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인식 비교 = The comparative study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in Korea and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145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 역량 인식 수준과 인식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세계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 역량 인식 수준과 인식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세계시민교육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유아교사 197명과 중국 유아교사 163명 총 360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18일부터 2월 5일까지 3주간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인식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모두 세계시민 역량에서 지식 및 이해, 태도 및 실천, 기술 순으로 인식하였고 유아세계시민교육 역량에서 한국의 유아교사는 유아 세계시민교육 실천, 유아세계시민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순으로, 중국의 유아교사는 유아세계시민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유아세계시민교육 실천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다음 세계시민 역량 인식을 비교하면 세계시민 역량에서 지식 및 이해에서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들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세계시민교육 역량에서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들이 유아세계시민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유아세계시민교육 실천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교사교육과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재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구성할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perception level and differe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purports to indicate meaningful the direction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perception level and differe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purports to indicate meaningful the direction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To this end, a total of 306 participants including 197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63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rveyed for three weeks from January 18 to February 5, 2021.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both Korea and China acknowledged the factors in the order of knowledge, understanding attitude, and practical skills among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I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Korean teachers attached importance to the factors in the order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actice, the curriculum structure and operation seque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le Chinese teachers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practice seque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children. Next, comparing the perception of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Korea showed lower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than China 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in term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for children. In addition the survey exhibited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for children, and the implement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Thu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structure the teaching curriculum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and teacher re-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현선 ; 전홍주 ; 이문옥, "호주 유아교육과정의 세계시민교육 고찰: 한국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51-379, 2019

      2 박환보 ; 조혜승,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3 강운선 ; 李明强,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세계시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75-185, 2009

      4 김진희, "평화와 협력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2015 세계교육회의 의제 형성 연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14

      5 권혁운,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115-134, 2011

      6 장연연 ; 정지현, "중국의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중등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833-840, 2017

      7 김경철 ; 김효단, "중국 현행 유아교육과정분석: 국가수준 정책문서 요강과 지침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소 19 (19): 119-139, 2017

      8 呂君 ; 한대동 ; 오경희, "중국 유아교육 재정지원 정책의 현황 및 과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571-596, 2016

      9 배지현,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글로벌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적용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6 (6): 59-81, 2013

      10 김정숙 ; 이경화,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척도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153-182, 2018

      1 서현선 ; 전홍주 ; 이문옥, "호주 유아교육과정의 세계시민교육 고찰: 한국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51-379, 2019

      2 박환보 ; 조혜승,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3 강운선 ; 李明强,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세계시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75-185, 2009

      4 김진희, "평화와 협력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2015 세계교육회의 의제 형성 연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14

      5 권혁운,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115-134, 2011

      6 장연연 ; 정지현, "중국의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중등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833-840, 2017

      7 김경철 ; 김효단, "중국 현행 유아교육과정분석: 국가수준 정책문서 요강과 지침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소 19 (19): 119-139, 2017

      8 呂君 ; 한대동 ; 오경희, "중국 유아교육 재정지원 정책의 현황 및 과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571-596, 2016

      9 배지현,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글로벌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적용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6 (6): 59-81, 2013

      10 김정숙 ; 이경화,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척도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153-182, 2018

      11 양시내 ; 김영옥, "유아 시민의식 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225-256, 2014

      12 양시내, "유아 시민의식 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13 박지선, "유아 세계시민교육이 유아의 세계시민의식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4 교육과학기술부, "유아 세계시민교육 활동자료" 교육과학기술부 2008

      15 김은나 ; 임영심, "예비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57-785, 2019

      16 백남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이해와 설계" 교육아카데미 2016

      17 유성상, "아시아에서의 세계시민교육: 탐색과 가능성" 교육연구소 17 : 1-9, 2016

      18 Collins, M, "아동을 위한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for young children]" 학지사 2012

      19 김종훈, "세계시민교육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5 (15): 47-95, 2020

      20 이인영 ; 김유연 ; 문정민 ; 이규빈 ; 유성상,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국제교류협력 프로그램: 경기도교육청 사례연구"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4 (14): 139-172, 2019

      21 이효정 ; 김갑순, "세계시민교육역량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소 9 (9): 125-142, 2019

      22 심예서 ; 김지은, "세계시민교육에 기초한 협동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5-38, 2017

      23 성열관,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의 보편적 핵심 요소와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09-130, 2010

      24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세계시민교육 : 학습 주제 및 학습 목표 :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Topics and Lwarning Objectiv"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2015

      25 김용숙,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2971-2982, 2012

      26 이혜영 ; 조혜승 ; 박수정, "미국 대학의 세계시민교육 사례 연구: South Florid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교육연구학회 9 (9): 3-30, 2017

      27 박성인, "동아시아 시민성의 세계시민교육적 접근" 연세대학교 2020

      28 이종재, "대학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토대구축에 관한 연구: October 2016 UN Academic Impact Korea" The United National Academic Impact Korea

      29 한건수,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문화 다양성과 국제이해교육으로" 6 (6): 1-33, 2011

      30 김선미,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4 : 63-81, 2000

      31 김진희 ; 허영식,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담론과 함의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40 (40): 155-181, 2013

      32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다문화 사회와 국제이해교육" 동녘 2009

      33 한건수, "다문화 사회 개념과 한국사회 다문화 담론에 대한 성찰" 20-36, 2007

      34 이경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세계여러나라’에 대한 비판적 고찰" 227-227, 2017

      35 최종덕, "글로벌 시민교육의 쟁점과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207-227, 2014

      36 김민진,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 교육 관련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43-63, 2011

      37 성원경 ; 이춘자 ; 조인경,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육아지원학회 5 (5): 5-26, 2010

      38 최병두, "관계이론에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으로: 초국적 이주 분석을 위한 대안적 연구방법론"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7 (7): 1-47, 2017

      39 한은미 ; 이경화, "개념적 메타포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유아에 대한 신념"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1-22, 2014

      40 刘宝存, "文化冲突与理念弥合——"一带一路"背景下新型世界公民教育刍议" 39 (39): 56-63, 2018

      41 朱洁虹, "幼儿节日活动中的世界公民教育" 3 : 2012

      42 孙曙, "可持续发展教育视野下幼儿教师教育的革新" (6) : 14-17, 2018

      43 李晓燕, "全球化浪潮下的幼儿国际理解教育" (6) : 12-14, 2015

      44 田雯雯, "中美幼儿教师职前培养体系的比较研究" 3 : 2018

      45 조현기, "W.I.T.H 세계시민교육을 통한 공동체 역량 신장" 글로벌교육연구학회 9 (9): 87-114, 2017

      46 Banks, J. A., "Teaching for social justice, diversity, and citizenship in a global world" 68 (68): 296-305, 2004

      47 김정숙 ; 이경화, "Oxfam 세계시민교육과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439-460, 2017

      48 UNESCO, "Incheon Declaration" UNESCO 2015

      49 송애리, "DCI (Disciplined Civic Inquiry)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의 이론과 실제: 미국 교실 수업 사례"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3) : 1-25, 2019

      50 이경화, "Challenges Facing South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rovid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coming a Cosmopolitan Citizen" 한국유아교육학회 22 (22): 115-131, 2016

      51 교육과학기술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2013

      52 유연옥 ; 박인숙,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의 세계시민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465-480, 2014

      53 강혜영 ; 장준호 ; 양윤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연계 세계시민교육 지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46) : 237-274,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