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요자 중심형 장애인복지 전달체계 모델 개발 연구 = Research on consumer-directed delivery system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32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drawbacks of current supplier-directed delivery system and suggest an alternative, a consumer-directed delivery system called ‘Center of service and support for the disabled model’. As an advent of 2010 United Welf...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drawbacks of current supplier-directed delivery system and suggest an alternative, a consumer-directed delivery system called ‘Center of service and support for the disabled model’. As an advent of 2010 United Welfare management system, current welfare system for the disabled was expected to reorganize as a consumer-directed delivery system. However, because of deficient support for public and private service and limited connection for service, supplier-directed delivery system still persists. Thus, with the system that lacks understanding of specific disabilities, it is hard to realize hopes and wants of the disabled. This research advocates for ‘Center of service and support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need of appropriate delivery system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reorganize the supplier-directed delivery system, this research introduces Australian Centrelink that utilizes ‘life time accidents approach’ and portrayed French MDPH that focuses on determining degree of disability and managing welfare system for the disabled. This research devises consumer-directed delivery system for the disabled based on two cases. The system consists of construction of service initiation process, analysis and introduction for service, connection and monitoring of service, protection of rights, and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This research sets the stepping-stone for establishing consumer-directed delivery system rather than practical management of ‘Center of service and support for the disabled mod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급자 중심적인 현행 장애인복지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수요자 중심형 전달체계인 ‘장애인서비스지원센터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 목...

      본 연구는 공급자 중심적인 현행 장애인복지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수요자 중심형 전달체계인 ‘장애인서비스지원센터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 장애인복지 전달체계는 2010년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의 도입으로 수요자 중심의 전달체계로 개편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공적 및 민간 서비스 지원체계의 부족과 서비스 연계의 한계 등의 문제점으로 여전히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장애의 특수성과 이해의 부족은 현 전달체계로는 장애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수요자 중심형 장애인 전달체계로서 ‘장애인서비스지원센터 모형’을 제안한다. 이러한 수요자 중심형 장애인 전달체계로서 본 연구에서는 ‘생애사건별 접근방식’을 이용하여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주의 센터링크(centrelink)와 프랑스의 장애판정 및 장애인복지서비스를 전담하는 장애인지방센터(La Maison Départementale des Personnes Handicapées; MDPH)를 소개하며, 이를 토대로 수요자 중심형 장애인 전달체계의 기본원칙을 고안하였다. 이는 서비스 사정체계 구축, 서비스 내용 결정 및 안내, 서비스 연결 및 모니터링, 권익옹호, 장애인의 참여 등이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인서비스지원센터 모형에 대한 실질적인 운영 보다는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 전달체계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지연, "호주의 통합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한국노동연구원 50-57, 2005

      2 김문길, "현장서비스 중심의 사례관리 -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의 효과를 중심으로-" 206-210, 2008

      3 장흥섭, "현대소비자론" 삼영사 1998

      4 남찬섭, "한국 사회복지서비스에서 바우처의 의미와 평가: 바우처 사업의 사회적 맥락을 중심으로" 26 : 8-45, 2008

      5 이승기, "지자체 중심형 수요자 맞춤 장애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방안 연구" 서울특별시의회 2011

      6 강혜규, "지난 정부 10년의 사회복지서비스 부분 개혁전략: 특성과 쟁점"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109-130, 2008

      7 이현주,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목표와 행정조직구조 개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0 : 22-35, 2007

      8 김종해, "정부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권(바우처) 도입 계획에 대한 우려"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101 : 24-27, 2007

      9 이재원, "전자바우처를 활용한 소비자 중심의 사회서비스 공급 정책 - 보건복지가족부 노인돌보미 바우처 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1-28, 2008

      10 변용찬, "장애인복지인프라개선방안연구(I)"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 장지연, "호주의 통합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한국노동연구원 50-57, 2005

      2 김문길, "현장서비스 중심의 사례관리 -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의 효과를 중심으로-" 206-210, 2008

      3 장흥섭, "현대소비자론" 삼영사 1998

      4 남찬섭, "한국 사회복지서비스에서 바우처의 의미와 평가: 바우처 사업의 사회적 맥락을 중심으로" 26 : 8-45, 2008

      5 이승기, "지자체 중심형 수요자 맞춤 장애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방안 연구" 서울특별시의회 2011

      6 강혜규, "지난 정부 10년의 사회복지서비스 부분 개혁전략: 특성과 쟁점"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109-130, 2008

      7 이현주,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목표와 행정조직구조 개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0 : 22-35, 2007

      8 김종해, "정부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권(바우처) 도입 계획에 대한 우려"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101 : 24-27, 2007

      9 이재원, "전자바우처를 활용한 소비자 중심의 사회서비스 공급 정책 - 보건복지가족부 노인돌보미 바우처 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1-28, 2008

      10 변용찬, "장애인복지인프라개선방안연구(I)"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1 권선진, "장애인복지론" 청목출판사 2009

      12 박경수, "장애인복지 소비자주의에 대한 사회복지전문직의 주관적 개념화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69-196, 2006

      13 오혜경, "장애인 자립생활 실천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3 (3): 39-63, 1998

      14 김용득, "이용자 참여의 개념 구조 : 한국장애인복지에 대한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39-64, 2007

      15 김용득, "영국 커뮤니티케어의 이용자 참여 기제와 한국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363-388, 2005

      16 황보옥, "여성장애인 차별에 대한 소비자주권주의 관점" 사회복지개뱔연구원 13 (13): 339-364, 2007

      17 서정희, "소비자주권론"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8

      18 지은구,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편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개선방안" 25 (25): 2006

      19 김경미,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편과정에 관한 연구 - 공공부문 행정체계를 중심으로-" 135-155, 2007

      20 강혜규, "복지전달체계 개편의 과정과 주민생활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의 의의"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108 : 11-16, 2007

      21 김인숙, "바우처 도입에 따른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의 변화와 그 의미"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3-58, 2010

      22 서재호,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에 대한 평가 :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성원칙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139-164, 2008

      23 서동명, "기초자치단체 장애인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4 "http://www.mw.go.kr/front/index.jsp"

      25 "http://www.centrelink.gov.au"

      26 Centrelink, "centrelink annual report 2008-09" 2010

      27 Centrelink, "What you can expect from Centrelink"

      28 Geron S., "The quality on consumer-directed long-term care" 22-27, 2000

      29 Simon-Rusinnowitz, L., "Implementation issues for consumer-directed programs: Comparing views of policy experts, consumers, and representatives" 14 (14): 95-118, 2002

      30 Vardon, S., "Centrelink, changing culture and expectations, In Delivering the vision: Public Services for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knowledge economy" Routledge 39-62, 2002

      31 Centrelink, "Are you ill. injured or do you have a disability"

      32 보건복지가족부, "2010년 사례관리사업 안내"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6 1.23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