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윤복 춘의 풍속화의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 = The Study on Storytelling Techniques of Shin, Yunbok Erotic Genre Paint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2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춘의`를 주제로 한 신윤복의 춘의 풍속화가 감상자로 하여금 마음속 이야기를 구성하게 하는 서사성을 지니고 있다는 관점에서 신윤복 춘의 풍속화의 스토리텔링 기법과 효과를 ...

      이 연구는 `춘의`를 주제로 한 신윤복의 춘의 풍속화가 감상자로 하여금 마음속 이야기를 구성하게 하는 서사성을 지니고 있다는 관점에서 신윤복 춘의 풍속화의 스토리텔링 기법과 효과를 논하였다. 신윤복의 춘의 풍속화는 수많은 스토리텔링을 생성해 왔다. 이렇게 수용자가 그림을 보고 마음속으로 이야기를 구성한다면, 신윤복의 풍속화는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기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신윤복의 작품이 말과 글 등 언어로써 우리에게 어떤 서사(story)를 서술(telling)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한 방식으로 서사를 전달하여 수용자에게 이야기를 구성하게 하고 그 이야기에 대한 태도까지 형성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먼저 신윤복 그림으로 전하는 <사시장춘>의 서사성을 예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작품에서 세부 묘사는 재현 대상의 외연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 정황까지 상상하게 하며, 그려진 장면은 비록 정지해 있으나 앞뒤의 서사적 맥락을 추론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매개 인물을 등장시켜 그림의 정을 도탑게 만들기도 하며, 작가의 주제의식을 반영하는 문구를 활용한다. 이렇게 <사시장춘>은 정지된 장면을 담은 그림이지만 서사적 분석을 통해 읽고 음미할 만한 서사성을 갖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혜원전신첩>의 작품들의 스토리텔링 기법과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신윤복의 춘의 풍속화는 절정에 해당하는 사건의 앞 뒤 장면을 연출함으로써 후속 사건에 대한 기대를 유발하거나 선행 사건에 대한 추리를 하게 하는 서사적 상상력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이 상상력은 인정물태에 대한 핍진한 묘사 덕분에 구체화되면서 개성적인 인물과 복잡한 인물관계가 만들어내는 이야기 구성으로 나아간다. 또한 신윤복의 춘의 풍속화는 널리 알려진 서사를 떠올리게 하는 장면을 연출함으로써 수용자로 하여금 기억 속의 서사물에 기반하여 전후 서사적 맥락 속에서 장면의 의미를 음미하게 한다. 한편, 신윤복의 풍속화에는 인물과 사건을 바라보고 감지하는 초점자가 등장하는데 수용자는 이런 인물을 매개로 작중세계에 몰입하며 춘의를 둘러싼 다양한 정서를 체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신윤복 풍속에 삽입된 제화시는 추상적인 화의를 언어적으로 구체화하면서 그림에 대한 서사적 해석을 돕는다. 이렇게 신윤복은, 춘의가 서사적으로 구현될 때 펼쳐볼 만한 폭과 음미할 만한 깊이를 가질 수 있음을 간파한 영민한 화가였기에 오늘날 수용자에게까지 조선 후기의 풍류와 춘의를 전할 수 있었다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storytelling techniques and effects of Shin, Yunbok`s genre paintings from the perspective that Shin, Yunbok` s erotic genre paintings have narratives that allow viewers to construct stories in their minds. Shin, Yunbok`s stor...

