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소기업 기업가 및 종사자의 문화예술적 경험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지향성과 예술적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47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urrent era of multi-complex industrial environment, companies are developing strategies with innovation and renewal. More over, the direction of technologies focuses on satisfaction of customer’s taste and desire. These technologies are incl...

      In the current era of multi-complex industrial environment, companies are developing strategies with innovation and renewal. More over, the direction of technologies focuses on satisfaction of customer’s taste and desire. These technologies are including not only computing services such as big data and block chains, but also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represented by biotechnology, virtual reality(VR), artificial intelligence(AI). Even social economy projects, Adding to that, management activities to increase the value of creativity are becoming important.
      Recent demands of these companies have been to find new items, and to make artistic interaction and co-creative strategy so that they can directly utilize art and sublimate into creation-based business or indirectly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change.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unlike big corporations with large-scale capital, it is necessary to create competitive market opportunities with original technology and innovative business strategies, and to achieve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customers' valuable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jor causal relationships from the proces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to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y as a factor affecting the firm in the artistic dimension among the overall organizational activities of the corporation,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mutual cooperation and exchange activities with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o expand the scope of quantitative research by developing measurement tools that directly affect the corporate econom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entrepreneurs and employees of domestic SMEs. In this study, we use factor analysis to determine how artistic orientation that pursues artistic experience and artistry from an artistic point of view has an effect on business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based on innovation,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 differentiated research model using the leading variables that were introduced to further emphasize artistry and analyzed the cognitive-based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anagement.
      Through this process, we were able to construct the variables and to derive the following results and implications. First, if experience and activities are centered on creation and appreciation, artistry is directly applied to management activities, or innovative, enterprising, and risk-oriented.
      Second, the artistic orientation that strongly pursues artistry and the orientation toward entrepreneurial organiz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In the case of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it has been proven that even in-house variables such as prior research and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influence corporate performance,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showing that artistic orientation can affect job performance. As a basic research on the tendency of artistic orientation to reflect artistry in the management activities of the whole company, it seems to be a subject to be studied deeply in terms of corporate performance even in the recent trend of innovation business.
      Third, it has prov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imple and multi-mediated role of artistic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precedent research is similar, the fact that the artistic orientation and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re intrinsically linked to the secondary mediating effect has led to a strategic research result that cooperation between art and management can create synergy.
      In conclusion, this study derives meaningful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differentiated cause behavior by assigning new artistic dimension to the influence of art on management. It is also confirmed that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and artistic orientation can be utilized and applied as valuable strategies for enhancing corporate performance and combined with other strateg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의 융복합적 산업환경의 시대적 흐름에서 기업은 혁신과 쇄신을 번갈아 가면서 전략을 구사하고 발전해 가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의 컴퓨팅 서비스외에도 바이오, 가상현...

      현재의 융복합적 산업환경의 시대적 흐름에서 기업은 혁신과 쇄신을 번갈아 가면서 전략을 구사하고 발전해 가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의 컴퓨팅 서비스외에도 바이오, 가상현실(VR),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과 사회적경제에 기반한 사업들이 소비자의 취향과 문제해결, 그리고 욕구를 만족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창조성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경영활동이 중요시 되어가고 있다.
