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서울 도심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향상 연구 = A Study on Ai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Street Green Areas in Seoul,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075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 내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수종, 식재유형, 가로녹지 구조, 녹량(녹지용적)에 따른 기온 변화량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종별 비교 가능한 3종 이상의 가로수가 식재된 유형은 ...

      본 연구는 도시 내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수종, 식재유형, 가로녹지 구조, 녹량(녹지용적)에 따른 기온 변화량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종별 비교 가능한 3종 이상의 가로수가 식재된 유형은 교목 1열+관목이었으며,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 간 분석에서 소나무 $1.35^{\circ}C$, 느티나무 $1.84^{\circ}C$, 은행나무 $2.00^{\circ}C$, 양버즘나무 $2.57^{\circ}C$이었다. 규격이 크고 수관폭이 넓은 수종은 가로변에 그늘을 제공하여 기온 저감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로수 식재유형과 기온과의 관계 분석결과는 교목 1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1.80^{\circ}C$, 교목 2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2.15^{\circ}C$로 교목 열수 증가에 따라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로녹지 구조별 기온 저감 효과 분석결과는 교목 유형 $1.94^{\circ}C$, 교목+관목 유형 $2.49^{\circ}C$, 교목+아교목+관목 유형 $2.57^{\circ}C$이었으며, 기온저감은 단층구조보다 다층구조에서 효과적이었다. 녹량(녹지용적량)과 기온저감량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녹량이 많을수록 기온저감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수관용적이 크고 교목층의 열수가 많으며, 다층구조인 식재형태는 가로 내 녹량과 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 기준을 제안하였다. 보도폭 3m 이하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작은 낙엽활엽수와 최대 1m의 띠녹지 조성을 통한 교목+관목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보도폭 3m 이상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큰 낙엽활엽수 다열 식재 및 1m 이상의 띠녹지 조성, 교목과 관목뿐만 아니라, 아교목 성상의 수목 식재를 통한 다층구조 녹지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ir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tree type, plantation type, roadside green area structure, and green volume of street green area within a city. The plantation type that could be analyzed for comparison by 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ir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tree type, plantation type, roadside green area structure, and green volume of street green area within a city. The plantation type that could be analyzed for comparison by tree type with over 3 species was 1 rows of tree+shrubs. The results of analysis of average air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pedestrian and car streets vis-a-vis 1 row of tree+shrub in high air temperature areas were: Pinus densiflora, $1.35^{\circ}C$; Zelkova serrata, $1.84^{\circ}C$; Ginkgo biloba, $2.00^{\circ}C$; Platanus occidentalis, $2.57^{\circ}C$. This standard large wide canopy species was analyzed by the roadside to provide shade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ir temperature reduction. In terms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tation type of roadside trees and air temperature, the average air temperature difference for 1 row of tree type was $1.80^{\circ}C$; for 2 rows of trees it was $2.15^{\circ}C$. In terms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adside green area structure and air temperature, for tree type, average air temperature $1.94^{\circ}C$: for tree+shrub type, average air temperature $2.49^{\circ}C$; for tree+mid-size tree+shrub type, average air temperature $2.57^{\circ}C$. That is, air temperature reduction was more effective in a multi-layer structure than a single layer structure. In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green volume and air temperature reduction, the ai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was enlarged as there was a large amount of green volume. There was a relationship with the green volume of the road, the size of the tree and number of tree layers and a multi-layer structured form of planting. The canopy volume was large and there were a great number of rows of the tree layer and the plantation type of multi-layer structure, which is what is meant through a relationship with the green volume along the roadside. Green composition standards for ai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s and functional improvement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 For a pedestrian street width of 3m or less in the field being ideal, deciduous broadleaf trees in which the canopy volume is small and the structure of the tree+shrub type through the greatest 1m green bend were proposed. For a pedestrian street width of over 3m, deciduous broadleaf trees in which the canopy volume is large and is multi-layer planted with green bend over 1m, tree+mid-size tree+shrub type was propo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봉호,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토지 피복 상태와 온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751-762, 2010

      2 김수봉, "도시의 수목이 기온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 30 (30): 25-34, 2002

      3 조현길, "도시기온에 작용하는 입체적 토지피복의 영향" 한국조경학회 37 (37): 54-60, 2009

      4 도후조, "도시 지표면 온도분포 특성 및 열섬완화방안" 한국환경과학회 16 (16): 611-622, 2007

      5 이광재,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도시지역 지표온도 분포 특성 해석" 대한원격탐사학회 20 (20): 397-408, 2004

      6 박은진, "경기도 도시가로수의 탄소저장량과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591-600, 2010

      7 한봉호,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가로환경 영향요인 분석 연구 - 서울시 관리도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253-265, 2013

      8 Yoon, Y. H., "Thermal effect of park and open space in urban area" 33 (33): 91-98, 1998

      9 Kang, J. H, "The Shading Effects of Double Row Street Trees on the Thermal Comfort Index"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4

      10 Kim, H. S.,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Land Coverage and Vegetation Structure of Large-Scale Green Area in Seoul" University of Seoul 2012

      1 한봉호,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토지 피복 상태와 온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751-762, 2010

      2 김수봉, "도시의 수목이 기온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 30 (30): 25-34, 2002

      3 조현길, "도시기온에 작용하는 입체적 토지피복의 영향" 한국조경학회 37 (37): 54-60, 2009

      4 도후조, "도시 지표면 온도분포 특성 및 열섬완화방안" 한국환경과학회 16 (16): 611-622, 2007

      5 이광재,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도시지역 지표온도 분포 특성 해석" 대한원격탐사학회 20 (20): 397-408, 2004

      6 박은진, "경기도 도시가로수의 탄소저장량과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591-600, 2010

      7 한봉호,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가로환경 영향요인 분석 연구 - 서울시 관리도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253-265, 2013

      8 Yoon, Y. H., "Thermal effect of park and open space in urban area" 33 (33): 91-98, 1998

      9 Kang, J. H, "The Shading Effects of Double Row Street Trees on the Thermal Comfort Index"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4

      10 Kim, H. S.,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Land Coverage and Vegetation Structure of Large-Scale Green Area in Seoul" University of Seoul 2012

      11 Cho, E. J., "Study of Surface Temperature and Its Change with Landuse Change" EwhaWomans University 1995

      12 Park, S. H., "SPSS 17.0 Understanding and Using" Hannarae Academy 526-, 2009

      13 Jo, H. K., "Function of microclimate amelioration by urban greenspace" 76 (76): 23-28, 1999

      14 Park, Y. J., "Establishment of roadside tree planting system" 28 (28): 93-103, 2000

      15 Lee, K. J., "Environmental Ecology" Kwang-il Publishing Co. Ltd 415-, 2011

      16 Yoon, Y. H., "Effects of the land coverage of vegetation and the stratification of forest on micro-climate changes" 8 (8): 25-33, 2004

      17 Han, B. H., "Development of Composition and Management Model of Street Tree by Road and Environment Type" Korea Forest Service 348-, 2014

      18 Suh, J. E., "An analysis of elements that cause heat island in urban area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area-" 29 (29): 581-58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