      This study discusses the storytelling techniques and effects of Shin, Yunbok`s genre paintings from the perspective that Shin, Yunbok` s erotic genre paintings have narratives that allow viewers to construct stories in their minds. Shin, Yunbok`s storytelling in his paintings has created a lot of viewers` storytellings. In other words, Shin, Yunbok`s works are not telling us stories in words, but these convey narratives in a various ways to construct stories to the recipients and form attitudes to them.
      Shin, Yunbok`s erotic genre paintings operate a narrative imagination that causes anticipation for a subsequent event or makes reasoning about a preceding event by designed the scenes before and after the event corresponding to climax. And this imagination is shap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makes up the dramatic stories.
      In addition, Shin, Yunbok`s genre paintings portray a scene reminiscent of a widely known story. So the viewer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cene with the help of narrative in memory. On the other hand, in the genre paintings of Shin Yunbok, focalizers who look and feel characters and events appear, and the viewer experiences various emotions surrounding eroticism by engaging in this world through these focalizers. Finally, poetry inserted into Shin Yunbok`s paintings help clarify abstract meanings and narrative interpretation of paintings.
      Shin, Yunbok able to transfer the eroticism of late Joseon to viewers today because he was smart enough to know that erotic feelings which are represented in narrative are communicated effectively and enjoyable enoug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혜원전신첩" 탐구당 1-30, 1974

      2 이원복, "혜원 신윤복의 화경" 미술사연구회 11 : 97-128, 1997

      3 임영신, "혜원 신윤복의 근대적 작가정신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이양재, "혜원 신윤복을 찾아서" (109) : 122-125, 1993

      5 황효순, "혜원 신윤복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6 최순우, "한국회화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연구" 공간사 50-, 1968

      7 안휘준, "한국회화사의 전통" 문예출판사 1-470, 1988

      8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1-464, 2000

      9 안휘준, "한국의 미,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1" 돌베개 1-286, 2007

      10 최순우, "한국미술전집" 동화출판사 155-, 1974

      1 "혜원전신첩" 탐구당 1-30, 1974

      2 이원복, "혜원 신윤복의 화경" 미술사연구회 11 : 97-128, 1997

      3 임영신, "혜원 신윤복의 근대적 작가정신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이양재, "혜원 신윤복을 찾아서" (109) : 122-125, 1993

      5 황효순, "혜원 신윤복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6 최순우, "한국회화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연구" 공간사 50-, 1968

      7 안휘준, "한국회화사의 전통" 문예출판사 1-470, 1988

      8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1-464, 2000

      9 안휘준, "한국의 미,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1" 돌베개 1-286, 2007

      10 최순우, "한국미술전집" 동화출판사 155-, 1974

      11 안휘준, "한국미술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610, 1993

      12 김현룡, "한국문헌설화 3" 건국대학교 출판부 1-549, 1999

      13 김현주, "판소리와 풍속화, 그 닮은 예술 세계" 효형출판 1-287, 2000

      14 최순우, "최순우 전집 3" 학고재 1-452, 1992

      15 왕필, "주역 왕필주" 길 1-680, 2006

      16 이태호,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학고재 1-434, 1996

      17 강명관, "조선풍속사 3: 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푸른역사 1-288, 2010

      18 오주석, "조선시대 풍속화" 삼화인쇄 1-311, 2002

      19 가라타니 고진,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28-43, 2005

      20 이동주, "우리나라의 옛 그림" 박영사 1-436, 2002

      21 오주석,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 솔 1-249, 2003

      22 김나연, "신윤복의 풍속화 연구 : 《혜원전신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3 Booth, Wayne C., "소설의 수사학" 예림기획 1999

      24 Abbott, H. Porter, "서사학 강의" 문학과지성사 1-464, 2008

      25 정병모,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 다할미디어 1-296, 2001

      26 김현주, "내러티브로서의 혜원 풍속화와 세태소설과의 관계" 시학과언어학회 (26) : 31-61, 2014

      27 성현경, "광한루기 역주 연구" 1-340, 1997

      28 엄소연, "蕙園 申潤福의 風俗畵에 나타난 妓女의 이미지 텔링(image telling)" 동방한문학회 (64) : 143-166, 2015

      29 이승연, "葦滄 吳世昌의 題跋의 時宜性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 (20) : 265-301, 2012

      30 Herman, David, "Routledge Encyclopedia of Narrative Theory" Routledge 431-, 2010

      31 김나연, "<혜원전신첩>의 유흥 이미지" 한국미술연구소 18 : 115-142,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1-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7-10-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KCI등재
      2017-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3 2.12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