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군간호사관학교 교육목표 달성도 평가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chievement Scale for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Education Go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9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 for assessing the education goal achievement of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KAFNA). Methods: Initial items were drawn from relevant literature re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2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 for assessing the education goal achievement of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KAFNA). Methods: Initial items were drawn from relevant literature re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21 participants. Content validity index about initial items was reviewed by 9 expert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May and June in 2019, with data collected from 316 nursing officers who have not passed 5 years since graduation of KAFNA.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7 factors (Basic nursing skill, evidence based practice, loyalty & leadership, military nursing, health promotion, patient centered nursing, nurse professionalism) including 31 items with 62.6% of the total varianc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31 items in the 7-factor structure. Reliability was Cronbach α .93. Conclusion: Thes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 that the scale proposed may be used as an objective tool for the effectiveness of KAFNA's educational goals. It is expected that the scale offers quantitative indicators which can be used improving competency-based nursing curriculum of KAFN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소영, "현대 고등교육의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탐색"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88-200, 2017

      2 안은경, "임관 전 국군간호사관 생도의 즉응력 조사" 군건강정책연구소 26 (26): 23-42, 2008

      3 한미현, "일개대학 간호학과 졸업 후 5년 이내 간호사의 교육목표 달성도와 영향요인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836-846, 2018

      4 현명선, "일 대학의 간호교육목표 달성도 평가를 위한 간호실무능력 평가도구 개발" 한국가정간호학회 22 (22): 246-255, 2015

      5 안은경, "육군 간호장교의 즉응력 조사" 군건강정책연구소 27 (27): 5-26, 2009

      6 최주영, "국군간호사관학교 2018-2021 교육과정 개발" 군건강정책연구소 36 (36): 97-120, 2018

      7 유제복, "간호학생의 성과기반교육 달성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5 (5): 329-336, 2019

      8 이선경, "간호실무현장에서 요구하는 간호대학 졸업생들의 간호핵심역량" 간호행정학회 18 (18): 460-473, 2012

      9 박정혜, "간호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육성해야하는 능력에 대한 고찰 - 학제 및 일반적인 대학교육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 간호행정학회 17 (17): 74-87, 2011

      10 Curran P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29, 1996

      1 박소영, "현대 고등교육의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탐색"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88-200, 2017

      2 안은경, "임관 전 국군간호사관 생도의 즉응력 조사" 군건강정책연구소 26 (26): 23-42, 2008

      3 한미현, "일개대학 간호학과 졸업 후 5년 이내 간호사의 교육목표 달성도와 영향요인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836-846, 2018

      4 현명선, "일 대학의 간호교육목표 달성도 평가를 위한 간호실무능력 평가도구 개발" 한국가정간호학회 22 (22): 246-255, 2015

      5 안은경, "육군 간호장교의 즉응력 조사" 군건강정책연구소 27 (27): 5-26, 2009

      6 최주영, "국군간호사관학교 2018-2021 교육과정 개발" 군건강정책연구소 36 (36): 97-120, 2018

      7 유제복, "간호학생의 성과기반교육 달성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5 (5): 329-336, 2019

      8 이선경, "간호실무현장에서 요구하는 간호대학 졸업생들의 간호핵심역량" 간호행정학회 18 (18): 460-473, 2012

      9 박정혜, "간호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육성해야하는 능력에 대한 고찰 - 학제 및 일반적인 대학교육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 간호행정학회 17 (17): 74-87, 2011

      10 Curran P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29, 1996

      11 Bae B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Cheongram 1-668, 2011

      12 Song JJ, "Statistical analysis method on SPSS/AMOS" 21Century Book Publisher 1-477, 2016

      13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s, Inc 80-110, 2012

      1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Nursing core competencies"

      15 Hair FJ,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 Pearson Prentice Hall 1-734, 2014

      16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Lessons and educational goals of introduction of the academy"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17 Polit DF,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30 : 459-467, 2007

      18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19 Field AP,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IBM SPSS statistics: And sex and drugs and rock 'n' roll" Sage 685-686, 2013

      20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Defense Nursing Service Directive. [Enforcement 17. 1.17]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Directive No. 2001; Partial Revision]"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21 Yu JP, "Concepts and understanding of professor Yu, Jong Pil's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S 4.0~20.0 for common use" Hannarae Publishing co 1-567, 2012

      22 Reineck C, "Army nurse readiness instrument : Psychometric evaluation and field administration" 166 (166): 931-939, 2001

      23 Kaiser HF,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39 : 31-36, 1974

      24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Evaluation criteria and manual of nursing education in 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5 Kim G,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Hannarae Publishing co 1-663, 2010

      26 Hinkin TR, "A brief tutorial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use in survey questionnaires" 1 (1): 104-121,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5-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군진간호연구소 -> 군건강정책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ealth Policy Research Center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