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weet Bee Venom의 rat를 이용한 4주 반복 근육시술 독성시험 = Study of four weeks repeated-dose toxic test of Sweet Bee Venom in rats Original Artic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982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e four weeks repeated -dose toxicity of Sweet Bee Venom (SBV-pure melittin, the major component of honey bee venom) in rats. Methods: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the regulations of Good Laboratory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e four weeks repeated -dose toxicity of Sweet Bee Venom (SBV-pure melittin, the major component of honey bee venom) in rats. Methods: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the regulations of Good Laboratory Practice (GLP) at Biotoxtech Company, a non-clinical study authorized institution. Male and female rats of 5 weeks old were chosen for the pilot study of four weeks repeated-dose toxicity and was injected at the level of 0.56 mg/kg body weight (eighty times higher than the clinical application dosage as the high dosage), followed by 0.28 and 0.14 mg/kg as midium and low dosage, respectively. Equal amount of normal saline was injected as the control group every day for four weeks. Results: 1. No mortality was witnessed in all of the experiment groups. 2. All experiment groups appealed pain sense in the treating tim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side effects such as hyperemia and movement disorder were observed around the area of injection in all experiment groups, and the higher dosage in treatment, the higher occurrence in side effects. 3. Concerning weight measurement, neither male nor female groups showed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 Concerning to the CBC and biochemistry, all experiment groups didn'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5. Concerning weight measurement of organs, experiment groups didn'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6. To verify abnormalities of organs and tissues, those such as cerebellum, cerebrum, liver, lung, kidney, and spinal cords were removed and we conducted histologocal observation with H-E staining. Concerning the histologocal observation of liver tissues, some fatty changes were observed around portal vein in 0.56 mg/kg experiment group. But another organs were not detected in any abnormalities. 7. The proper high dosage of SBV for the thirteen weeks repeated test in rats may be 0.28 mg/kg in one time. Conclusion: Above findings suggest that SBV is relatively safe treatment medium. Further studies on the subject should be conducted to yield more concrete evid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기록, "한방치료를 통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의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의학회 20 (20): 209-216, 2003

      2 김경운, "요추간판탈출증에 봉약침의 근위 취혈과 근위 및 원위 취혈의 비교" 대한침구의학회 22 (22): 181-187, 2005

      3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8-56호"

      4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60호"

      5 전형준, "봉약침으로 치료한 요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임상적 평가" 대한침구의학회 20 (20): 63-72, 2003

      6 윤현민, "봉약침요법으로 발생한 Anaphylaxis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침구의학회 22 (22): 179-188, 2005

      7 이진선, "봉약침(Bee Venom)과 Sweet Bee Venom의 Allergy 반응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약침학회 9 (9): 61-77, 2006

      8 이상훈, "봉독약침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 통증, 종창 및 급성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의학회 20 (20): 77-84, 2003

      9 이상인, "본초학" 수서원 4-5, 1985

      10 이상훈, "무작위 대조 이중맹검 시험을 통한 봉독 약침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효과 연구" 대한침구의학회 20 (20): 80-88, 2003

      1 권기록, "한방치료를 통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의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의학회 20 (20): 209-216, 2003

      2 김경운, "요추간판탈출증에 봉약침의 근위 취혈과 근위 및 원위 취혈의 비교" 대한침구의학회 22 (22): 181-187, 2005

      3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8-56호"

      4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60호"

      5 전형준, "봉약침으로 치료한 요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임상적 평가" 대한침구의학회 20 (20): 63-72, 2003

      6 윤현민, "봉약침요법으로 발생한 Anaphylaxis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침구의학회 22 (22): 179-188, 2005

      7 이진선, "봉약침(Bee Venom)과 Sweet Bee Venom의 Allergy 반응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약침학회 9 (9): 61-77, 2006

      8 이상훈, "봉독약침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 통증, 종창 및 급성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의학회 20 (20): 77-84, 2003

      9 이상인, "본초학" 수서원 4-5, 1985

      10 이상훈, "무작위 대조 이중맹검 시험을 통한 봉독 약침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효과 연구" 대한침구의학회 20 (20): 80-88, 2003

