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一夫 金恒의 生涯와 學問的 연원 연구 = A study on Life and Origin of Learning about Ilbu Kim-H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8387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p83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임병학

      • UCI식별코드

        I804:45008-200000297724

      • 소장기관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正易』을 저술한 一夫 金恒의 생애와 『正易』의 구성 및 특징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一夫의 학문적인 연원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다면적으로 자료...

      본 논문은 『正易』을 저술한 一夫 金恒의 생애와 『正易』의 구성 및 특징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一夫의 학문적인 연원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다면적으로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당시 시대 상황 및 一夫의 생애를 파악해 볼 것이며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正易』의 구성 및 특징을 파악한 후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一夫의 학문적 연원이 聖學으로써의 先秦儒學에 있다는 점을 규명할 것이다.
      一夫 金恒(1826∼1898)는 易學의 대가로 宋代 易學의 한계를 뛰어넘어 易學 및 儒學의 先秦儒學적인 聖學으로써의 면모를 계승하여 正易八卦圖를 劃卦하고 『正易』을 저술한 조선말의 易學者이다.
      一夫는 1826년에 태어나 36세 까지는 당대 조선에 유행하던 宋代 易學을 위주로 학문을 연마하였으며 36세에 蓮潭 李선생을 스승으로 삼아 가르침을 받은 이후로는 先秦儒學을 위주로 경전 연구 및 詠歌舞蹈, 手指象數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학문을 연구하였다. 이에 54세에 공부에 성취를 얻은 후로는 56세에는 正易八卦圖를 劃卦하고 「大易序」를 지었으며 59세에는 『正易』의 上經인 「十五一言」을, 60세에는 下經인 「十一一言」을 지으면서 『正易』의 저술을 완료하였다.
      『正易』의 첫 번째 특징으로는 『周易』이 ‘易者 象也’라는 명제에 따라 卦爻의 象을 위주로 하였다면 『正易』은 ‘易者 曆也’라는 명제에 따라 河圖洛書의 象數原理를 위주로 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正易』은 기존의 先後과 天論을 혁신하여 先天과 後天이 확연히 구분된 개념이 아니라 陰陽의 이치와 같이 일체적이면서 나누어진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一夫는 당시 조선에 유행하던 宋代 易學인 소강절과 주희의 先後天論과 圖書象數易學을 계승 및 발전시켜 正易八卦圖 및 金火正易圖를 완성하여 曆數의 원리를 밝혔다. 따라서 一夫의 학문은 어느 정도 宋代의 易學에 근거하고 있으나 단순한 기존 易學을 답습하였다고 볼 수는 없으며 스스로 학문의 연원을 先秦儒學에 두었다. 이에 先秦儒學이 갖고 있는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一夫의 학문적 연원은 규명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this thesis, we will firstly look over life of Ilbu Kim-Hang and figure out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of Jeong-Yeok and then consider about his origin of study. For that purpose, we will firstly review various reference to figure out stat...

      Through this thesis, we will firstly look over life of Ilbu Kim-Hang and figure out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of Jeong-Yeok and then consider about his origin of study. For that purpose, we will firstly review various reference to figure out state of period and life of Kim-Hang. We will also find out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of Jeong-Yeok by researching and summarizing pre-researchers study. By those data, we will find out origin of study about Kim-Hang. His origin of study is about 'Wisdom of Saint' originated from pre-Qin dynasty Confucianism.
      Ilbu Kim-Hang was master of 『Zhouyi(周易)』 and he surmounted of Zhouyi scholars of Song dynasty and succeeded 'Wisdom of Saint' originated from pre-Qin dynasty Confucianism. By that he drew the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in Jeong-Yeok form.
      Ilbu Kim-Hang was born in 1826. He studied Zhouyi by theories from scholars of Song dynasty until he was age 36. When he got 36 years old, he met Yeon-dam Lee, the shcolar of Confucianism and Yeon-dam taught him to study stura which is written in pre-Qin dynasty. After that advice, Ilbu Kim-Hang made progress in his study by researching stura from pre-Qin dynasty and he also did his unique Finger Xiang Shu method and divine singing and dancing. He achieved his study when he was 54 and then he drew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in Jeong-Yeok form and wrote Dae-Yeok-Seo the introduction of Jeong-Yeok when he was 56. After that he fininshed writing Jung-Yeok when he got 59.
      First point of Jeong-Yeok is the difference between Zhouyi. Zhouyi is based on the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but Jeong-Yeok is based on principle of Xiang Shu. Second point of Jeong-Yeok is innovating Theory of XianHoutian. In Jeong-Yeok, Xiantian and Houtian is not seperate, it's united and seperated at the same time.
      Ilbu Kim-Hang succeeded and developed theories of scholars from Song dynasty. Therefore his study is somewhat originated from Song-dyansty but he didn't just followed them and he declared that his study is originated from pre-Qin dynasty. Through this thesis, I will examine characteristic of pre-Qin dynasty Confucianism and by that we will find out origin of study about Ilbu Kim-Ha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2
      • Ⅱ. 金恒의 生涯와 學問 5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2
      • Ⅱ. 金恒의 生涯와 學問 5
      • 1. 19세기 朝鮮의 時代的 狀況 5
      • 2. 金恒의 誕生과 臨終 14
      • 3. 金恒의 學問과 󰡔正易󰡕 著述 27
      • Ⅲ. 󰡔正易󰡕의 구성과 내용 36
      • 1. 正易八卦圖와 「大易序」 36
      • 2. 󰡔正易󰡕 「十五一言」 45
      • 3. 󰡔正易󰡕 「十一一言」 49
      • Ⅳ. 金恒의 學問的 연원 54
      • 1. 宋代 易學의 영향 54
      • 2. 先秦儒學의 繼承 60
      • Ⅴ. 결론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