의 이론과 실제" 민영사 2018

      18 Westerhoff, H. J. Ⅲ., "교회의 신앙교육"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3

      19 Putman J., "교회는 관계다" 생명의말씀사 2019

      20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교육과정 이론지침서(Ⅰ)/이론"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21 오세윤, "공감으로 소통하는 공동체" 법문사 2016

      22 Harris, M., "가르침과 종교적 상상력"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23 Parker, J. P.,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IVP 2000

      24 조해영, "‘죽고 싶다’는 한국 아이들...삶의 만족도 OECD 꼴찌"

      25 이유진, "Johan Huizinga의 놀이특성에 대한 기독교적 비평"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8) : 193-222, 2021

      26 Harvey, V. A., "A handbook of theological terms" Macmillian Publishing Company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9 0.65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