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생들의 감성지능과 생활환경인식 및 실천과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37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quotient, 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practice by measu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quotient, 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practice, and to present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quotient, 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practice by measu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quotient, 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practice, and to present a method of inspi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a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o achieve the above purposes of this study, theories and literature on emotional quoti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considered.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heet was drawn up to measure emotional quotient, 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practice. A total of 250 questionnaire sheets were distributed to sixth graders at six rural school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nam-do and an urban school in Ansan-si, Gyeonggi-do. Of these, valid questionnaire sheets were collected from 128 sixth graders in the urban area and 118 sixth graders in the rural areas, so a total of 246 questionnaire sheets were analyzed.
      As for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t-test, F-test(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Scheffe-test was carried out as a post-test at 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ed up as the following:
      (1)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quotient, 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practice depending on sex,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indicated at 5% significance level.
      (2)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quotient, 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practice depending on place of resid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place of residence and the degree of practicing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 5% significance level.
      (3)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quotient, 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practi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students' attitude and practice to preserve environment of sub-domains of 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practice at 1% significance level.
      (4)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quotient, 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practice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m was shown at 5% significance level.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quotient, 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practice was significant. Thus, the degree of students' emotional quotient must be considered in implementing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the higher students' emotional quotient was,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 preserve environment students showed and the more actively students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ovide students with program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considering direct and indirect various emotional quotients in future environmental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연구의 제한
      • 4. 용어의 정의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연구의 제한
      • 4. 용어의 정의
      • II. 선행연구의 고찰
      • 1. 환경인식에 관한 선행 연구
      • 2. 감성지능에 관한 선행연구
      • III.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1. 연구대상
      • 2. 연구의 도구
      • 3. 자료의 처리
      • IV.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1. 응답자의 감성지능 정도
      • 2. 응답자의 환경 지식, 태도, 실천 정도
      • 3. 성별에 따른 감성지능과 생활환경인식 및 실천과의 관계
      • 4. 거주 지역에 따른 감성지능과 생활환경인식 및 실천과의 관계
      • 5. 감성지능에 따른 생활환경인식 및 실천과의 관계
      • V. 결론 및 제언
      • 1. 결론
      • 2.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행동에 미치는 정서적 요인의 영향" 15 (15): 18-30, 2002

      2 "환경교육의 원리와 실제" 원미사 1999

      3 "환경교육 홍보 종합 계획 수립 연구" 유천문화사 1997

      4 "학교 환경교육의 필연성과 강화 방안" 1991

      5 "학교 환경 교육의 체계적 접근 방안" 12 (12): 1999

      6 "초등학생의 환경의식과 실천적 태도에 관한 연구" 2000

      7 "초등학생들의 환경인식에 관한 연구" 1999

      8 "초등학교 학생의 환경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2002

      9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13 (13): 122-132, 2000

      10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 친화적 행동과 관련변인" 2001

      1 "환경행동에 미치는 정서적 요인의 영향" 15 (15): 18-30, 2002

      2 "환경교육의 원리와 실제" 원미사 1999

      3 "환경교육 홍보 종합 계획 수립 연구" 유천문화사 1997

      4 "학교 환경교육의 필연성과 강화 방안" 1991

      5 "학교 환경 교육의 체계적 접근 방안" 12 (12): 1999

      6 "초등학생의 환경의식과 실천적 태도에 관한 연구" 2000

      7 "초등학생들의 환경인식에 관한 연구" 1999

      8 "초등학교 학생의 환경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2002

      9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13 (13): 122-132, 2000

      10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 친화적 행동과 관련변인" 2001

      11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Ⅳ)"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12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ⅢⅣ)"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13 "초등학교 교사용 환경교육 연수 교재" 동진문화사 1992

      14 "초등학교 4, 5, 6학년의 환경 문제 인식에 관한 연구" 1999

      1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의식과 환경교육" 박영사 1995

      16 "중학교에서의 환경교육실천" 한국방송통신대학 1991

      17 "인지지능과 감성지능의 교육적 효과 비교" 1996

      18 "인근하천을 활용한 현장체험 환경교육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2004

      19 "인간과 환경" 지구 문화사 1995

      20 "유아의 지능, 감성지능, 창의성의 관계 및 관련변인 연구" 2002

      21 "유아의 감성지능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상관관계 연구" 2003

      22 "외동이와 형제아의 감성지능과 학교 적응 비교 연구" 2002

      23 "외동이와 형제아의 감성지능과 학교 적응 비교 연구" 2002

      24 "아동-식물의 상호작용과 감성지능의 관계 분석" 30 (30): 109-128, 1998

      25 "실과 생활 기술 영역을 통한 환경교육" 2002

      26 "실과 교사용 지도서" 교육 인적 자원부 2002

      27 "대구시 초등학생의 환경의식 형성에 관한 연구" 1991

      28 "교실 내 식물 가꾸기 활동을 통한 환경 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2004

      29 "감성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와 사회성의 관계 연구" 2003

      30 "감성지능(EQ)을 높이기 위한 미술교육 모델연구" 2001

      31 "6학년 실과 교과서" 교육 인적 자원부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