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Motivational-Existential Psychoterap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ith Depression = 우울한 대학생을 위한 동기강화 실존심리치료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20414

      • 저자
      • 발행사항

        포항 :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2021. 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 143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성만

      • UCI식별코드

        I804:47030-200000385562

      • 소장기관
        • 한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reduction of depression required by college students that they demand, and it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existential psychotherapy to lower dep...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reduction of depression required by college students that they demand, and it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existential psychotherapy to lower depression and enhance the meaning of lif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8 sessions, 90 minutes in a session,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procedure of Kim et al. (2011),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verifi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were supplemented by analysis of subjective experienc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3 college students in P city, 11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to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a motivational existential psycho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a total of 8 sessions, and the control group was a no-treatment group. Depression and meaning in lif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one 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mortem, and this effect had continued one month later. Second, the meaning in lif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mortem, and this effect continued one month late
      r. Presence of meaning and search for meaning, which are sub-factors of the meaning in life,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mortem, and these effects had continued one month lat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helped through the program, such as 'changing of negative view of depression, a decreasing of anxiety and helplessness,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others, understanding and regulating emotion, and solidifying the goal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I-ET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owering the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nd improving the meaning in life.
      Finall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MI-ET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울을 호소하는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요구하는 우울 감소에 필요한 요인을 조사하여, 대학생의 발달특성에 맞게 우울을 낮추고 삶의 의미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동기...

      본 연구는 우울을 호소하는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요구하는 우울 감소에 필요한 요인을 조사하여, 대학생의 발달특성에 맞게 우울을 낮추고 삶의 의미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동기강화상담과 실존심리치료를 바탕으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창대 등(2011)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절차를 따라 1회기에 90분, 총 8회기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양적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주관적 경험 분석을 실시하여 양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P시의 대학생 23명으로, 실험집단에는 11명, 통제집단에는 12명이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동기강화 실존심리치료 집단프로그램을 회기 당 90분씩, 주 2회, 총8회기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무처치 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우울 및 삶의 의미를 사전 및 사후시기, 프로그램 종료 후 1개월 추후시기에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시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추후 1개월에도 이러한 효과가 지속되었다. 둘째, 삶의 의미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시기에 유의하게 높았고, 추후 1개월에도 이러한 효과가 지속되었다. 삶의 의미의 하위 요인인 의미발견과 의미추구도 마찬가지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시기에 유의하게 높았고, 추후 1개월에도 이러한 효과가 지속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을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도움을 받은 것으로는‘우울에 대한 부정적 시각변화, 불안 및 무기력감 감소, 자기 및 타인 이해, 정서 조절 및 정서 이해, 삶의 목표 공고히 하기’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동기강화 실존심리치료 집단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우울을 낮추고 삶의 의미를 증진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동기강화 실존심리치료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에 대한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과 필요성 1
      • 2. 연구문제 및 가설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우울 5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과 필요성 1
      • 2. 연구문제 및 가설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우울 5
      • 1) 우울의 의미 5
      • 2) 대학생의 우울 6
      • 2. 실존심리치료 7
      • 1) 실존심리치료의 배경 7
      • 2) 실존심리치료의 핵심 개념 8
      • 3) 대학생의 우울과 실존심리치료 10
      • 4) 선행연구 고찰 11
      • 3. 동기강화상담 14
      • 1) 동기강화상담이론 14
      • (1) 동기강화상담의 정의 14
      • (2) 동기강화상담의 기본원리 15
      • (3) 동기강화상담의 과정 16
      • 2) 우울과 집단동기강화상담 17
      • 3) 동기강화상담과 실존심리치료 17
      • Ⅲ. 동기강화 실존심리치료 집단프로그램 개발 20
      • 1. 프로그램 개발 절차 20
      • 2. 1단계: 목표수립 21
      • 1)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목적 설정 21
      • 2)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 21
      • 3) 요구조사 및 분석 21
      • 3. 2단계: 프로그램 구성 25
      • 1)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26
      • 2)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26
      • 4. 3단계: 예비연구 36
      • 1) 프로그램 활동의 내용타당도 평가 36
      • 2) 예비 프로그램 실시 43
      • 3) 예비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 49
      • 4) 최종 프로그램 50
      • Ⅳ. 연구 방법 52
      • 1. 개요 52
      • 2. 연구설계 52
      • 3. 연구대상 53
      • 4. 측정도구 54
      • 5. 자료분석 56
      • Ⅴ. 연구 결과 57
      • 1.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57
      • 2.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57
      • 3.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61
      • 4. 프로그램 경험분석 69
      • Ⅵ. 결론 및 논의 73
      • 1. 동기강화 실존심리치료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73
      • 2. 연구의 의의 76
      • 3. 연구의 제한점 76
      • 참고문헌 78
      • 부 록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