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홈스쿨링(Home Schooling)의 사상적 기반으로서의 Charlotte Mason의 교육사상 = Charlotte Mason`s Thought of Education as an Ideological Foundation of Home Schoo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176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홈스쿨링과 Charlotte Mason 교육사상의 고찰을 통해 홈스쿨링의 사상적 기반으로서의 Charlotte Mason 교육사상의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홈스쿨링은 부모들이 직접 교사가 되어 ...

      본 연구는 홈스쿨링과 Charlotte Mason 교육사상의 고찰을 통해 홈스쿨링의 사상적 기반으로서의 Charlotte Mason 교육사상의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홈스쿨링은 부모들이 직접 교사가 되어 가정에서 자녀들을 가르치는 것으로써 자기 주도적 학습, 개인의 특성과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 삶에 기반을 둔 교육 등을 추구하고 있다. 즉 궁극적인 목적은 올바른 교육으로의 도달이다. Charlotte Mason(1842~1923)은 『가정교육』을 비롯한 여러 책들을 저술하고 학교를 설립하는 등 자신의 교육사상과 방법을 알리는데 그치지 않고 실행을 통해 교육의 본질을 되찾고자 하면서 일생을 아이들과 부모를 위한 교육에 전념한 영국의 교육 사상가다. 그녀의 교육사상의 핵심은 아이들의 본성, 삶, 관계, 그리고 의지에 기초한 교육으로 정리된다. Charlotte Mason의 교육사상을 홈스쿨링의 사상적 기반으로 볼 수 있는 이유는, 그녀의 교육 기반이 가정에 있고 부모를 비롯한 성인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아이들이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Charlotte Mason의 교육사상을 통해 홈스쿨링에서 기억할 것은 교육의 주체는 성인이 아닌 아이들이고 교육의 본질은 가정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conducted to look into through home schooling and a review of education thought of Charlotte Mason, and the meaning an ideological foundation of home schooling. Home schooling means parents teach children at home, and it is seeking self-...

      This study is conducted to look into through home schooling and a review of education thought of Charlotte Mason, and the meaning an ideological foundation of home schooling. Home schooling means parents teach children at home, and it is seeking self-education, to respect the individual`s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education, education based on life. That is the ultimately to reach the right education. Charlotte Mason(1842~1923) was devoted to education for children and parent who wrote many books including Home education and built a school to regain the essence of education by spreading her thought of education and the methods and putting it into act. The core of her educational ideas are by nature, life, relation and based education will. The reason why her thought of education seems to be an educational foundation of home schooling is that it made children study by themselv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education is based on not only adults but children, and the essence of education is originated from ho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명복, "홈스쿨링의 현황과 과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2 (12): 83-109, 2005

      2 김민환, "홈스쿨링의 제도화에 따른 주요 쟁점 검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8): 43-64, 2008

      3 오한명, "홈스쿨링의 교육적 정당성" 연세대학교 2009

      4 서덕희, "홈스쿨링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교육인류학적 분석" 33 : 116-145, 2004

      5 서덕희, "홈스쿨링을 만나다" 민들레 2008

      6 이원일, "홈스쿨링에서의 기독교 교육과정"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2 (12): 157-184, 2005

      7 정선희, "홈스쿨링과 샬롯 메이슨의 교육사상" 103 : 129-150, 2008

      8 현병호, "홈스쿨링, 오래된 미래. 홈스쿨링, 오래된 미래" 민들레 2000

      9 김진숙, "홈스쿨링 가정의 부모와 자녀의 홈스쿨링의 실태와 인식" 성균관대학교 2004

      10 김혜실, "한국의 홈스쿨링 운영 연구" 단국대학교 2006

      1 유명복, "홈스쿨링의 현황과 과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2 (12): 83-109, 2005

      2 김민환, "홈스쿨링의 제도화에 따른 주요 쟁점 검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8): 43-64, 2008

      3 오한명, "홈스쿨링의 교육적 정당성" 연세대학교 2009

      4 서덕희, "홈스쿨링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교육인류학적 분석" 33 : 116-145, 2004

      5 서덕희, "홈스쿨링을 만나다" 민들레 2008

      6 이원일, "홈스쿨링에서의 기독교 교육과정"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2 (12): 157-184, 2005

      7 정선희, "홈스쿨링과 샬롯 메이슨의 교육사상" 103 : 129-150, 2008

      8 현병호, "홈스쿨링, 오래된 미래. 홈스쿨링, 오래된 미래" 민들레 2000

      9 김진숙, "홈스쿨링 가정의 부모와 자녀의 홈스쿨링의 실태와 인식" 성균관대학교 2004

      10 김혜실, "한국의 홈스쿨링 운영 연구" 단국대학교 2006

      11 이혜영, "한국의 홈스쿨링 운동의 현황과 전망" 6 (6): 109-134, 2000

      12 이은정, "한국 선교사 자녀 대안 교육 가운데 홈스쿨링의 필요성"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13 이한, "학교를 넘어서" 민들레 1998

