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自律的 公共 空間 形成을 위한 都心住居 計劃案 : 종로구 업무시설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 (A) Design of Urban Apartments for Autonomous Community Space Formation : Focused on highly densed office region in Jongr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895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생겨난 편리하고 합리적인 인공적 형태의 수많은 건축물 속에서도 인간이 행복할 수 없는 이유는 아마도 이러한 인공적 환경이 가져다주지 못하는...

      오늘날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생겨난 편리하고 합리적인 인공적 형태의 수많은 건축물 속에서도 인간이 행복할 수 없는 이유는 아마도 이러한 인공적 환경이 가져다주지 못하는 정서적 만족감 때문이 아닐까 한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며 사회를 떠나서는 살 수 없으므로 상호간의 사회적인 접촉을 통해 안정되고 정상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다. 도시가 양적으로 팽창 발전하면서 인구의 증가와 함께 이러한 인간상호 물리적 접촉의 기회가 많아진 것이 사실이지만 과거보다 더 고독해지고 단절되는 이유는 경제논리와 개발지상주의에 의해 지배되는 도시계획 방식에 있다. 이것은 더 이상 새로운 얘기가 아니며 최근 도시의 삶과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1세기 도시개발의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기도 하다. 서울시의 경우 2000년 '서울 도심부 관리 기본계획' 을 수립하여 도심부에 남아있는 역사적 환경을 보존하고 경제적 활력을 유지하는 것을 도심부 관리의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도심주거기능이 쇠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동화 없는 커뮤니티의 육성' 이라는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도심 및 주변부 노후주거지 정비사업의 시행'을 제안한 바 있다. 청계천 복원 사업이나 은평 뉴타운 계획안 등은 그 구체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도시의 삶과 질 향상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되는 公共 공간의 의미를 분석하고 주거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공동체 개념을 파악하여 도시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는 최종적으로 도심 주거시설 계획안을 통해 좀더 구체화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도시와 건축의 관계를 이론과 사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도시를 채워나가는 건축으로의 공통분모를 설정하고, 계획의 기본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본다. 또한 공공성과 공동체 개념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현대도시에 적용될 새로운 개념으로서 자율적 공공공간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 말하는 자율적 공간이란 사전적 의미 그대로 타율이 아닌 공간의 사용주체와 개별요소들로부터 스스로의 자율에 의해 조절되는 자생적 공간의 의미를 가지며, 그 배경에는 현대도시를 '혼돈(Chaos)'과 예측불가의 불확정적인 상황으로 규정하고 끊임없이 일어나는 도시적 현상을 본질적으로 파악하려는 최근의 경향과 그 脈을 같이 한다. 이는 근대건축의 결정론적, 기계론적, 절대적 공간구성의 오류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 가치를 추구하는 다양한 시도중의 하나이며,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다음 단계에서는 자율성의 배경인 불확정성과 다중심, 탈중심의 이론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자율적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개념적 요소들을 추출하는데 그 요소로서 질서체계, 상호작용성, 가변성, 자율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를 통해 공간적 가능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계획안에서는 도시적 특성이 짙은 서울 도심의 종로에서 현재 주거시설이 들어서고 있는 대지를 찾아 앞에서 추출된 개념요소들을 적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비교적인 시각에서 현실적인 가능성을 가늠해 본다. 계획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도시와 대지와의 관계에서 만들어 질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실마리를 찾아 도시와 건물간의 연결장치로서 도시적 스케일의 공공 공간을 만드는 것과, 다른 하나는 건물 내부에서 각 주호들을 연결하는 길의 의미로서의 동선과 개인의 사적(private)공간 그리고 그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사적(semi-private), 반공적(semi-public)공간의 자율적인 배치를 통해 이용주체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interactive)적 공간을 건물 내부에서 실현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ough we are amid in the numerous convenient and rational artificial buildings generated by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technique, the reason that we can't feel the well-being is emotional gratification which can not be acquired by s...

      Though we are amid in the numerous convenient and rational artificial buildings generated by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technique, the reason that we can't feel the well-being is emotional gratification which can not be acquired by such artificial environment.
      Human is social animal and cannot live beyond society, Reciprocity is needed for peace and stability. Though the opportunity of reciprocal artificial contact is increased with growth of population by quantitative urban expansion, we are solitude and isolated by the way of urban planning in the view point of economic principle and exploitation supremacy. This is not a new argument any more and a prime subject of urban planning in 21th century with recent increasing concern about improvement of urban life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public space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improve life quality and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life quality improvement formed from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paradigm based on the urban housing. This is further concreted through the project of urban housing. For this, it is needed to establish architectural common factors fulfilling urban and speculate the essential direction of planning. And, I research the meaning of autonomous public space as the new notion to be applied to the contemporary urban.
      The autonomous space in this study is spontaneous space regulated autonomously from space users themselves which is literal meaning itself not heteronomy. In the background of this, the recent tendency is followed that contemporary urban is examined as chaos and unpredictable indetexminacy and the infinite urban phenomena is intrinsic. This is an attempt among diverse possibilities to persue the future-intended values and its purpose is ultimately to improve life qualities.