      11 김양강, "독성학" 동화기술 15-18, 1984

      12 허인회, "독성학" 신일상사 9-10, 1993

      13 강계성, "다발성 경화증 환자 5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침구의학회 20 (20): 209-217, 2003

      14 정경숙, "뇌졸중 후 중추성 통증 환자에 대한 봉독약침요법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의학회 22 (22): 69-76, 2005

      15 이건목, "蜂藥鍼을 위주로 한 腰椎椎間板脫出症 의 突出型 患者(protrusion disc patients) 에 대한 臨床的 考察" 대한침구의학회 21 (21): 13-26, 2004

      16 이성노, "蜂藥鍼治療의 退行性膝關節炎에 대한 臨床的 考察" 대한침구의학회 20 (20): 73-78, 2003

      17 이대용, "中風後遺症으로 인한 肩臂痛 患者의 蜂藥鍼治療에 대한 臨床的 考察" 대한침구의학회 23 (23): 69-80, 2006

      18 Lind DS, "nuclear factor-κB is upregulated in colorectal cancer" 130 : 363-369, 2001

      19 Kim TH, "Three cases of affections of the hip treated with Korean Bee-Venom therapy" 4 (4): 122-130, 2001

      20 Kwon KR, "The Effect of Bee Venom Aqua - acupuncture on the Antitumor and Immune Response in the Epithelioma by 3 - MCA" 14 (14): 151-172, 1997

      21 윤휘철, "Sweet Bee Venom의 비글견을 이용한 단회근육시술 독성시험" 대한약침학회 13 (13): 43-62, 2010

      22 박재석, "Sweet Bee Venom의 비글견을 이용한 4주 반복 근육시술 독성시험" 대한약침학회 13 (13): 5-42, 2010

      23 권혜연, "Sweet Bee Venom의 rat를 이용한 4주 반복 근육시술 독성시험" 대한약침학회 14 (14): 5-24, 2011

      24 권기록, "Sweet BV의 함량분석과 시술 부위별 LD50관찰" 대한약침학회 10 (10): 81-86, 2007

      25 권기록, "Sweet BV의 성분분석과 항체역가 및 allergy 반응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약침학회 9 (9): 79-86, 2006

      26 임청산, "Sweet BV가 비글견의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 13 (13): 15-46, 2010

      27 Renata MS, "Structural and functional behavior of biologically active monomeric melittin" 25 : 767-772, 2007

      28 Academic committee of KPI, "Pharmacopuncturology" Elsevier Korea 167-199, 2008

      29 Aranha MM, "NF-κB and apotosis in colorectal tumorigenesis" 37 : 416-424, 2007

      30 Park HJ, "JNK pathway is involved on the inhibition of inflammatory target gene expression and NF-κB activation by melittin" 5 (5): 1-13, 2008

      31 최영권,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와 propionic acid/urea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봉독 성분의 분리" 대한약침학회 9 (9): 105-111, 2006

      32 Ko HK,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Bee Venom Theraphy on the Analgesic, Antipyretic and Anti-inflammatory Action" 13 (13): 283-292, 1992

      33 Hwang YJ, "Clinical Study of Anaphylaxis on Bee-Venom Acupuncture" 17 (17): 149-159, 2000

      34 Wang WH, "Clincal Investigation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the Bee Venom - Acupuncture on Knee Joint with Osteoarthritis" 18 (18): 35-47, 2001

      35 Barbara,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Honey Bee venom" Academic Press 329-402, 1986

      36 Park HJ, "Antiarthritic effect of Bee Venom" 50 (50): 3504-3515, 2004

      37 Kwon KR, "An Experimental Study with Bee Venom Therapy on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15 (15): 97-103, 1998

      38 Robert L, "Allergy, Hypersensitivity, Anaphylaxis. Emergency Medicine" Mosby Year Book 2759-2766, 1998

      39 Lee JS, "A Clinical Study on the case of Fascioscapulohumeral ( FSH ) Muscular Dystrophy Tre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18 (18): 227-238,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3-08-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약침학회지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Herbal Acupuncture ->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9 0.42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