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가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National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195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정부의 주요 역할 중 하나는 홍수, 태풍, 집중호우 등과 같은 자연재해와 대형화재, 붕괴, 폭발등과 같은 인위재난으로 인한 대형 참사를 막고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보장해주는 데 있...

      현대 정부의 주요 역할 중 하나는 홍수, 태풍, 집중호우 등과 같은 자연재해와 대형화재, 붕괴, 폭발등과 같은 인위재난으로 인한 대형 참사를 막고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보장해주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같은 국가 재해ㆍ재난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정보관리시스템인 국가 안전관리 정보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추진 실태 및 현황을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발전전략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위기관리와 국가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둘째, 국가 안전관리 정보시스템 사업의 추진실태를 시스템 구성 측면과 시스템 개발 및 운용상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논의를 기초로 하여 시스템 구성의 효율화 전략과 시스템 개발전략 및 효율적 운용전략, 정보시스템 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국가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은 과학적이고 장기적인 연구계획의 수립과 더불어 운용되어야 하고,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은 위기관리체계의 하위시스템이기 때문에 위기관리 제 도 및 행정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에는 안전관리 정보시스템 역시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없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의 구축은 지속적인 수정작업이 가능해야 하는 동시에 안전관리 정보시스템 자체에 대한 재난복구 계획의 수립이 요청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national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presents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backgrounds, the importance, the goals, the scope, and the methodology o...

      This paper analyze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national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presents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backgrounds, the importance, the goals, the scope, and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suggested in this research. This article deals with the subject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and its national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e backgrounds and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re reviewed in the pape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Korea should be established by responding functions rather than by the administrative convenience. Second, the emergency management actors in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involve with the process of the national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establishment. Third, it is necessary that the various scattered functions of the multi organizations should be integrated in the national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