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개정된 항공영어구술능력시험(EPTA)의 안면타당도 분석 : 조종사의 비행경력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681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e validity of the revised EPTA to see if the tests actuall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aviation safety. It was also intended to introduce advanced measures for overseas aviation English tests as w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e validity of the revised
      EPTA to see if the tests actuall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aviation
      safety. It was also intended to introduce advanced measures for overseas
      aviation English tests as well as internal and external development plans for
      the tes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103 pilot test takers were
      surveyed, and nine in-depth interviewee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In addition, detailed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dividing the subjects
      into the pilot's flight experience (31 captain pilots, 42 first officer pilots,
      and 30 general commercial pilots).
      The conclusions of the above study are as follows. Pilot test-takers
      recognized that the revised EPTA was valid and helped to improve aviation
      English learning and aviation safety because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tests were properly implemented. Specifically, pilots with a career as first
      officer had a higher facial rate than other pilots. This indicated that the
      test was more appropriate because first officer pilots primarily perform
      communication tasks.
      The development of EPTA will require aviation English test personnel to
      provide sample answers by grad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est results.
      In addition, the number of CBT test guides and sample tests will need to be
      increased because captain pilots have poor understanding of computer-based
      testing (CBT). To adjust test difficulty, it will be need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part 1 and increase the response time of part 2.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ational standardized EPTA education program for general
      commercial pilots or to hold regular aviation English seminars to raise
      awareness of aviation English.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expand the location
      and time of the examination and to reduce the examination fee.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advanced aviation English test system,
      such as JLTA (Japa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roducing the airline's
      delegated EPTA evaluation and maintaining qualification above level 4 by
      finishing EPTA ground lesson to reduce the burden of test takers and utilize
      the airline's infrastructure. In addition, like RELTA (Australia), EPTA
      questions should be provided in the form of actual pictures and photos of
      cockpit and flight conditions to help test takers understand the te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된 EPTA의 안면타당도를 분석하여 해당 시험이 항공안전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시험의 내적·외적 발전방안과 함께 국외 항공영어시...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된 EPTA의 안면타당도를 분석하여 해당 시험이 항공안전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시험의 내적·외적 발전방안과
      함께 국외 항공영어시험의 선진방안도 도입하고자 하였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종사 수험자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후 심층 인터뷰 대상자
      9명을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조종사의 비행경력(기장 31명, 부기장 42명,
      일반 사업용 조종사 30명)으로 연구대상자를 구분하여 세부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조종사 수험자들은 시험의 내용 및 구성이 비행상
      황을 적절히 구현하였기 때문에 개정된 EPTA가 타당하며 항공영어 학습과 항공안전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부기장 경력의 조종사가 다른 조종사
      들에 비해 안면타당도가 높았다. 이것은 부기장 경력의 조종사가 주로 관제통신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해당 시험이 더 타당하다고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PTA의 발전방안으로는 항공영어시험 담당자는 등급별 샘플 답변을 제시하여 시험
      결과의 신뢰도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장경력의 조종사가 컴퓨터 기반의
      시험(CBT)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CBT 시험안내 및 샘플테스트 개수를 증가
      시켜야 할 것이다. 시험난이도 조절을 위하여 파트1의 비중을 늘리고 파트2의 답변
      시간을 늘려 난이도 조절을 해야 할 것이다. 일반 사업용 조종사를 위하여 국가차원의
      표준화된 EPTA 교육프로그램을 정립 하거나, 정기적인 항공영어 세미나를 개최하여
      항공영어에 대한 경각심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시험의 장소 및 시간의 확대 및
      응시료의 인하가 필요할 것이다.
      해외 선진 항공영어시험 제도의 도입과 관련해서는 JLTA(일본)와 같이 최초 4등급
      이상 취득 후에는 보수교육으로 진행하여 수험자의 시험부담을 줄이는 것과 항공사의
      인프라를 활용하기 위하여 항공사 위임 EPTA평가 방안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RELTA(호주)처럼 시험문항을 실제 조종석의 형태로 제공하고 비행상황을 명확한 그림
      과 사진의 형태로 제공하여 수험자의 시험에 대한 이해를 도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