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합병증 환자의 산화적 스트레스와 Vitamin C에 관한 연구 = Study on Oxidative Stress and Vitamin C in NIDDM Patients with Diabetic Co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492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합병증 환자에서의 혈장내 MDA농도를 측정하여 산화스트레스의 노출정도를 살펴보고, 또한 혈장내 vitamin C농도를 측정하고, 식이섭취조사를 통한 vitam...

      이 연구의 목적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합병증 환자에서의 혈장내 MDA농도를 측정하여 산화스트레스의 노출정도를 살펴보고, 또한 혈장내 vitamin C농도를 측정하고, 식이섭취조사를 통한 vitamin C섭취량도 조사하여 이들간의 상관성을 비교하고자실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MDA혈장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합병증 유무나 합병증 종류에 따라 MDA혈장 농도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항산화 비타민의 혈장 vitamin C농도는 당뇨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고, 당뇨 합병증군과 당뇨 비합병증군에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vitamin C식이 섭취량 역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산화스트레스 노출정도를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높게 나타 났으며 혈장 vitamin C농도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서 항산화계에 이상이 생길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렇지만 낮은 혈장 vitamin C농도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합병증 유발과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abete mellitus represents a state of increased oxidative stress which is based on the evidence of increased peroxidation, glycoxylation, and reduced antioxidant system.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increased oxidative stress may play an important ...

      Diabete mellitus represents a state of increased oxidative stress which is based on the evidence of increased peroxidation, glycoxylation, and reduced antioxidant system.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increased oxidative stress may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complications and the blood level of vitamin C in NIDDM patients may be used as an indicator for oxidative stress. However, there is only scanty evidence on the blood levels of vitamin C in NIDDM patients with complication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xtent of oxidative stres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of vitamin C and diabetic complications in NIDDM patients.
      The MDA concentration of NIDD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s (p<0.05). However no difference in the MDA concentration between NIDDM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s was shown, and the species of complications in NIDDM patients were not related with the plasma MDA concentrations.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vitamin C was significantly lower in NIDDM patients than in controls (p<0.05). However the plasma concentration of vitamin C was similar in NIDDM with complications and in NIDDM without complications, and dietary intake of vitamin C between two group was not different.
      This study showed that the oxidative stress in N1DDM patients was highly increased and the vitamin C reserve was significantly depleted, as compared with normals. However the depleted reserve of vitamin C was no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in N1DDM pati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ABSTRACT = i
      • List of Tables = iii
      • List of Figures = v
      • I. 서론 = 1
      • 목차
      • ABSTRACT = i
      • List of Tables = iii
      • List of Figures = v
      • I. 서론 = 1
      • II. 연구내용 및 방법 = 7
      • 1. 조사시기와 대상자 = 7
      • 2. 실험방법 = 7
      • 1) 대상자 조사 = 7
      • 2) 혈액 수집 및 보관 = 7
      • 3) MDA(malondialdehyde)측정 = 8
      • 4) 혈장내 Vitamin C농도 측정 = 8
      • 5) 식이 섭취량 조사 = 9
      • 6) 통계 = 10
      • III. 결과 및 고찰 = 11
      • 1.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 11
      • 1.1 전체대상자 = 11
      • 1.2. 당뇨합병증군 = 14
      • 2. 혈장의 지질산화도 판정을 위한 MDA(malondialdehyde)의 측정과 혈장내 vitamin C의 농도측정 = 16
      • 2.1 전체대상자 = 16
      • 2.2 당뇨합병증군 = 20
      • 3. 당뇨군의 식이 섭취량 조사 = 22
      • 3.1 당뇨군 = 22
      • 3.2 당뇨합병증군 = 25
      • 4. 당뇨군에서의 혈장 vitamin C농도와 vitamin C식이섭취량과의 비교 = 29
      • 5. 대상자의 혈장내 MDA 농도, vitamin C농도와 생화학적지표들간의 상관관계 = 31
      • 5.1 전체대상자 = 31
      • 5.2 당뇨합병증군 = 33
      • IV. 결론 = 35
      • 참고문헌 = 39
      • 국문초록 = 50
      • APPENDIX = 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