      14 Illich, I., "탈학교논쟁" 한미당 1973

      15 현병호, "작은 풀씨 하나가 온 세상을 바꾼다" 50 : 108-117, 2006

      16 Louv, R., "자연에서 멀어진 아이들" 즐거운 상상 2005

      17 최정재, "유비쿼터스 시대의 미래교육시스템과 홈스쿨링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69-185, 2008

      18 권근숙, "우리나라 홈스쿨링의 현황과 실천사례 연구" 경상대학교 2002

      19 이선숙,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성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 가톨릭대학교 2001

      20 Pestalozzi, J. H., "어머니들을 일깨워 줄 교육" 1995

      21 Griffith, M., "아이에게 행복을 주는 맞춤식 교육- 홈스쿨링" 미래의 창 2006

      22 Susan S, M., "아이들을 위한 라브리 가정교육" 그리심 1984

      23 사토 마나부,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에듀케어 2008

      24 이병환, "서구 대안학교의 동향과 특성 비교"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7 (7): 121-140, 2008

      25 Levison, C., "샬롯 메이슨 교육법(2판)" 꿈을 이루는 사람들 1996

      26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제3판)" 양서원 2008

      27 Levison, C., "살아있는 책으로 공부하라" 꿈을 이루는 사람들 2001

      28 Seth, R., "배움의 연대, In 홈스쿨링, 오래된 미래" 민들레 2000

      29 Andreola, K, "배우면서 가르친다-엄마와 365일" 꿈을 이루는 사람들 2002

      30 Gatto, J. T., "바보 만들기" 민들레 1992

      31 김민환, "미국 홈스쿨링의 성장과 특징에 관한 연구" 10 (10): 257-280, 2000

      32 이재하, "루터와 홈스쿨링-가정, 사랑, 교육"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2) : 111-129, 2005

      33 조용환, "대안학교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1 (1): 113-155, 1998

      34 이종태, "대안교육의 철학적 기초 탐색(1)-생태주의 교육이념을 중심으로" 26 (26): 1-19, 1999

      35 현병호, "대안교육의 의의와 현황 그리고 전망" 10 : 101-123, 2001

      36 권진영, "대안교육의 생태적 적합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0

      37 박신경, "대안교육의 사례 비교를 통한 기독교 대안교육의 방향성 연구 : 우리나라대안교육을 중심으로" 영남신학대학교 2004

      38 주은희, "대안교육과 홈스쿨링" 한국아동학회 30 (30): 237-248, 2009

      39 김성수,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대안교육의 본질과 방향" 고신대학교 2005

      40 오춘희, "기독교 가정의 홈스쿨링 운동"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0) : 139-194, 2005

      41 박의수, "교육의 역사와 철학" 동문사 1999

      42 목영해, "교육의 역사와 철학" 교육과학사 2005

      43 이종태, "교육연구 : 대안교육의 도전" 112 : 57-61, 1998

      44 신용국, "교육사상사" 양서원 1993

      45 김명화, "공동육아의 대안교육모델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영남대학교 2005

      46 Gordon, M., "공감의 뿌리" 샨티 2005

      47 Douthwaite, R., "경제가 성장할수록 불행해지는 아이들, In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보리 1992

      48 서덕희, "“여유”의 교육적 의미: 홈스쿨링의 시간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63-90, 2007

      49 김문숙, "‘새로운’ 현대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의 대안교육운동 자연과 노작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3 (43): 130-165, 2009

      50 Lewis, J., "Women in England, 1870-1950 : Sexual divisions and social change" Univ. Indiana, press 1984

      51 Mason, Charlotte, "Towards a philosophy of education. The original home schooling series by charlotte mason" Wilder Publications 1925

      52 Mason, Charlotte, "School education. The original home schooling series by charlotte mason" Wilder Publications 1905

      53 Mason, Charlotte, "Parents and children. The original home schooling series by charlotte mason" Wilder Publications 1904

      54 Mason, Charlotte, "Ourselves. The original home schooling series by charlotte mason" Wilder Publications 1905

      55 김명순, "OECD 주요국가 간의 유아교육제도 비교 분석" 19 (19): 119-140, 1999

      56 Mason, Charlotte., "Home education. The original home schooling series by charlotte mason" Wilder Publications 1886

      57 Mason, Charlotte, "Formation of character, In The original home schooling series by charlotte mason" Wilder Publications 1906

      58 Andreola, K., "Charlotte Mason과 함께 하는 교육" 꿈을 이루는 사람들 1998

      59 조용욱, "20세기 영국에서의 국가" 62 : 53-55, 1999

      60 오정화, "19세기 영국 기독교와 여성작가의 관계에 대한 재고" 한국여성학회 18 (18): 137-166, 2002

      61 강남식, "19세기 말 20세기 초 영국 여성노동자의 노동현실과 노동운동" 12 (12): 204-238, 1996

      62 한석만, "'대안교육'의 재개념화와 한국의 대안교육" 한국교원대학교 2004

      63 조용환, "'교실붕괴'의 교육인류학적 분석 : 학교문화와 청소년문화의 갈등을 중심으로" 3 (3): 43-66, 2000

      64 이예라, ""제인에어"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인식" 숙명여자대학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55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