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베리어프리 적용현황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대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arrier Free in Lib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University Libr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069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4년재 대학 중 장애학생 수가 가장 많으며, B.F 인증제 도 시행이전에 신축 완공된 국립대(전남대학교 도서관), 사립대(조선대학교 도서관) 2 곳을 분석대상으로,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4년재 대학 중 장애학생 수가 가장 많으며, B.F 인증제 도 시행이전에 신축 완공된 국립대(전남대학교 도서관), 사립대(조선대학교 도서관) 2 곳을 분석대상으로, 현재시점에서 B.F 인증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조사 분석해 보았 을 때, B.F 항목의 적용 여부 및 인증기준과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그 분석결과를 노 후시설의 증·개축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연구로써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장별 연구의 흐름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한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국내·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 일반적 특성 등을 통해 연구의 방향 및 변별성, 일반적인 특성 등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정의와 도서관 공간에 대한 장애인 이용행태, B.F 인증 기준항목을 통한 분석의 틀을 정리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대학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B.F 인증기준에 따라 전남대학교, 조선대 학교 도서관시설의 현황을 분석하고, 매개 시설, 내부시설, 위생 및 안내시설로 나누 어 분석하였다. 전남대와 조선대의 B.F 인증기준에 따른 종합 비교분석을 통해 두 학교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제5장은 본 연구의 결론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과 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매개시설을 분석한 결과 기존 접근로의 유효폭은 1,800mm 이상이 최우수 기준값으로 평가되는데, 두 학교 모두 기준치 이상으로 분석 되었다. 경계라인은 차도와 보도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으며, 특히 보행통로와 차도 는 눈에 띄는색상으로 구분하는 등 두 시설 모두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재 질 및 마감에 있어서 조선대는 석 재질을 사용한 반면, 전남대는 아스팔트로 마감하 였고, 두 학교 모두 보행 및 장애물은 없었다. 장애인 주차장은 조선대가 더 많았고 주차공간도 규격에 맞았다. 유도 및 표시, 보행안전통로를 만들어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도 주차장 이용의 어려움이 없었다. 주 출입구는 조선대가 전남대보다 유효폭과 활동공간이 훨씬 넓었으며, 전남대는 여닫이문으로 설치되었으나 조선대는 자동문으 로 설치되어 B.F 기준에 적합한 요소가 더 많았다. 둘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내부시설을 분석한 결과 출입문은 1m 이상, 단차는 없었 고, 전면 유효거리는 조선대 1.8m 이상, 전남대 1.5m 이상으로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손잡이 및 점자표지판은 일반 기준을 만족하여 출입문은 B.F 인증 기준에 모두 충족하고 있었다. 복도 및 통로의 유효폭은 조선대가 1.8m 이상, 전남대 1.2m 이상으로 확보하고 있어 기준값을 충족했고, 계단은 두 학교 모두 보행장애물 은 없었고, 조선대가 유효폭이 1.5m 이상으로 넓은 면적을 유지하였고, 전남대는 1.2m 이상으로 일반 기준에 속하였다. 디딤판, 챌판은 두 학교 모두 일반 기준에 속 하였고, 전남대학교가 좀 더 낙후되고 불편함이 많아 보였다. 승강기의 크기는 두 시 설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활동공간은 조선대가 전면 1.5m x 1.5m 이상으로 최우 수 조건을 만족하였고, 전남대가 1.4m x 1.4m 이상으로 우수한 편에 속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셋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안내시설로 점자블록의 규격 및 색상은 0.3 x 0.3m 황색 으로 모두 우수한 기준에 속하였으며, 조선대학교는 도서관시설은 시각장애인 안내설 비인 음성 안내장치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전남대학교 도서관시설에는 시각장애인 안 내설비가 없었다. 반대로 청각장애인 안내설비는 두 학교 모두 설치되어 있어서 최우 수 조건을 만족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 정리해 보면 두 시설 모두 인증평가 이전에 준공된 시설임도 불 구하고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B.F 인증평가 기준항목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 사 분석되었다. 다만 조선대학교에 비해 전남대학교시설이 1990년 건축물로 오래된 점을 고려할 때 장애인주차구역이 부족한 점, 복도 및 통로가 좁고은 점, 구 도서관 시설에서 장애인 화장실이 없는 건물이 있는 점, 일부 접근로가 경사진 곳에 있는 점 등은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향후 연구 과제 본 연구는 도서관 시설의 B.F 적용현황에 관한 연구로써 광주광역시내 2곳의 대학 을 중심으로 B.F인증제도 시행 이전에 완공된 시설이 현재의 B,F인증제도 기준에 어 느정도 충족하는지 여부와 어떠한 차이점과 문제점들이 있는지를 살펴보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후공공시설의 리모델링 시 B.F인증기준에 맞도록 시설개선을 유도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출발점이라 여겨지며, 본연구의 의미가 여기에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한정된 지역과 범위로써 분석의 다양성 을 확보하지 못한 점, 문제점으로 제기된 공간의 개선안을 제시하지 못한 점 등의 문 제는 연구의 한계로 들 수 있겠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노후 공공시설에 대 한 다양한 건축유형별 연구와 그에대한 개선안에 대한 결과물까지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와 더불어 B.F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검토와 제언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Ⅱ. B.F 관한 선행연구 고찰 및 일반적 특성 5
      • 2.1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Ⅱ. B.F 관한 선행연구 고찰 및 일반적 특성 5
      • 2.1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 5
      • 2.2 B.F 디자인의 일반적 특성 8
      • 2.2.1 국내·외 B.F 디자인의 도입배경 및 개념 8
      • 2.2.2 B.F 인증제도 개념 및 도입 배경 11
      • 2.3 국내·외 장애인 편의시설의 설치기준 사례 분석 13
      • 2.3.1 국내·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 13
      • Ⅲ. 대학도서관 실내공간 계획의 일반적 특성 15
      • 3.1 대학도서관의 장애학생을 위한 공간구성 15
      • 3.1.1 공공도서관의 정의와 변화 15
      • 3.1.2 도서관 공간에 대한 장애인 이용행태 16
      • 3.2 B.F 인증 기준항목을 통한 분석의 틀 구성 18
      • 3.2.1 B.F 인증기준에 따른 적용 가능한 분석의 틀 25
      • Ⅳ. 대학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B.F 인증기준에 따른 분석 27
      • 4.1. 대학도서관 시설의 현황분석 27
      • 4.1.1 전남대학교의 도서관 현황 27
      • 4.1.2 조선대학교의 도서관 현황 30
      • 4.2. B.F 인증평가 기준에 따른 전남대 도서관 시설 분석 33
      • 4.2.1 B.F인증평가 기준에 따른 매개시설 분석(전남대) 33
      • 4.2.2 B.F인증평가 기준에 따른 내부시설 분석(전남대) 36
      • 4.2.3 B.F인증평가 기준에 따른 위생시설 및 안내시설 분석(전남대) 41
      • 4.3. B.F 인증평가 기준에 따른 조선대 도서관 시설 분석 48
      • 4.3.1 B.F인증평가 기준에 따른 매개시설 분석(조선대) 48
      • 4.3.2 B.F인증평가 기준에 따른 내부시설 분석(조선대) 52
      • 4.3.3 B.F인증평가 기준에 따른 위생 및 안내시설 분석(조선대) 55
      • 4.4. B.F 인증기준에 따른 대학도서관 시설의 종합 비교 분석 62
      • Ⅴ. 결론 66
      • 참고문헌 68
      • Abstract 69
      • 별첨부록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