      최근 이런 기업의 요구는 새로운 아이템을 찾는 과정으로 예술을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창조에 기반한 사업으로 승화시키거나 간접적으로 조직차원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업과 예술의 상호작용과 공동의 창조적 전략을 만들려 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경우 대규모 자본력을 가진 대기업과 달리 경쟁적 시장을 독창적인 기술과 혁신적 사업전략으로 기회를 만들고, 고객들의 가치있는 소비를 통해 경영성과를 이뤄내야 하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기업의 전반적인 조직구성원 활동중에서 예술적 차원에서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문화예술적 경험이라는 과정에서부터 시작하여 직무성과에 이르기까지의 주요한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중소기업과 예술의 상호협력과 교류활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의 질적 연구과제로 삼고 있다. 더 나아가서는 기업경제에 직접적인 효과를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양적 연구의 과제로 확대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조사는 국내 중소기업의 기업가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예술적 관점에서 실질적인 문화예술의 경험과 예술성을 추구하는 예술적지향성이 경영적 관점에서 혁신적이고 진취적이며 위험감수성을 바탕으로 하는 창업지향성과 기업성과의 한 측면인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원인행위와 요인을 분석을 통해 기초연구 자료로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는 여러 선행연구들을 통해 부분적으로 일치하거나 입증된 관계가 있지만, 본 논문에선 예술성을 좀더 부각하고자 도입된지 얼마 안된 선행 변인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예술과 경영의 인지적 기반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변인을 구성하고, 아래와 같은 결과 및 시사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창작과 감상을 중심으로 경험과 활동을 하는 경우 예술성을 경영활동에 직접 적용하거나 혁신적이고 진취적이면서 위험감수성을 지닌 창업지향성을 띄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 예술성을 강하게 추구하는 예술적지향성과 기업 조직차원의 창업지향성은 직무성과에 유의적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창업지향성의 경우 기업가정신, 창업가정신 등으로 제시된 유사 선행연구 및 창업지향성 자체적인 변인으로도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입증해 왔으나 예술적 지향성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은 기업전반의 경영활동에 예술성을 반영하려는 성향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최근의 혁신 비즈니스의 흐름에서도 기업성과 측면에서 깊이있게 연구되어야 할 주제로 보여진다.
      셋째, 예술적지향성과 창업지향성이라는 단순·다중 매개역할에 대해 긍정적 영향관계을 입증했다는 것이다. 이는 선행연구에서도 맥을 같이 하기는 하나 예술적지향성과 창업지향성이 본질적으로 2차 매개효과로 강하게 연결 된다는 점은 기업차원에서 예술과 경영이 협력하는 것이 시너지를 만들 수 있다는 전략적 연구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예술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새로운 예술적 차원의 변인들을 대입하여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원인행위의 분석을 끌어내는데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문화예술적 경험과 예술적지향성들이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있어 가치있는 전략으로 활용, 적용 및 결합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 제3절 논문의 구성 4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 제3절 논문의 구성 4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절 문화예술적 경험 6
      • 1. 문화예술적 경험의 개념 6
      • 2. 문화예술적 경험의 특성 7
      • 3. 문화예술적 경험의 선행연구 9
      • 제2절 예술적지향성 12
      • 1. 예술적지향성의 개념 12
      • 2. 예술적지향성의 특성 13
      • 3. 예술적지향성의 선행연구 15
      • 제3절 창업지향성 16
      • 1. 창업지향성의 개념 16
      • 2. 창업지향성의 특성 18
      • 3. 창업지향성의 선행연구 22
      • 제4절 직무성과 23
      • 1. 직무성과의 개념 23
      • 2. 직무성과의 특성 24
      • 3. 직무성과의 선행연구 26
      • 제3장 연구방법 29
      • 제1절 연구모형의 설계 29
      • 제2절 연구가설의 설정 31
      • 1. 문화예술적 경험과 예술적지향성, 창업지향성, 직무성과 31
      • 2. 예술적지향성과 직무성과 33
      • 3. 창업지향성과 직무성과 33
      • 4. 예술적지향성, 창업지향성의 매개역할 34
      • 제3절 표본의 특성 36
      • 제4절 변수의 측정 40
      • 1. 문화예술적 경험 40
      • 2. 예술적지향성 40
      • 3. 창업지향성 41
      • 4. 직무성과 41
      • 제4장 실증분석 43
      • 제1절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43
      • 1. 신뢰성 분석 43
      • 2. 타당성 분석 47
      • 제2절 상관관계 분석 55
      • 제3절 가설의 검증 57
      • 1. 직접효과 58
      • 2. 간접효과 58
      •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61
      • 제1절 연구결과 및 시사점 61
      • 1. 연구결과의 요약 61
      • 2. 연구결과의 시사점 63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64
      • 참고문헌 66
      • 부록 81
      • 국문초록 85
      • Abstract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