      In this project, I consider the actual possibility in the view point of comparison through the porcess .It is to find the site which have dwelling facilities and to apply concept elements extraced in upper process.
      This project is accomplished in two standpoints. One is to constitute a public space having the application of urban scale through the linkage between urban and a building which is need to find the clues of reciprocal communitive operation. The other is to actualize the interactive space among the user themselves by the method of autonomous arrangement of semi-private space and semi-pulic space which can be occurred between the individual private space and circulation having a street meaning to connect residential units in a build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國文抄錄 = ⅰ
      • 목차 = ⅲ
      • 圖表目次 = ⅵ
      • 제1장. 序論 = 1
      • 1-1. 問題提起 = 2
      • 國文抄錄 = ⅰ
      • 목차 = ⅲ
      • 圖表目次 = ⅵ
      • 제1장. 序論 = 1
      • 1-1. 問題提起 = 2
      • 1-2. 計劃의 背景 = 2
      • 1-3. 計劃의 對象 = 4
      • 1-4. 計劃의 目的 = 5
      • 1-5. 計劃의 方法 및 構成 = 5
      • 제2장. 計劃의 前提 = 7
      • 2-1. 서울 都心部 住居確保의 必要性 = 8
      • 2-1-1. 도심부의 불균형 해소 = 9
      • 2-1-2. 도심부의 활력제고 = 10
      • 2-1-3. 다양한 수요계층의 출현 = 10
      • 2-2. 住居의 公共性과 共同體 槪念의 變化 = 10
      • 2-2-1. 공동체(Community) 개념 = 11
      • 2-2-2. 공공성과 주거공동체의 정의 = 12
      • 2-2-3. 근대 주거 공동체의 형성 = 13
      • (1) 전통적 주거 공동체의 붕괴 = 13
      • (2) 근대 주거 공동체와 근대적 공공 공간의 형성 = 14
      • 2-2-4. 현대사회의 공동체와 공공성 = 15
      • 2-2-5. 공동체의 미래 = 17
      • 2-3. 都市와 建築 = 18
      • 2-3-1. 도시와 건축의 구축방법 = 18
      • 2-3-2. 자율화와 질서잡기 = 19
      • 2-3-3. 도시와 주거 = 19
      • 제3장. 自律的 公共空間의 槪念 및 特性分析 = 22
      • 3-1. 自律性의 定義와 理論的 背景 = 23
      • 3-1-1. 자율성(Autonomy)의 정의 = 23
      • 3-1-2. 自律性의 背景的 槪念 및 特性 = 24
      • (1) 불확정성 (Indeterminacy) = 24
      • (2) 다중심, 탈중심 = 26
      • 3-2. 自律的 公共 空間의 事例硏究 = 28
      • 3-2-1. 비엔나 고밀도 지구의 도시집합주거 (Coop Himmelblau, 1999.) = 28
      • 3-2-2. Kifu, Kitagata 아파트 (Kazuyo Sejima, 1998.) = 29
      • 3-2-3. Osaka, Next21 (오사카 가스공사의 실험주택, 1994.) = 30
      • 3-2-4. Casa en Burdeos (Rem Koolhaas, 1994.) = 31
      • 3-2-5. Europan 5 (유로판 현상설계 계획안, 1999.) = 32
      • 3-3. 自律的 公共空間의 構成要素 = 34
      • 3-3-1. 질서체계 = 34
      • 3-3-2. 상호작용 (interaction) = 35
      • 3-3-3. 가변성 (Flexibility) = 35
      • 3-3-4. 자율성 (Autonomy) = 37
      • 제4장. 都心 住居施設 計劃案 = 38
      • 4-1. 設計 槪念 = 39
      • 4-1-1. 도시와 주거의 통합 (내.외부의 통합) = 39
      • 4-1-2. 질서체계 = 39
      • 4-1-3. 상호작용 (interaction) = 40
      • 4-1-4. 자율성 (Autonomy) = 40
      • 4-2. 垈地分析 = 42
      • 4-2-1. 위치 및 법규개요 = 42
      • 4-2-2. 대지주변 상황 분석 = 43
      • 4-3. 配置計劃 = 49
      • 4-3-1. 초기案 = 49
      • 4-3-2. 2차案 = 50
      • 4-3-3. 최종案 = 50
      • 4-3-4. 매스(mass)의 구성 = 51
      • 4-4. 空間構成 = 51
      • 4-4-1. 기본동선과 질서체계 = 52
      • 4-4-2. 단위Unit의 자율적 배치 = 52
      • 4-4-3. 도시와 주거의 연계 = 53
      • 4-4-4. 자율적 공공 공간의 전개 (image sequence) = 54
      • 4-4-5. 유닛(Unit) 실내계획 = 57
      • 4-5. 計劃圖面 = 58
      • 설계개요, 배치도 = 59
      • 지하1층, 1층 평면도 = 60
      • 정면도, 우측면도 = 68
      • 횡단면도, 종단면도 = 69
      • 투시도 = 70
      • 4-5-6. 모형사진 = 72
      • 4-5-7. 전시패널 (Pannel) = 73
      • 제5장. 結論 = 74
      • 參考文獻 = 76
      • Abstract =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