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분황 원효의 불성 사상 = The thought of Buddha nature(佛性) of Bunhwang Won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56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타마 싯다르타는 연기법(緣起法)을 깨달아 붓다가 되었다. 반야·공사상은 연기법의 본래 의미를 드러낸 사상이다. 불성 사상은 반야·공사상에 의거하여 발전된 사상이다. 󰡔열반경󰡕�...

      고타마 싯다르타는 연기법(緣起法)을 깨달아 붓다가 되었다. 반야·공사상은 연기법의 본래 의미를 드러낸 사상이다. 불성 사상은 반야·공사상에 의거하여 발전된 사상이다. 󰡔열반경󰡕은 ‘일체중생실유불성’에의거하여, 중생은 반드시 성불한다고 설한다. 불성에는 인불성(因佛性) 과 과불성(果佛性)이 있다. 인불성은 불(佛)을 짓는 원인이 되는 불성이다. 그러므로 중생이 인불성으로 수행하면 과불성이 드러나는 것이다.
      이러한 불성 사상을 원효는 󰡔열반종요󰡕 불성문에서 첫째, 불성의 본연을 나타내는 측면, 둘째, 불성의 인과 측면, 셋째, 불성의 견성에 대한측면, 넷째, 계위에 따른 불성의 유무에 대한 측면, 다섯째, 불성의 삼세 측면, 여섯째, 불성에 대한 회통의 측면으로 구별하여 설하고 있다.
      원효는 「사자후보살품」을 인용하여 불성을 제일의공이라 정의하여 불성을 실체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극단에서 벗어나야 성불할 수 있음을 설한다. 또한 불성의 유와 무의 측면에서는 「가섭보살품」을 인용하여 성인위의 경지에 있는 불성을 설하고, 범부위의 경지에 있는 불성은 의지문과 연기문에 의거하여 사구로 불성의 중도를 보이고 있다.
      불성을 이처럼 중도로 설하는 것은 불성의 유와 무에 대한 극단의 집착에서 벗어나야 성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tama Siddhartha become a Buddha as he realized the law of depandant origination(緣起法). The thought of Banya·Gong is the thought reveal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law of depandant origination. The thought of Buddha nature has been developed...

      Gotama Siddhartha become a Buddha as he realized the law of depandant origination(緣起法). The thought of Banya·Gong is the thought reveal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law of depandant origination. The thought of Buddha nature has been developed from based on the thought of Banya·Gong.
      󰡔Yeolban-gyeong(涅槃經)󰡕 dscourses that all the people certainly be enlightened based on ‘all the sentient beings have Buddha nature within(一 切衆生悉有佛性)’. There are In-Buddha nature(因佛性) and Gwa-Buddha nature(果佛性). In-Buddha nature is the cause for Buddha nature, therefore Gwa-Buddha nature is automatically appreared when people practice with in-Buddha nature.
      The thought of Buddha nature has been elaborated in ‘the writing of Buddha nature in 󰡔Yeolbanjongyo열반종요󰡕’ by Bunhwang Wonhyo.
      The following is that the first is the aspect of revealing the nature(本然) of Buddha nature, the second is the aspect of cause & effect of Buddha nature, the third is the aspect of seeing the nature of Buddha nature, the forth is the aspect of the existence & nonexistence of Buddha nature depending on the levels(階位), the fifth is the aspect of the past·present·future(三世) of Buddha nature, the sixth is the aspect of ‘the concilation of the diverse opinions(會通) of Buddha nature. Wonhyo discourses that one can achive enlightenment when the one is free from the both extremes which insists Buddha nature has ‘the true subtence(實體) defined Buddha nature’ by the ultimate true of empitness(第一義空), citing 「Sajahu-bosalpum(師子吼菩薩品)」. Further, during his discoursing about the aspect of the existence & nonexistence of Buddha nature, he explains the Buddha nature in the above position of the saint(聖人) citing 「Gaseob-bosalpum(迦葉菩薩品)」, and for the Buddha nature of ordinary people, he explains it by Sagu(四句) showing the middle path of Buddha nature(中道佛性) based on Euiji-mun and Yeongi-mun. The reason why explains Buddha nature in this way is one can get enlightenment(成佛) after being free from the attachment of the both extrems of the existence & nonexistence of Buddha na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