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옥건축자산의 보존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전주 주거생활 한옥건축자산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 of Hanok Architectural Assets - Focused on the Residential life Hanok Architectural Assets in Jeonbuk Province Jeonju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299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nok architectural assets have the main function of living, which are destroyed or disappeared due to time,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Jeollabuk-do is no exception, so there are many hanok architectural assets with local identity, period, and his...

      Hanok architectural assets have the main function of living, which are destroyed or disappeared due to time,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Jeollabuk-do is no exception, so there are many hanok architectural assets with local identity, period,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but they are not properly used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Jeollabuk-do is known to have more hanok architectural assets than other regions, and policies are needed to preserve and utilize them. 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anok architectural assets which are located in Jeollabuk-do, analyze, synthesize and try to re-use them.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location and content of hanok architectural assets located in Jeollabuk-do by field survey. In addition, the history and contents of hanok architectural assets were studied by theoretical materials such as books and etc. In addition, policies, systems, laws, and cases related to hanok architectural assets carried out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Korea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Jeollabuk-do. Then, these contents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to derive contents on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hanok architectural assets. By synthesizing the above contents, it is concluded as followings: First, hanok architectural assets have potential values,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system to recognize and manage and protect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in the future, and to preserve them by database of them. Second, it wa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measures in the concept of sharing with local residents according to the nature of modern society, architectural asset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rd, the utilization plan should be subdivided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hanok architectural assets. Fourth, although the Hanok Architecture Cultural Asset is a building with a residential functio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its original form as much as possible i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옥건축자산은 주생활 자산으로 시간이나 도시화, 개발로 인하여 훼손되거나 멸실이 진행되고 있다. 전라북도도 예외는 아니어서 지역의 정체성이나 시대성, 역사성을 지닌 한옥건축자산...

      한옥건축자산은 주생활 자산으로 시간이나 도시화, 개발로 인하여 훼손되거나 멸실이 진행되고 있다. 전라북도도 예외는 아니어서 지역의 정체성이나 시대성, 역사성을 지닌 한옥건축자산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나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장시간 방치에 따라 훼손과 소실이 심각한 실정이다. 특히 전라북도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한옥건축자산이 많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를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정책 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한옥건축자산을 조사한 다음 자산의 내용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활용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연구는 먼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한옥건축자산의 위치, 수 내용 등을 현지조사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그리고 문헌조사 등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한옥건축자산의 역사, 내용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한옥건축자산과 관련한 정책, 제도, 법률,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그런 다음 이러한 내용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한옥건축자산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내용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옥건축자산은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 향후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관리하고 보호할 제도적 체계 정립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보존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보존적 개념에 의한 건립 당시의 원형보존과 함께 현대 사회와 건축자산의 성격, 주변 환경에 따른 지역민과의 공유개념에서 적극적인 보존과 활용방안 검토가 필요하였다. 셋째, 한옥건축자산의 특성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활용방안을 세분화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한옥건축문화자산은 주거기능의 건물이기는 하지만 보존과 활용에 있어서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