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展示空間디자인의 視知覺的 Sequence 構造에 관한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738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ed museums with analyzing indicators which form the exhibition space's sequence. The analysis is based on measuring the co-relations between physical structure system and the visual-p...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ed museums with analyzing indicators which form the exhibition space's sequence. The analysis is based on measuring the co-relations between physical structure system and the visual-perception sequence structure relating with viewer's move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below; First, there are effective Variables in forming sequence system of visual perception. They are permeability, direction, visibility, observation value and scenario justified map. Among the effective variables, permeability, direction and observation value are directly effective main factors, and the rest the variables are partially effective subsidiary factors. Second, the variables form the system of visual perception not by themselves but by complicating effect the environment of show. Also they are forming partially different system of visual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museu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초록 및 목차는 연구결과물인 논문의 초록 및 목차임

      초록 및 목차는 연구결과물인 논문의 초록 및 목차임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연구배경과 분석방법 3. 전시공간의 시퀀스 구조 3.1 분석사례의 개요 3.2 시퀀스 구조의 분석 3.2...

      1. 서 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연구배경과 분석방법
      3. 전시공간의 시퀀스 구조
      3.1 분석사례의 개요
      3.2 시퀀스 구조의 분석
      3.2.1 박물관의 유형화
      ⑴의미적 관계
      ⑵구조적 관계
      ⑶내용적 관계
      ⑴1축;중심공간의 유/무,
      ⑵2축;관람순로의 유도방식
      ⑶3축;전시흐름의 특성
      3.2.2 공간구조의 분석
      ⑴구성축과 투과성에 의한 분석
      ⑵방향성에 의한 분석
      3.2.3 시각적 공간구조의 분석
      3.2.4 시지각적 이미지 분석
      3.2.5 내용적 구성조직
      3.2.6 관람패턴분석
      3.2.7 시지각적 공간, 움직임과의 상호관련성
      4. 시지각적 시퀀스구조의 특징
      5. 종합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