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아시아태평양 지역 무형유산보호에 있어 경쟁과 협력 - 한중일 유네스코 카테고리 Ⅱ(C2) 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Competition and Cooperation on the Intangible Heritage in the Asia-Pacific Region - Focusing on the Case of UNESCO Category Ⅱ(C2) Center in Korea, Chin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320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cern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the expression of humanity’s identity and the driving for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has been increased around UNESCO from the 1980s. As a result, the Convention on the safeguarding...

      The concern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the expression of humanity’s identity and the driving for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has been increased around UNESCO from the 1980s. As a result, the Convention on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adopted in 2003 and about 179 member states are now joining the Conv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intangible heritage safeguarding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UNESCO Category (C2) Center, led by UNESCO and its member states, is becoming an important tool in effectively implementing UNESCO’s strategy and 2003 Convention on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ased on its regional expertise and on its site experience. In particular, the Asia-Pacific region is a very rare case where Korea, China and Japan each establish and operate a C2 Center through function sharing. Thu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ual relationship-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mong the UNESCO C2 Centers established by Korea, China and Japan and to propose ways to strengthen the cooperation mechanism among the C2 Centers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activities of each C2 Center. Although the establishment and division of functions of the C2 Center in Korea, China and Japan are the products of political understanding for the initiative of intangible heritage in the Asia-Pacific region,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re important not only to effectively achieve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and goals. Therefore,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through mutual cooperation, solidarity and communication among the C2 Centers in Korea, China and Japan is very necessary. To this end, it also presents the possibi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integration among C2 Centers of the three countries in the long term, along with short-term measures such as development of strategic joint cooperation projects, direct participation in governing board meeting of C2 Center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personnel exchan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무형문화유산은 인류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으로, 1980년대에 들어서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고조되었다...

      무형문화유산은 인류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으로, 1980년대에 들어서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고조되었다. 그 결과 2003년 「무 형문화유산보호협약」이 채택되었고, 현재 약 179개 회원국이 동 협약에 가입하여 국제 무형유산보호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유네스코와 회원국 정부의 주도로 이루어진 유네스코 카테고리 (C2)센터 설립은 지역 적 전문성과 현장성을 바탕으로 유네스코의 전략과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을 효과적으로 이행하 는 데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한중일 3국이 기능분담을 통해 각각 C2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는 매우 드문 사례이다.
      이 글은 한중일 3국이 기능분담을 통해 각국 내 설립한 C2센터 간의 관계를 경쟁과 협력이라는 개념에서 고찰하고, 한중일 C2센터를 둘러싼 환경 및 각 C2센터들의 구조와 활동을 분석하여 한중일 C2센터 간 협 력 메커니즘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중일 C2센터의 설립과 기능분담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무형유산 주도권 선점을 위한 한중일 3국 간의 정치적 이해의 산물로 태생적으로 경쟁과 갈등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조직의 성과와 목표를 효과 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쟁뿐만 아니라 협력도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한중일 3국 내 C2센터들 간 상 호협력과 연대, 그리고 소통을 통한 협력이 매우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략적 공동협력사업 개발, 이사회에 한중일 C2센터 대표의 교차이사 참여, 인적교류 등 단기 적 방안과 더불어 장기적으로 3국 C2센터 간 수평적·수직적 통합 가능성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은하, "조직간 관계특징이 재난관리 협력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4 (24): 1797-1813, 2011

      2 "일본, 위안부 기록유산 차단 나서...유네스코 분담금 350억원 보류 방침"

      3 김소담, "유네스코 유산등재의 국제정치: 한중일 사례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2016

      4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5 "유네스코"

      6 정수진, "무형문화유산의 문화정치학-유네스코 체제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26 : 287-316, 2015

      7 이형우, "경쟁의 시대에 협력의 중요성에 관한 소고" 한국행정연구소 43 (43): 267-298, 2005

      8 "美·이스라엘, 새해 첫날 유네스코 동반 탈퇴"

      9 Stoczkowaski, W., "UNESCO’s doctrine of human diversity: A Secular soteriology?"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25 (25): 2009

      10 UNESCO, "Integrated Comprehensive Strategy for Category 2 Institutes and centres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1 황은하, "조직간 관계특징이 재난관리 협력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4 (24): 1797-1813, 2011

      2 "일본, 위안부 기록유산 차단 나서...유네스코 분담금 350억원 보류 방침"

      3 김소담, "유네스코 유산등재의 국제정치: 한중일 사례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2016

      4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5 "유네스코"

      6 정수진, "무형문화유산의 문화정치학-유네스코 체제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26 : 287-316, 2015

      7 이형우, "경쟁의 시대에 협력의 중요성에 관한 소고" 한국행정연구소 43 (43): 267-298, 2005

      8 "美·이스라엘, 새해 첫날 유네스코 동반 탈퇴"

      9 Stoczkowaski, W., "UNESCO’s doctrine of human diversity: A Secular soteriology?"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25 (25): 2009

      10 UNESCO, "Integrated Comprehensive Strategy for Category 2 Institutes and centres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11 UNESCO, "Audit of the UNESCO’s Management Framework for Category 2 Institute/Centres"

      12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2018년 이사회 자료"

      13 유네스코국제무형유산연구센터, "2018년 이사회 자료"

      14 유네스코국제무형유산훈련센터, "2018년 이사회 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