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CM과 PM 비교 분석을 통한 PM 사업 발전 방안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ject management usines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M and PM industr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7648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 기계및산업공학과 , 2013. 2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6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권두에 국문요지 수록
        권말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강창욱
        참고문헌: p. 57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활동의 일환으로 추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사업을 하는데, 이 사업들은 곧 프로젝트이고 이 프로젝트들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된...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활동의 일환으로 추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사업을 하는데, 이 사업들은 곧 프로젝트이고 이 프로젝트들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들 프로젝트에는 건설, IT, 제조 및 R&D 등 모든 산업분야가 포함되고 이들의 사업추진에 포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관리 프로세스 및 방법론이 PM(Project Management)이고, CM(Construction Management)은 그 일부인 토건 및 환경분야 건설산업 부분에 대한 관리 프로세스 및 방법론적 접근이다.
      대규모 프로젝트를 위한 PM체계가 국내에 소개되어 건설업계에 적용된 것은 70년대 초 선진 외국업체에 의한 완전 턴키사업(Turnkey Project)인 국내 원자력1호기 발전소 건설 이 그 한 예가 될 것이다. 이후 국내 주도형 사업(Non-Turnkey Project) 수행, 기술자립화 과정을 거쳐 독자적인 원전 건설 PM 능력을 갖추어, 이제는 단군 이래의 최대 수출 사업인 UAE원자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단계에까지 성장했다 . 원자력 도입기의 PM 기술은 사업기획부터 자금조달 타당성조사 등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이었고, 1990년에 미국 PMI와 협력하여 한국프로젝트관리기술회(PROMAT, 현 KPMA)를 발족시켜 PM지식 보급 발전에 앞장서 왔다, 한편 ‘96년 정부차원의 입법을 통한 건설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CM)제도화를 계기로 CM은 활성화 되고 있다.
      미국 및 서구에서와 다르게 국내에서 PM은 명확히 정의된 바 없고, CM과의 차이 또한 명쾌하지 않아서 건설 산업 분야에 있어서는 상호 유사 개념으로 쓰이기도 하며, 국내 건설산업기본법에서도 CM은 정의가 되어 있으나, PM은 실제로 많은 사업 분야의 프로젝트에 적용 및 활용되고 있지만 업역과 업무에 대한 법적, 제도적 규정이나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미국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인증해주는 PMP 인증 숫자는 PM 발전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가 될 수 있는데 1990년대 중반부터 큰 증가세를 보여 왔으나 근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건설경기 침체 영향으로 업계 종사자들의 관심 감소, IT 등 여타 산업분야의 종사자들의 인증욕구 미흡, 건설 분야 국내CM 자격인증 추진에 따른 국내 수요 대체 발생 영향일 것으로 추정된다.
      PM 협회/학회는 정부의 정책적인 제도화나 지원동력이 없이 자생적인 동기로 설립되어 수백 명의 회원이 활동을 하고 있는 반면, 정부의 정책적 제도적인 지원동력이 있는 상태에서 활동을 시작한 CM협회/학회는 약 4,000명의 회원이 활동할 정도로 크게 성장하였으며, CM의 발전을 위한 노력이 PM보다 훨씬 크게 나타난다. 특히 CM분야에서는 ‘대외협력위원회의 웍샾’ 개최 등 CM 업계의 입장을 대변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협회나 학회의 활동도 활발하며 조직구조도 잘 갖추어져 있고, 상호 역할분담을 잘하여, CM사업발전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 중이다.

      CM사업을 보면 수주나 금액 면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활성화가 이어지고 있다. PM은 PM업체의 존재나 실적유무의 공식집계가 가능한 자료원을 찾을 수 없었으며, PM협회에 알려진 업체들은 개인 또는 소수의 인력구조로 업역도 모두 PM 지식 전파 교육 및 컨설팅 사업이며 그 실적도 집계가 되지 않는 실정이다.

      CM활성화 배경으로는 마련된 법제도 기반 위에, 대표조직(학회, 협회)이 역할분담을 명확히 하고 대외협력 웍샾 등 CM발전을 위한 적극적 노력 중 이며, 업계 종사자와 조직 구성원들의 논문 참여 등 적극적 참여 자세가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현상 개선을 통한 PM 활성화 및 발전 방안은 아래와 같다

      사업개발 측면으로는 제도화가 가능한 분야를 발굴하여 CM대상 이외의 건설, SW, IT, 통신, 제조, R&D 등 업종별 산업계와 협력, PM업계 발전 방안 추진에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협회와 학회의 역할을 조정하고, 실제 PM분야 용역 사업이 가능토록 산업계의 수요를 창출하여 지원 및 협업 할 수 있는 방안, 제도 개발, PM업계 및 업황 전반에 대한 DB화 등 사업화 노력을 하는 등이 있다.

      학술전파 측면으로는 논문발표 장려책 등 회원의 활동 촉진을 위한 방안강구, 대학(원) 강의 개설 확대, 협회/학회 강의 다양화, 업계에 대한 PMP인증자 우대 분위기 조성을 통한 PM의 가치 인식 제고 노력 등을 제시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 지 ⅰ
      • 표 목 차 vi
      • 그림목차 vii
      • 요 지 ⅰ
      • 표 목 차 vi
      • 그림목차 vii
      • 제 1 장 서 론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 1.3 선행연구 고찰 4
      • 제 2 장 이론적 고찰
      • 2.1 개요 6
      • 2.2 학술적 측면 7
      • 2.3 제도정책 측면 10
      • 2.4 사업적용 17
      • 제 3 장 연구의 프레임워크
      • 3.1 개요 19
      • 3.2 비교 조사 힝목 20
      • 3.3 PM 발전방안 도출 20
      • 제 4 장 국내 CM 및 PM 사업수행 현황
      • 4.1 CM 사업 현황 21
      • 4.2 PM 사업 현황 27
      • 제 5 장 국내 CM 및 PM 조직별 활동 현황
      • 5.1 CM 조직 활동 29
      • 5.2 PM 조직 활동 32
      • 제 6 장 국내 CM 및 PM 역량과 활동성과 비교
      • 6.1 CM 및 PM 기구의 활동 비교 38
      • 6.2 분야별 협회/학회간의 역할 비교 42
      • 6.3 규모 및 활동 현황 비교 45
      • 제 7 장 결론
      • 7.1 연구 결과 요약 53
      • 7.2 연구 시사점과 한계점 55
      • 참고문헌 57
      • ABSTRACT 58
      • 연구윤리 서약서 62
      • Declaration of Ethical Conduct in Reasearch 63
      • 감사의 글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