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척추경 나사 고정술 후 발생하는 나사 주위 골흡수 = Bone Resorption Around Pedicle Screws After Pedicle Screw Plate Fix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83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시행되는 척추경 (spinal pedicle)나사 고정술 (screw plate fixation)후 척추경 나사 주위에 생기는 골흡수의 빈도, 위치, 분포, 발생 시기, 골흡수의 진행 양상...

      목적: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시행되는 척추경 (spinal pedicle)나사 고정술 (screw plate fixation)후 척추경 나사 주위에 생기는 골흡수의 빈도, 위치, 분포, 발생 시기, 골흡수의 진행 양상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척추경 나사 고정술을 시행 받은 156명 환자의 902개 척추경 나사를 대상으로 수술 직후와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척추경 나사 주위에 발생한 골흡수 여부를 분석하였다. 골흡수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방사선 투과성 부위 (radiolucent zone)의 폭을 측정하여 Grade 1(1 mm 미만), Grade 2(1 mm 이상 2 mm 미만), Grade 3(2 mm 이상)으로 등급화 하였다. 골흡수가 관찰된 39명의 78개의 척추경 고정 나사에서 골흡수의 정도, 위치, 분포, 발생 시기 및 진행 양상을 평가하였다. 결과: 척추경 나사 고정술을 시행받은 156명 902개의 척추경 중 39명(25%)환자의 78 개(8.6%)의 척추경에서 골흡수가 관찰되었다. 39명 중 26명에서 두 곳 이상의 척추경 고정 나사 주위에서 골흡수를 보였다. 척추경 고정 나사 중 99%에서 수술 후 12주 이내에 골흡수가 관찰되었다. 추적 기간 중 62%(78 개중 48개의 척추경 고정 나사)에서 병변의 정도는 진행하지 않았으나 38%에서는 더 높은 등급으로 골흡수의 정도가 진행하였다. 초기의 골흡수 등급이 낮은 경우에서 높은 등급으로 골흡수가 진행하는 정도가 낮았다. 결론: 척추경 나사 고정술 후 발생하는 나사 주위의 골흡수의 방사선학적 소견에 대한 이해는 수술 후 환자의 경과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determine the frequency, level, distribution, onset, and pattern of progression of bone resorption that occurring around pedicle screws after pedicle screw plate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Bone resorption around 902 pedicle screws w...

      Purpose: To determine the frequency, level, distribution, onset, and pattern of progression of bone resorption that occurring around pedicle screws after pedicle screw plate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Bone resorption around 902 pedicle screws was analyzed in post-operative, and follow-up radiographs obtained from 156 patients who underwent pedicle screw plate fixation. To determine the resorption degree, categorized arbitrarily as grade 1 (less than 1 mm), grade 2 (1 mm or more, but less than 2 mm), or grade 3 (2 mm or more), the width of radiolucent zones was measured. In 39 patients in whom resorption was graded 1, 2, or 3, the pattern of progression of 78 screws was evaluated. Results: Resorption occurred around 78 (8.6%) screws in 39 (25%) patients, 26 of whom had more than one lesion. For 99% of screws, there was evidance of resorption within 12 weeks of pedicle screw plate fixation. During follow-up, 61.5% of screws (48/78) remained stable, while 38.5% (30 screws) showed progression to higher grades. The possibility of progression to a higher grade is less when the initial grade is lower. Conclusion: An understanding of the radiographic patterns of bone resorption is useful for monitoring a patient after pedicle screw plate fix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