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관광축제의 공간확산에 관한 연구 = Spatial Diffusion of Local Festivals as the Tourism Event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043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tial diffusion of local festivals as cultural tourism events in Korea. Local festivals functioned with hallmark events in Korea are totally estimated to 691 cases. Spatial diffusion of local festivals show regional diff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tial diffusion of local festivals as cultural tourism events in Korea. Local festivals functioned with hallmark events in Korea are totally estimated to 691 cases. Spatial diffusion of local festivals show regional diffentiation, and major provinces such as Jeju, Gyeongnam, Gwangwon, and Chungbuk hold festivals higher than other provinces. Spatial diffusion stages are divided into three phases: a primary stage before 1995, a diffusion stage from 1995 to 1999, and a condensing stage since 2000. The number of festivals adopted in primary stage are 299 cases, the number of diffusion stage are 304 cases, and major higher adoption regions are Jeju, Chungbuk, and Gwangwon Provinces, and the number of festivals of condensing stage are 88 cases, and major higher holding regions are Jeju, Gyeongnam, Gwangwon, and Jeonnam Provinces. The themes, purposes, and contents change of local festivals were transformed with diffusion stages. In the purpose of festivals, community reconciliation and unity types of festivals were held in primary stage, tourism types were held in diffusion stage, and industrial types were held in condensing stage. In the festival themes, the primary stage hold higher in the type of community cultural and folk festivals, the diffusion stage hold higher in the type of natur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festivals, and the condensing stage hold higher in the type of industrial and economical festivals. In the contents change of festivals, the type of indigenous festivals mainly diffused during primary stage, and the type of evolving indigenous festivals mainly diffused during diffusion stage. In addition, the type of diffusion of local festivals present regional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diffusion sta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개최되고 있는 문화관광축제의 공간적 확산과정을 고찰하였다. 전국에서 개최되는 문화관광축제는 691개(2002년 현재)이며, 지역별로 커다란 차이가 있지만, 제주·�...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개최되고 있는 문화관광축제의 공간적 확산과정을 고찰하였다. 전국에서 개최되는 문화관광축제는 691개(2002년 현재)이며, 지역별로 커다란 차이가 있지만, 제주·경남·강원·충북 등의 지역에서 비교적 축제가 많이 개최되었다. 확산단계별로는 초기단계에 299개, 확산기에 304개, 심화기에 88개가 신규로 발생하였다. 확산기에는 경북과 경기에서, 심화기에는 경남·경북·강원 등지에서 많이 개최되었다. 그러나 지자체별 평균개최수를 기준으로 하면, 확산기에는 제주·충북·강원에서, 심화기에는 제주·경남·강원·전남 등지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개최되었다. 축제목적별로는 주민화합형, 관광형, 산업형, 특수목적형의 순이며, 초기단계에는 주민화합형, 확산기에는 관광형, 심화기에는 산업형이 각각 많이 확산되었다. 축제주제별로는 지역전통, 산업경제, 자연특성 등이 많았고, 초기단계에는 지역전통형 축제가, 확산기에는 자연특성형이, 심화기에는 산업경제형이 많았다. 축제의 속성변화를 보면, 토착형과 진화토착형이 90% 이상을 차지 하였고, 확산기에는 토착진화형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남지역 이벤트관광의 특성과 변화과정에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9

      2 "“전남지역 문화관광축제의 공간적전개과정과 특징" 233-247, 2003

      3 "“이벤트관광 관광객의 행태적 특성분석 전남 낙안의 남도음식축제를 사례로”" 59-94, 1997

      4 "“광주·전남지역 관광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지역개발연구 30" 161-190, 1998

      5 "“The spatial diffusion of theperforming arts in the Netherlands" 53-68, 1989

      6 "“The geography of fairs" 232-269, 1992

      7 "“Strategic planning before and aftera mega-event" 167-176, 1997

      8 "“Rural festivals in SouthCarolina ”Journal of Cultural Geography11" 31-43, 1991

      9 "“Geographicperspectives on festivals in Ontario" 3-23, 1991

      10 "“Evaluating managementeffectiveness in community-run festivals" 22-27, 1987

      1 "전남지역 이벤트관광의 특성과 변화과정에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9

      2 "“전남지역 문화관광축제의 공간적전개과정과 특징" 233-247, 2003

      3 "“이벤트관광 관광객의 행태적 특성분석 전남 낙안의 남도음식축제를 사례로”" 59-94, 1997

      4 "“광주·전남지역 관광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지역개발연구 30" 161-190, 1998

      5 "“The spatial diffusion of theperforming arts in the Netherlands" 53-68, 1989

      6 "“The geography of fairs" 232-269, 1992

      7 "“Strategic planning before and aftera mega-event" 167-176, 1997

      8 "“Rural festivals in SouthCarolina ”Journal of Cultural Geography11" 31-43, 1991

      9 "“Geographicperspectives on festivals in Ontario" 3-23, 1991

      10 "“Evaluating managementeffectiveness in community-run festivals" 22-27, 1987

      11 "“Developmentof an instrument for identifying community reasonsfor staging a festival ”Journal of Travel Research33" 11-24, 1995

      12 "“Assessing the impact of hallmarkevents" 2-11, 1984

      13 "grey-areas andenvironmental quality in Edinburgh" 101-118, 2002

      14 "TheUniversity of Tennessee." k (k): 1982

      15 "J. Tourism and Recreation in RuralAreas" 157-175, 1998

      16 "Festival and Special Event Manage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9

      17 "Event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Elmsford"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319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